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신의 배신 -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믿었던 백신의 추악한 민낯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지음, 홍지수 옮김 / Mid(엠아이디) / 2024년 12월
평점 :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2020년 COVID-19 유행이 이제 몇 달 있으면 만 5년이 된다. 지금 되돌아보면 다소 꿈만 같지만, 당시 우리는 처음 수행해보는 많은 조치들을 경험해야 했다, 단순 확진자의 격리조치 뿐만 아니라, 일정 규모 이상 인원의 모임이 금지되고, 테이블 거리두기 등의 규칙이 생겨나고, 영업시간이나 영업형태가 제한되는 한편 확산이 심한 곳에서는 코호트 진료라는 집단 격리 형태가 나타나는 한편 재택근무나 화상회의 등 그때까지는 생소했던 근무형태가 일상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이러한 모든 불편은 백신접종이 이루어지며 점차 해제되기 시작했는데, 당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백신 등이 순차적으로 도입되었고 연령에 따라 접종 일자를 예약하고 순서를 기다리기도 했다.
당시 세계 각국, 특히 미국의 뉴스에도 관심을 많이 기울였는데, 우리나라엔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본부장이 있었다면, 미국엔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앤서니 파우치 박사가 있었다. 우리에겐 다소 생소했지만, 그 백발의 노의사는 레이건 대통령 시절부터 장장 7명의 대통령 밑에서 감염병 관련 자문을 수행해 온 초 전문가였다.
오늘 읽은 책은 그에 대한 비판이 담긴 '백신의 배신'이라는 책으로, 저자가 미국의 정치명가 케네디가 사람이며 한때 차기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지명되었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영향력 있는 인물이라 단순 음모론으로 치부하고 지나치기엔 너무 궁금했다.
책은 코로나 시기 초기 미국의 대응실패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고, 그 대표적인 원인이 파우치 박사의 초기 대응 실패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코로나같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고, 따라서 바이러스 확산 지연, 염증 완화, 혈전 처리에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했지만 파우치 박사의 지침은 증상이 심화될때까지 단순 격리하는 것으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한 수많은 사람들이 결국 사망에 이르게 하나 잘못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HCQ사용 등을 금해 치료를 지연시키고 백신만이 해답인 것처럼 홍보하고, 뒤로는 제약회사에 거액을 베팅했던 파우치 박사 또는 기관들의 행태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이후 HIV와 AIDS 치료에 대한 과거 사례를 통해 제약회사와 빌 게이츠 같은 거물의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을 폭로한다.
개인적으로는 제시된 자료의 양이 꽤 구체적이며 방대하고 문맥상으로도 합리적 의심이란 공감이 간다. 다만 제약회사를 비롯한 반대편도 선의가 있었다고 생각되는 한편, 반대쪽 의견도 들어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되어 판단은 보류된다. 한편 당시 트럼프의 주장을 듣고 무슨 소리인가 했는데, 이 책을 읽고 왜 그런 주장들이 나왔는지 이해가 되었다. 코로나를 둘러싼 여러 논란에 대해 알아보고 싶다면, 읽어보면 좋을 듯 하다.
#백신의배신 #로버트F케ㄴ디주니어 #홍지수 #북미드 #앤서니파우치 #CDC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 #HCQ #미국 #코로나 #COVID19 #제약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