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모퉁이 건축 - 건설한국을 넘어서는 희망의 중간건축
김성홍 지음 / 현암사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에 대한 책은 안도 다다오의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와 안면을 터두었지만 
그리 쉽지만은 않은 분야다. 사실 건축이라는 것이 정확히 어디까지 영역을 두고
있는지도 잘 모르겠다.
 
얼마전에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물'을 국내 유명 건축가와 건축학과 교수 등
전문가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한강 선유도공원'이 최고의 건축물로 꼽혔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흔히 생각하는 디자인이 독특하고 화려한 건물들이 꼽힐것라고 예상하고
있던 나에게 선유도공원은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했다. 선유도공원을 직접 가보았고 그곳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편하게 쉬다가 갈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했지만 한국을 대표할
정도로 대단한 곳이였나 싶어서다.
선유도 공원이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뽑힌 까닭은 과거 정수장 시설을 허물지 않고
살려서 만든 생태공원답게 수돗물을 담아놓던 정수지의 콘크리트 기둥들을 없애지 않고,
담쟁이덩굴을 키우는 석주로 재활용하는 등 주변과 조화를 중시하고 땅에 깃든 역사적
유산를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건축전문가들이 건축을 바라보는 관점이 우리가 바라보는 것과는 확실히 다른 것 같다.  
그동안 내가 생각하는 건축이라는 것이 사실 건설의 의미와 동일하다고 은연중에 생각을
했었나보다. 건설은 새로운 것을 개발하기도 하지만 낡은 것을 해체내지는 파괴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그러한 건설문화를 건축문화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좋은 건축물이라는 것은 결국 역사를 담아내는 기억물로 세대를 거쳐 긴 세월을 버텨서 
다른 시대와 문화가 공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건축이란 건축과 그 속에 어울려져서 사는 우리들의 삶과 사회가 서로 섞이고
녹아들어서, 단순히 짓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어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선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 김성홍씨도 선유도 공원을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뽑은 건축가 중
한분이다.
이런 사실만으로도 이 책이 어떤 점을 지향하고 있는지 감이 왔다. 건설한국을 넘어서는
희망의 중간건축이라는 부제를 보더라도 ' 건축이란 무엇인가' 란 나의 의문에 답이
보이는 것 같았다.
 
건축가 김성홍씨는 '낮은 도시 작은 건축'을 주장한다. 한국 건축의 숨은 힘은 크고
화려한 것과 작고 소박한 것의 사이, 그리고 다양한 것들의 경계에 있다고 믿고 있다 .
우리 도시의 뼈대를 이루는 건축은 5층 이하의 작은 건물로 전국 650만개 건물 중
98%가량이 5층 이하인 중간건축이다.
경쟁 양극화가 중산층을 붕개시키듯 건축의 양극화는 도시의 중간지대를 질식시키고
중간지대가 없으면 도시의 중간문화도 시들해진다고 한다. 우리의 도시는 실핏줄처럼
깊숙한 곳까지 닿는 구불구불한 길이 있고 골목 모퉁이에 상점이 살아 있었는데 그런
길들이 재개발과 재건축으로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주거와 상업,문화가 공존하며 인간과 삶이 살아 숨 쉬는 길모퉁이 중간지대의
중간건축이 살아 꿈틀거려야 일상의 삶도 풍성하고 도시 경쟁력도 높아진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번듯한 테헤란로 대신 복잡한 홍대 앞 골목이 젊음을 끌어당기고 상업공간과 더불어
중소규모 사무실이 주택가와 상업시설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면서 마을을 이룬
가로수길과 서래마을이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이유인 것이다.
 
2010년 뉴욕타임스는 가볼 만한 전 세계 31개 최고의 도시중 3위에 서울을 꼽았는데,
매끈하게 단장한 대로상의 고층건물이나 가로시설물보다 이면도로의 너저분한
숯불갈비집에 주목했다. 고층건물이 도열한 과로와 주거와 상업이 뒤섞인 좁은
이면도로가 한 켜를 사이에 두고 공존한 풍경이 역동적이고 신선하게 보이기 떄문이었다.
건물의 화장한 얼굴에 현혹되지 말고, 도시의 뒤편, 그 이면도로에 서 있는 길모퉁이와
건축에 주목할 때라고 말하는 저자의 생각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두런두런 이야기가 집 안에서 흘러나오는 골목길에 대한 추억이 <길모퉁이 건축>의
밑그림이 되었듯이 이 책을 읽다보니  길 가던 동네 사람들의 사랑방 역할을 했던 동네
구멍가게나 재잘거리며 친구들과 뛰어놀던 골목길에 대한 추억이 가슴안쪽에서 비집고
나왔다.  
개발과 성장 중독증때문에 우리가 잃어버리고 있는 것, 갖고 있으되 그 가치를 모르고
있었던 것들이 얼마나 많았는지,  건축이 집을 짓는 것 이상의 문화적 행위라는 것이
이 책을 읽고나니 새삼스레 깨닫게 된다. 
일상의 문화를 공유하는 길이 살아있고 다양한 삶을 포용할 수 있는 중간건축이
되살아나길 저자와 함께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