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검색 도감 자연 검색 도감
한영식 지음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아이가 한창 곤충에 대한 사랑에 빠졌을 무렵 사슴벌레와 장수풍뎅이를 키운 적이

있었다. 처음엔  아무런 관심이 없었지만 곤충들이 자라는 과정을 보면서 나도

점차 빠져들기 시작했다. 수시로 아이방에 있는 곤충 집 앞에 앉아서 먹이를 주기도

하고 깨끗한 톱밥으로 바꾸어 주기도 하면서  곤충의 습성을 알기 위해 곤충도감을

찾아보며 새로운 곤충의 세계를 알아가기 시작했다.

 

밤마다 딱딱딱 거리며 참나무를 갉아먹는 소리에 귀기울리기도 하고 젤리통에

머리를 완전히 박고 젤리를 정신없이 빨아먹는 모습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알을 낳고

참나무 위에서 노는 모습을 보니 키우는 재미 말고도 생명의 신비함과 소중함 등

배우는게 많았다.

 

사실 우리가 돌아보면 곤충은 우리가 사는 집과 주변에, 산과 들 모든 곳에서

그렇게 우리 곁에 항상 머물러 있다.  하지만 우리가 자연에서 만나는 곤충들에게

제대로된 이름을 불어준 기억은 많지 않다. 흔하고 많아 잘 구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저 벌레이겠거니 하며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

나도 아이가 곤충에 관심이 없었다면 곤충도감을 뒤적거리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곤충검색 도감>은 나처럼 곤충에 호기심이 생긴 사람들이 곤충과 친구가 되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자연에서 발견한 곤충의 이름과 꼭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알려주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곤충을 서식지별, 분류군별로 총 18목

212과 1004종의 곤충을 일목요언하게 소개하고 있다. 곤충의 서식지를 땅, 잎, 꽃,

나무, 물, 밤을 기준으로 6개 장에 나누어 실었기 때문에 발견된 장소를 토대로

곤충모습을 비교하면 쉽고 빠르게 이름을 찾을 수 있다.   

 

 

 

손바닥만한 크기의 포켓북으로 제작되어 있어 손쉽게 휴대할 수 있어 산이나 들판에서

곤충을 직접 관찰하고 체험하는데 도움이 된다. 크기가 작다고 내용이 빈약한 것은 아니다.

생태 사진과 크기, 출현 시기, 먹이, 형태 및 생태적 특징을 다룬 다양한 정보를

실었기 때문에 호기심을 만족시키기에도 충분하다.

 

이 책이 다른 곤충도감과 차별된 점은 곤충의 크기를 직접 측정할 수있는 '자'가 있어서

바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곤충의 종류에 따라 개체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크기를 알면 어떤 곤충인지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름을 모르는 곤충을 발견한다면,

비닐백에 넣어서 곤충 위치를 '자'의 영점에 맞추고 크기를 재서 측정한 곤충의 크기를

곤충검색 도감을 펼쳐서 확인하면 쉽게 곤충 이름을 알아낼 수 있어 무척 유용할 것 같다.

 

 

 

 

나름대로 곤충에 대한 책들을 보았는데도 대부분 처음 듣는 곤충들 이름이다. 

예전에 살던 집에 정원이 있어서 노린재를 많이 봐서 노린재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노린재라는 곤충의 종류가 이렇게 많은 줄 몰랐다. 내가 그동안 본 노린재는

갈색이거나 검정색등 단색인 것들만 봤는데 이 책을 보니 화려한 무늬를 띤 노린재들도

있다는 새로운 사실도 알았다.  

 

 

 

 

그 밖에 자벌레의 위장술을 소개하거나 매미가 우화하고 남은 탈피 껍질만 보고도 어떤

매미의 것인지 알수 있는 방법, 갑각류의 종류와 생활, 지구 온난화로 기후가 바뀌면서

나타난 귀화곤충에 대한 이야기 등 곤충 전반에 관한 지식을 '곤충 상식'으로 꾸민 코너도

눈길을 끈다. 뒷면에 곤충 이름 순으로 적은 ‘찾아보기’ 코너도 알차다.

 

 

 

책이 아무리 좋아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면 소용이 없는데 이 책은 가볍게 들고 나가서

곤충이 있는 자연 속으로 떠나기에 딱 적합하다.

 

미처 살펴보지 못했고 자연속에 숨어사는 생명들을 느끼기 좋은 봄날이다.

나들이 가기 좋은 요즘 도감을 들고 줄납작밑빠진먼지벌레, 홍다리주둥이노린재,

살짝수염홍반디 같은 재미있는 이름들을 가진 곤충들을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곤충의 이름을 물어보는 아이에게 곤충의 이름을 술술 알려줄 수 있는 멋진 모습도

보여줄 수 있고,  작고 보잘것 없는 것들에 대한 생명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까지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