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밤의 애도 - 고인을 온전히 품고 내 삶으로 돌아가기 위한 자살 사별자들의 여섯 번의 애도 모임
고선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선규 님의 [여섯 밤의 애도]를 읽었다. 포털사이트의 연예면 기사는 종종 누구누구의 몇주기라는 기사를 내보내곤 한다. 병으로 세상을 떠난 이들도 있지만 유독 스스로 생을 마감한 이들의 이름이 더욱 눈에 띄곤 한다. 그들의 얼굴은 오래전 젊을 때의 사진이 아님에도 너무나도 젊고 아름답기 때문이다. 사는 게 힘들다는 건 나이가 들수록 더욱 공감하게 되는 말이 아닌가 싶다. 때로는 반복되는 아니 그보다 더 힘든 일들이 생겨남에도 우리는 쉽게 생을 포기하지 않는다. 누군가 나에게 지금의 생을 살아가야만 한다고 매번 명령을 내리는 것이 아님에도 우리는 모두 참 열심히 살고자 노력한다. 좀 더 나은 나를 만나고 싶어한다. 이런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과정이 한 순간에 무너지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자살한 이들에 대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갖는 가장 큰 의문은 바로 왜? 라는 질문이 아닐까 싶다. 


주변의 가까운 친족이나 친구 중에 누군가가 자살을 선택하여 사별자가 된 경험이 없다 하더라도, 저서에 나온 것처럼 우리는 사회적으로 알려진 명사의 자살로 인해 적지 않은 충격을 받고 사별자가 된 듯한 느낌에 빠져들곤 한다. 특히나 자신이 무척 좋아했던 연예인이 그러한 선택을 했다면 팬으로서의 심리적 충격과 혼란을 상상 이상일 것이다. 자살한 이들에 대해서 아무렇지 않게 내뱉는 '자살할 용기가 있다면 이 세상의 그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라거나 '남겨질 사람들을 생각했다면 그런 이기적인 선택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말들은 우리가 얼마나 못난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스스로 증명하는 말이다. 그리고 자살 사별자를 위로하는 전형적인 말 중의 하나인 '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라는 말 또한 당사자에게는 별다른 위로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혈연관계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부모와 형제들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한 집에서 같이 살지만 그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만일 지금 힘들어하고 있다면 도대체 그가 얼마나 힘든지, 그 힘듬의 상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자세히 알기 위한 시도를 깊이있게 기울이지 않는다. 때로는 가족임에도, 아니 가족이니까 더 거친말로 위로 아닌 조언을 건네기도 하고 걱정이 되기는 하지만 잘 견뎌낼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고 지나치기도 한다. 


자살예방을 위한 캠페인에 자주 등장하는 '자살 경고신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말을 듣곤 한다. 주변에 자살할 위험의 신호를 보내는 사람에게 도움을 줘야 한다는 뜻이 담겨져 있지만, 실제 자살 사별자들은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면 자살한 가족들이 경고신호를 보냈음에도 그것을 눈치 채지 못한 자신들을 자책하게 된다. 그리고 어떤 누구도 자신의 가족이나 친구가 그렇게 생을 마감할 것이라고 상상조차 하지 못한다. 행여 어떤 이들은 우리가 스스로 세상에 태어날 권리와 자유가 없었지만 죽음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태어남과 동시에 죽는 날까지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존재이다. 그 관계성은 우리는 살아숨쉬게 만들고 나의 삶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해주는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섯 밤의 애도]에 나온 자살 사별자들이 자조 모임에 나온 대화의 내용을 보면 사별자들의 느끼고 경험하는 고통이 얼마나 큰지 엿볼 수 있기에 죽음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은 아니다. 


"<어떤 상태가 되어야 제가 괜찮은 건가요?>라고 내담자가 질문한 적이 있었다. 상담을 시작할 때 들었던 '이 고통이 언제 끝나나요?'라는 질문은 시간이 흘러 이렇게 변한다. 괜찮은 상태라는 것은 사별자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애도에 관한 여러 이론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이 있다. 사별 경험을 사별자 자신이 겪었던 삶의 사건으로 받아들이고 거기에 어떤 윤색도 하지 않으며 고인을 기억하고 말하는 것이 여전히 슬프지만 고통스럽지 않은 상태,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사별자가 자신의 삶을 다시 사랑하고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상태 말이다. 이런 상태는 물리적 시간이 흐른다고 그냥 도착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고인에 대해, 고인과 자신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고 느낀 것을 이야기하고 또 이야기해야 힘겹게 도달할 수 있는 목표다.(147-148)" 


메리골드: '꼭 오고야 말 행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