-
-
정치 성향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타고난 성향인가, 학습된 이념인가
존 R. 히빙.케빈 B. 스미스.존 R. 알포드 지음, 김광수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존 R. 히빙, 케빈 B.스미스, 존R.알포드/ 오픈도어북스
대통령 탄핵과 파면, 몇 달에 걸쳐 이뤄진 한국의 민주주의
요즘에는 정치 성향 테스트하는 앱도 있더라 ㅎㅎ 이 책에도 간단한 정치 성향 테스트기가 있다. 활용해보시길!!
이것은 타고난 성향일까 학습된 이념일까? 살살아가면서 우리는 수없이 많은 기사를 읽고 뉴스를 보고 책을 읽고, 광고에 노출되고 중요한 사건에는 목격자가 되기도 한다. 위 질문은 그것을 환경적인 영향으로 볼 것인가? 나아가 환경이 바뀐다면 나의 정치 성향도 바뀔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도달한다.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과 한국의 내란 대통령 파면을 지켜보며 느끼시는 바가 클 것이다. 이 격렬한 정치 논쟁에 있어 나와 반대의 성향인 사람이 절반만 맞고 틀린다는 의미도 아니다. 어찌 보면 이런 양분화는 상당히 위험하다.
이념의 스펙트럼을 좀 넓힐 필요가 있다. 저자는 보수와 진보를 먼저 규명한다. 정치의 본질은 통합과 분열을 모두 일으키기도 한다. 모든 사회 집단이 그 사회만의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식이 있다.
스탠리 밀그램 실험을 언급하면서 무엇을 정상으로 판단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 실험은 실험실 밖에서도 유효하다.
우리 본성은 우리의 운명일까? 그렇다면 정치 성향도 유전이 되는가? 인간은 저마다 타고난 생물학적 기질이 있다. 물론 유전적인 부분이 과소평가되어서도 극대화되어서도 안된다는 입장이다.
유전학, 사회과학, 인지심리학, 진화 생물학에 관해 총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이다.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 또한 넓어진다.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의 기본 특성을 규정하며, 그 차이를 언급하는 책이다. 차이는 어디에서 온 결과물인지를!
저자는 책 마지막에 인정하는 바람직한 정치 체제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심리학자이자 정치학 대가이신 저자,
정치 성향이 형성되는 원리에 대해 가장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는 책!!! 정치를 넘어 인간 사회를 조망하는 눈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