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툰과학 화학 (상.하 합본) - 2009 미리 끝내는 중학교 교과서
어진교육 편집부 엮음 / 어진교육(키큰도토리)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처음에 빌렸을 때에는 너무 두꺼워 보여서 못 읽을 줄 알았는데 읽다보니 정말 재미가 있어서 결국 끝까지 읽게 되었다.   그런데 아직 모르는 부분들도 많이 있었는데 그래도 정말 재미있게 읽은 것 같아서 좋았다.    

내가 알게 된 사실 

융해는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하는 상태 변화이다.   응고는 액체가 냉각되어 고체로 변하는 상태 변화이다.   액화는 기체가 냉각되어 액체로 변하는 상태 변화이다.   기화는 액체를 가열하여 기체로 변하는 상태 변화이다.   승화는 고체가 바로 기체로 되거나 기체가 바로 고체가 되는 상태 변화이다.    

물질의 질량은 분자의 개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태 변화 후에도 질량은 일정하다.   물질의 성질은 물질의 상태 변화 후에도 분자 자신의 성질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물질의 성질은 변하지 않는다.   분자의 배열은 고체일수록 규칙적이고 기체일수록 불규칙적이다.    

열에너지는 물질의 온도를 변화시키거나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에너지이다.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여 평형 상태로 도달하면서 온도를 변화시키고 상태도 변화시킨다.   온도가 높은 물질일수록 열에너지가 크다.    같은 온도라도 분자 운동이 활발한 상태일수록 열에너지가 크다.    

냉장고는 기체 냉매가 압축기와 응축기를 거치면서 주위로 열을 방출하며 액화된 액체가 증발기에서 다시 기화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스팀 난방은 보일러에서 물을 끓여 수증기로 만들고 방열기로 보내면 물이 액화되면서 액화열을 방출하여 주위의 온도를 높여주는 장치이다.    

보일의 법칙은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와 압력은 반비례한다.   분자 수가 같고 온도가 같을 때에는 부피가 작아지면 단위 면적당 충돌수가 증가하여 기압이 커진다.   샤를의 법칙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기체는 온도가 1도 변할 때 마다 기체의 부피가 0도 때 부피의 273/1씩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고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고체의 용해도는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압력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증가한다.   압력이 높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증가한다.    

순물질은 다른 물질이 섞이지 않고 한 가지 종류로만 되어 있는 물질이다.   혼합물은 두 종류 이상의 순물질이 섞여서 이루어진 물질이다.   물이 기화하는 것을 소금물에서 방해하기 때문에 끓는점이 높아지고 끓을수록 농도가 진해지만서 그 방해하는 정도가 심해지기 때문에 점점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    

기체 반응의 법칙은 기체 반응에서 반응한 기체들의 부피는 일정한 정수비를 이룬다.   원자설은 원자가 쪼개질 수 없다는 것이 원자설에 모순이다.   분자설은 같은 온도와 압력 하에서는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가 들어 있다.    

베르셀리우스는 이름의 첫 번째 철자를 대문자로 쓰고, 같은 철자로 시작하는 원소가 많은 경우에 첫번째 철자를 대문자로 쓴 후 단어 중간의 다른 철자를 골라 소문자로 앞의 철자에 붙여 쓴다.   앙금 생성 반응으로 비금속 원소를 확인할 수 있다.    

내가 과학 중에서는 화학과 생물을 가장 못하는데 읽어보니 의외로 화학이 쉬워진것 같기도 하고 재미있어졌다.   하지만 몇 번 더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