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악의 기원 - 아기를 통해 보는 인간 본성의 진실
폴 블룸 지음, 최재천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4년 9월
평점 :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예로부터 성선설과 성악설은 늘 논쟁거리였다. 대표적으로 인간은 본래 선하며 누구나 측은지심, 수오지심 등을 마음에 지니고 있다는 맹자의 성선설과 인간은 태어날때부터 이기적이며 시기, 질투한다는 순자의 성악설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으론 원죄론을 비판한 에라스무스나 백지론의 로크처럼 인간은 애초에 백지와 같으나 후천적으로 도덕적인 판단을 갖게 된다는 일종의 성무선악설을 주장한 사람도 있다. 이렇게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이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 노력해왔지만 과연 인간이 원래 선한지 악한지 명확한 결론은 아직 없다.
이번 책은 저명한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가 아기를 통해 인간 본성이 과연 선한지 악한지 규명해나가는 책이다. 전술한 것처럼 인간의 본성이 선한지 악한지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최근 뇌과학, 심리학, 행동경제학 등 여러 학문의 발전과 더불어 혹시 진전이 있지 않았을까 궁금해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한편으론 말이 통하지 않는 아기와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 그 방법론이 궁금하기도 했다. 또한 옮긴이에 최재천 교수님의 이름이 있어 더 기대하며 읽었다.
저자의 아내는 바로 동 대학교 유아인지센터의 센터장이라고 한다. 그제야 아이들을 실험에 동원할 수 있었던 배경을 알 수 있었다. 그는 도덕이란 시대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개념이지만, 역사적으로 여러 철학적, 관념적 여러 사유들이 있어왔고, 특히 선천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이 실존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선 아기들의 인지행동 연구가 필수적이기에 자신이 이 연구를 수행해왔다고 한다. 이어 다양한 실험을 통해 아기의 공감과 연민, 공정함 인식여부, 악에 대한 처벌 등 본성적 관점과 인종, 언어 등 동질성과 유대감, 혐오 등 사회적 관점에서 도덕에 대해 살펴보고 가족, 친척 등 친밀집단에서 이타적이고 도덕적인 욕구가 더 발현하는 것에 대해서도 진화론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론 관습, 문화와 미디어, 종교(공동체) 등에 의해 도덕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본성은 타고나지만 이성적인 도덕성 함양의 기회는 누구에게나 공평할 수 있다며 끝을 맺는다.
도덕은 추상적인 관념으로 이를 이해하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치 않다. 그간 도덕을 이해하기 위해 철학, 여러가지 과학적 접근법이 행해져 왔으나 저자는 이를 적절히 살펴보면서도 특히 아기를 통해 그 기원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여러가지 실험 및 다학제간 접근을 통해 인간의 도덕감각, 공감과 연민, 공정심, 정의감 등에 대해 설득력 있게 풀어내고자 했다. 기억에 남은 내용은 아이들도 충분히 타인에 공감하고 타인의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할 수 있으며 공정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2세 전후로는 징벌에 절제가 없어 과격할 수 있다는, 그래서 우리 애들이 그랬나(!)하는 부분도 흥미롭게 읽었다. 다양하면서도 사려깊은 실험과 고찰을 통해 인간 본성의 기원을 찾아가는, 그래서 때론 곱씹어 봐야 하지만 여러모로 흥미진진했던 이번 책을 많은 분들께 강력 추천하고 싶다.
#선악의기원 #폴블룸 #최재천 #김수진 #21세기북스 #본성 #도덕 #아기 #성선설 #성악설 #공감 #연민 #공정 #처벌 #가족 #내집단 #사이코패스 #관습 #문학 #미디어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