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사기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것들 - 몰라서 손해보는 당신의 잘못된 화장품 상식
김준구 지음 / 참돌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별 다른 특징이 없는 타고나길 튼튼한 피부라 어떤 화장품을 써도 전혀 트러블이 없어서

화장품에는 무심한 편이다. 내 또래의 친구들이 고가의 외국화장품을 선호하는 것에 비해

길거리 로드샵에서 저렴한 화장품을 그것도 세일을 할때마다 하나씩 사곤했다.

그런데 나이가 들다보니 자고나면 가끔씩 뾰루지가 올라와 있기도 하고 피부톤도

칙칙해지고 있다. 그동안 관심이 없던 고가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서 나도모르게

기웃거리게 된다.

 

화장품은 물질을 파는 게 아니라 이미지를 파는 것이라는 걸 알고있어도 왠지 노화

방지’, ‘화이트닝’, ‘주름제거’이라는 말이 붙으면 예뻐지고 싶은 마음에 더 좋은 것,

더 비싼 것을 바르면 더 낫겠지 싶은 마음이 들기 때문이다.

 

요즘 나의 고민은 여름이다보니 자외선차단제를 고르는 문제다. 기미와 색소 침착의 주범인

자외선을 피하려면 외출 전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발라야 한다고 익히 들어서 알고

있지만 화학성분이 잔뜩 든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는 것이 더 피부에 안 좋은 건 아닌가

하는 고민에서부터 어떤 제품을 사야 자외선 차단이 잘 되는지 하는 제품 고르는 방법까지

궁금한 거 투성이지만 화장품 판매원들이나 인터넷 검색으로도 속시원한 답을 얻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이처럼 화장품을 고를때마다 고민스러운 선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조언해 줄뿐만 아니라 똑똑하게 화장품 고르는 법을 속 시원히 알려주고 있다.

 

가령 방송,잡지에서 선정하는 베스트제품을 믿어도 되는지, 화장은 지우는 게 더

중요하다는데 클렌징 횟수는 몇 번이 적당한지, '잡지 사은품'으로 주는 화장품을

믿고 사용해도 되는지, 명품브랜드 제품과 주성분이 같은 저렴이제품이 정말 차이가

없는지 등  각종 매체에 떠돌아다니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 소비자들이 화장품에

대해 갖고 있던 오해와 편견들에 대해 꼼꼼하게 짚어준다.

 

그 중에서도 스킨케어라인에 자외선차단제가 들어 있으면 따로 자외선차단제를 쓰지

않아도 될까? 하는 항목은 내가 늘 의문을 품고 있었던 거라 관심있게 읽었다.

결론은 비비크림이나 스킨케어에 자외선차단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해도 별도의

자외선차단제를 먼저 사용해주는 것이 좋다는 거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차단만을

목적으로 생산된 제품이 아니면 자외선차단지수가 낮은 경우가 많고, 두 가지 이상의

멀티 기능을 가진 제품은 결코 한 가지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을 따라가지 힘들기

때문이다.

사실  끈적거리는 느낌과 백탁현상때문에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기 싫어하기 때문에

자외선차단을 해준다는 비비크림이나 파우더팩트만 바르며 내심 이 제품만으로도

자외선을 차단해 주겠지 하며 안심했는데 좀 충격적이였다.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기능을 한 번에 해결한다거나 자외선차단에 스킨케어 기능을 더했다는 '멀티' 나

'스마트' 같은 제품이 이름처럼 똑똑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 것은

아닌것이다.

게다가 자외선차단지수가 높을수록 피부에는 별로 좋지 않다는 부분도 몰랐던 사실

이였다. 앞으로는 내 피부에 맞는 자외선차단제를 골라 꼼꼼하게 발라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화장품은 결코 가격과 품질, 또는 만족도가 비례하지 않는다는 걸 이 책을 읽고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다. 나쁜 화장품은 없으며 다만 나에게 맞지 않은 화장품이

있을 뿐이니 결국 중요한 것은 내 피부타입과 성향에 맞는 것을 조금만 바르는 게

가장 올바른 선택이라는 거다.

 

책 제목처럼 화장품을 사기전에 미리 한번 읽어보면 좋을 내용들이 담겨있어

자신이 궁금해오던 것들을 찾아서 읽어보면 많은 도움이 되는 유용한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