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수난 1 니코스 카잔차키스 전집 12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이창식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카잔차키스가 한국에 새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1982년의 첫 번역과 마찬가지로 영어 중역본이다. 원서(당연히 그리스어)를 읽는다는 것은 엄두도 못 낼 일이고, 두 역자(고려원의 김성영, 열린책들의 이창식)를 비교하면서 이 오역을 저것으로 수정하고 저 오역을 이것으로 치환하며 이 역자의 글버릇을 저 역자와 비교하고 저 역자의 상투어를 이 역자와 짝지으며 머릿속에서 재구성할 뿐이다. 하기야 "뜻을 얻었으면 말을 잊어라."(장자)라고 하였으니, 사소한 자구상의 오류가 뭐 어떻겠는가? 

그렇지만 역시 씁쓸함을 느끼게 된다. 1982년에서 2008년에 이르는 동안 우리말에 스며든 영어의 깊이를 보여주는 척도가 가끔 눈에 걸리기 때문이다. (같은 텍스트의 번역이되 시차가 큰 텍스트를 읽으면, 번역자의 개성 이상으로 언어의 변화를 느끼게 된다) 책 전체에서 가장 비근한 예를 딱 하나만 든다. 

"넌 그 여자에게 폭삭했구나. 이 불쌍한 놈아, 내가 뭐라고 그랬어. 여자는 조심하라고 그랬잖아! <난 여자가 필요해요. 여자를 줘요, 지금 당장!> 하고 보채더니만 그만 꼴 좋구나." (김성영, 고려원, 1982, p.487)  

"그 여자에게 완전히 홀렸군, 가여운 악마. 내가 경고했지. 여자를 조심하라고! 하지만 넌 듣지 않았어. <난 여자를 원해! 당장 여자를 데려와!> 하고 안달하더니, 지금 네 꼬락서니를 좀 봐라. 그래도 싸지!" (이창식, 열린책들, 2008, 2권 pp.530~5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니 타케자키의 건담만화 토니 타케자키의 건담만화 1
토니 타케자키 글 그림, 김정규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자질구레한 점에도 좀 신경을 썼으면 좋겠다.

1. 의도적인지 아닌지 모르겠으나, 번역이 번역기를 돌린 듯하다.

1-1. 그나마도 치환어를 저질스럽게 골라 입력해 놓은 번역기를 돌린 듯하다.

ex) 그냥 '거유'나 '엉덩이가 크다'고 해도 될 것을 굳이 '왕찌찌'나 '왕궁뎅이'라고 할 이유는?

2. 텍스트 조판이 대패질한 스캔본보다도 못하다. 판형과 텍스트 크기에 따른 가독성 문제도 있겠지만, 그래도 조금만 신경써서 배열하면 띄어쓰기를 중심으로 한 문맥 끊김에 맞출 수 있을 텐데 어이없게 뚝뚝 잘려 있다. 이것이 (1의 문제와 함께) 대사 읽고 이해하는 데 슬슬 짜증을 나게 한다.

ex) <그렇/군. 몰랐/다.> <그런 것/인가.> <알았/다. 계속/해주게.>
      <>는 말풍선 하나. /는 줄바꿈. 세로쓰기인 일본어를 가로쓰기인 한국어로 바꾸어 조판하면서 당연히 한계가 있겠지만 이건 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고] 츠바사 1-19 챔프 학산

평점 :
판매완료


중간중간 페이지가 찢겨 있습니다. 헌책인 것은 알았지만 페이지 찢긴 줄은 몰랐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웃는 남자 - 상
빅토르 위고 지음, 이형식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열린책들의 두 권짜리 <웃는 남자>와 비교하여, 태동판 <웃는 남자>는 단권이다.

책값의 차이 또는 얇은 두 권과 두꺼운 권 사이에서 두꺼운 한 권이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태동판을 권한다.

그러나 번역을 신경쓰는 사람이라면 열린책들 판을 권한다. 빅토르 위고는 프랑스인이지만 <웃는 남자>의 배경은 영국이다. 그런데 태동판에서는 인물의 이름을 모두 프랑스식으로 음역하여, 주인공인 웃는 남자의 이름은 '괭플랜'이고 늑대와 곰남자의 이름은 '오모'와 '위르쉬스'이며 여공작의 이름은 '조지안느'이다. 그러나 열린책들 판에서는 모두 영어식으로 음역하여 '그윈플레인', '호모', '우르수스', '조지언'으로 쓰고 있다.

취향에 맞는 쪽을 선택하시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는 남자
빅토르 위고 지음, 윤혜신 옮김 / 태동출판사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열린책들의 두 권짜리 <웃는 남자>와 비교하여, 태동판 <웃는 남자>는 단권이다.

책값의 차이 또는 얇은 두 권과 한 권 사이에서 두꺼운 한 권이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태동판을 권한다.

그러나 번역을 신경쓰는 사람이라면 열린책들 판을 권한다. 빅토르 위고는 프랑스인이지만 <웃는 남자>의 배경은 영국이다. 그런데 태동판에서는 인물의 이름을 모두 프랑스식으로 음역하여, 주인공인 웃는 남자의 이름은 '괭플랜'이고 늑대와 곰남자의 이름은 '오모'와 '위르쉬스'이며 여공작의 이름은 '조지안느'이다. 그러나 열린책들 판에서는 모두 영어식으로 음역하여 '그윈플레인', '호모', '우르수스', '조지언'으로 쓰고 있다.

취향에 맞는 쪽을 선택하시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