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랄라랜드로 간다 - 제10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54
김영리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에 가면 습관적으로 청소년코너에 가서 신간들을 뒤적이게 된다. 청소년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좀처럼 속마음을 털어놓지 못하는 아이들의 고민을 간접적으로나마

알아보고 소통하고 싶은 바램이래서다.

제목부터가 궁금증을 자아내는 이 책, 랄라랜드가 도대체 어딜까 라는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이 책의 주인공도  청소년이다. 그것도 내 아이와 똑같은 고등학교 1학년

남자아이 안용하다.

 

용하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아무곳에서나 잠에 빠져드는 기면증을 앓고 있지만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부모에게도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 그동안 아빠 빚보증으로

가족을 뿔뿔이 흩어져 아빠는 택시를 몰고, 엄마는 이모할머니가 운영하는 게스트하우스

에서 일을 해주며 숙식을 해결하고 용하는 고시원에서 혼자 살고 있다가 이모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 남겨주신 게스트하우스에 가족들이 비로소 같이 살게 된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교에서도 감추고 싶은 용하의 마음과는 달리 반친구들에게 모두 기면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툭하면 놀리고 시비거는 재수탱 녀석들도 생겼다. 

게다가 게스트하우스에 장기투숙객인 망할 고 할아버지에게도 기면증이라는 것을

들키고 난 뒤부터는 꼬박꼬박 일기까지 쓰게 되었다. 자신을 이해해 줄 사람은 없고

인생은 독고다이라고 생각하는 용하에게 일기를 쓰면서 서서히 변화가 온다. 누군가

자신의 이야기를 아무 비판없이 있는 그대로 들어줬으면 하는 소망이 일기를 통해

해소하게 된것이다.

처음에는 마지못해 쓰게 되었지만 이제는 '비트'(비밀노트)라는 이름까지 붙여진

소중한 존재가 되었다.

 

사실 용하를 둘러싼 환경은 암울하다. 게스트하우스를 물려받았지만 갑자기

이모할머니의 아들인 피터 최가 나타나 집에서 쫒겨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학교에서는 왕따에다 부모님에게까지 기면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들키게 된다.

 

그럼에도 읽는 내내 긍정적이고 밝은 에너지가 느껴진다. 그것은 작가가 용하뿐만

아니라 아픔을 겪고 있는 다양한 이들을 따뜻하게 품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용하의 집을 뺏으려는 피터 최도 알고보면 엄마에게 버림받은 트라우마에서 성장하지

못한 마음 응얼이가 남아있었고 경제적으로 부족함이 없어보이는 나은새도 부모의

과도한 기대감에 지쳐있는 아이였다.

하지만 그들은 현실속에서 더불어 산다는 것의 의미를 깨닫게 되고 결국 '자기다운

삶'으로 가기 위한 랄라랜드를 스스로 발견할 수 있도록 이끈다.  

 

용하와 은새가 자신만의 랄라랜드인 밴드를 발견한 것처럼,

작가 자신이 외로울 때 괴로울 때 지칠때마다 나 자신에게 괜찮다고 말해주며 스스로를

다독이게 했던 '비트'라는 공간이 있었던 것처럼,

이 책을 읽으면서 힘들고 고민많은 청소년들이 모두 자신의 랄라랜드를 만들었으면

좋겠다. 이 책에 담긴 긍정의 에너지가 아픈 그들을 보둠어 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