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칼 폴라니를 처음 알게 된 것은 부르스 커밍스<한국전쟁의 기원>을 읽을 때입니다.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워낙 소모적 이념논쟁을 일으킨 책이라 일제시대의 사회경제를 분석한 제 1장은 사람들이 주목을 안 한 것 같습니다.하지만 우리가 명저를 단순히 지적 사치를 위해서만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학문 토착화를 위한다면 폴라니가 <대전환>에서 보여준 식민지 경제에 관한 통찰력을 일제시대 연구에 적용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한국전쟁의 기원>은 이미 국역된지 20년이 넘었지만 커밍스가 폴라니를 언급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더군요. 

  < 한국전쟁의 기원> 제1부 제2장 '일제하의 사회경제적  변동' 중 '2 한국 농민과 시장의 출현'이 폴라니의 농업론을 다룬 내용입니다.아마 제목만 보고도 폴라니 냄새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이 장에서 커밍스가 언급한 내용 일부와 그가 인용한  책을 소개하겠습니다.물론 국내 번역본이 나와 있는 것에 한합니다. 

  ---최근에 농민정치에 나온 훌륭한 연구들은 세계시장체제가 농업관계에 미친 결과들을 다루고 있다.그러나 이런 분석틀이 어느 정도까지 두 명의 사회이론가인 마르크스와 폴라니의 틀에 입각하고 있는지 인식되지 않고 있다....마르크스가 말하는 본원적  축적은 어떤 자본주의 혁명에 있어서도 꼭 필요한 과정이며 본원적 축적이 일어나기 전에는 성숙한 자본주의란 있을 수 없다.폴라니는 유럽과 그 밖에 식민지 나라에서 농민층이 분해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폴라니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식민지에서 이러한 과정은 세 단계를 거친다.첫째.농업부분의 상업화 둘째,그로 인한 식량생산의 증가 세째,잉여가 중심부로 이전하는 것....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려면 베링톤 무어의 저작을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무어는 시장의 침투와 상업화에 대한 사회의 대응을 검토하면서 그러한 대응 속에서 계급구조가 어떻게 변하며 어떤 정치구조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그리고 세계시장관계가 한국과 같은 미곡생산을 주로하는 지역에 침입했을 때 나타나는 강하고 폭발적인 충격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면서 커밍스는 토지조사사업,산미증산 계획,한국의 지주가 기업가형 지주로 변하지 못한 원인 등을 살피고 있습니다.여하튼 아예 제1부의 제1장 '일제통치하 한국의 국가와 계급'까지 정독하십시오. 

 커밍스가 인용한 책 중 국내에 번역 또는 해설된 책

1.본원적 축적에 관하여-칼 마르크스<자본>제 1권 7부   모리스 돕 저 이선근 역<자본주의 발전연구>(광민사 1979) 제 5부

2.베링턴 무어 저 진덕규 역<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까치 1986)  이 책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한국비교사회연구회 편저<비교사회학 제 2권>(열음사1992) 중 성경륭의 논문을 보라.무어는 전근대적 봉건사회로부터 근대적 산업사회로 이행하는 세 경로,즉 부르주아 혁명,위로부터의 혁명과 파시즘,그리고 공산주의 혁명에서 봉건사회의 중심계급이었던 지주계급과 농민계급이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가를 규명하고 있다. 

3.제프리 페이지<농민혁명>은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다행히 한국비교사회 연구회 편저 앞의 책에 유석춘<페이지의 농민혁명  비교연구>라는 논문이 있다.페이지의 이 저작은 미국이 베트남전에서 지면서 미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반성의 기운이 높을 때 나왔다.수출농업부문의 경제가 농민운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쓰여진 책.  커밍스는 이 책을 통해 일제시대 때 소작쟁의와 해방공간의 농민운동을 연구하는 분석틀을 얻었다. 

4.스타벤 하겐 외 편저 김대웅 장영배 역 <농업사회의 구조와 변동>(백산서당 1982)  이 책은 스타벤하겐의 <농업사회와 사회계급> 제1장에서 8장까지를 번역했고,  데오도어 샤닌 편<농민과 농촌사회> 중 몇 몇 논문을 번역했다.예전엔 이런 식으로 해적판 번역이 많았다. 제3세계의 농민을 집중하여 분석했다. 

 위의 책들은 계급분석이 매우 치밀함. 

 커밍스가 소개한 책 외에 좀 덜 학술적인 책으로 헤일부르너<세계를 움직인 경제학자들>의 제 1장 '경제혁명'을 권합니다.이 책은 경제학자들을 소개한 부분만 읽는 이들이 많으나 사실은  제1장이 제일 중요합니다.경제사 지식이 없는 이들도 재밌게 읽을 수 있습니다.시장경제의 이윤이라는 개념이 전근대적인 봉건시대 사람들에게 얼마나 생소한 것이었는지 시장경제 정착이 기존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매우 흥미롭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폴라니와 비교해서 읽어보시길.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쟈 2009-08-11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전쟁의 기원>은 절반만 번역된 거지요? 번역은 좋은가요? 전에 불평하는 얘기를 들어서요...

노이에자이트 2009-08-11 22:07   좋아요 0 | URL
제 1권은 일제시대부터 1947년까지이고 국내번역되었지요. 그 뒤부터 전쟁경과까지는 번역된다는 말만 있고 아직도 번역되지 않았어요.커밍스는 제1권을 낸지 몇년있다 2권을 썼지요.
저는 청사 것을 읽었는데 그다지 불편한 점은 못 느꼈습니다.

로쟈 2009-08-11 22:14   좋아요 0 | URL
번역이 안되는 이유도 의문이네요. 이젠 넘어섰다는 뜻일까요?

노이에자이트 2009-08-11 22:52   좋아요 0 | URL
박명림 책이 잘 되었다고 하지만 커밍스 것이 완역되어야 비교를 해볼텐데 난감하네요.박명림 책을 읽어보면 커밍스를 의식한 듯한 문장이 나오긴 하죠.
한국전쟁의 기원 2권 중 전쟁발발 무렵만 신동아 1990년 6~7월호에 번역되어 있습니다.그때는 곧 완역될 것 같다고 하더니 20년 째 감감무소식입니다.

로쟈 2009-08-11 23:07   좋아요 0 | URL
네, 그땐 커밍스의 수정주의를 극복했다느니 얘기가 있었죠. 저도 분량이 두배 되는 줄 알았어요. 하지만 커밍스의 책도 두 권이니 분량으로 극복한 건 아닐테고, 각자가 원서를 읽어보고 비교하란 건가봐요...

노이에자이트 2009-08-11 23:14   좋아요 0 | URL
커밍스를 우리나라에서 소비하는 방식이 문제가 많아요.그저 정통이니 수정이니 이념논쟁으로만 끌고 가니까요.사실은 폴라니나 무어의 이론을 일제시대 농업에 적용하려고 한 시도도 중요한데...참 거시기합니다.

박명림 책은 도서관에서 빌려 주요내용과 인용한 책을 거의 베끼다시피하면서 공부한 생각이 나네요.조선일보가 박명림 책을 마치 조선일보가 추구하는 한국현대사 해석을 옹호하는 것처럼 선전하던 것이 생각납니다.

미국사람 2011-08-19 0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 읽은지가 꽤 되는데 커밍스가 폴라니 이야기한다는 것은 처음 알았네요. 하긴 그때 폴라니는 이름도 몰랐으니까요.
그리고 한국전쟁의 기원이 청사쪽 번역이 있었군요. 저는 일월서각 것을 읽었는데 번역이 억망이었는데.. 문장이 이상해서 원문을 찿아보면 어김없이 오역입니다.
그리고 커밍스는 한국에 대한 상당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데(이혼하고 다시 결혼한 사람이 한국인입니다.) 국내의 시각이 문제가 많아서 안타깝읍니다.
또 노선생님에게 한수 배웠읍니다. 그나 저나 이 블로그 읽느라고 며칠 갈 거 같은데 문제네요.

노이에자이트 2011-08-19 16:49   좋아요 0 | URL
아무래도 커밍스가 막 번역되었을 때엔 폴라니가 지금처럼 익숙한 이름이 아니었죠.하지만 그 무렵도 그의 책 <인간의 경제>는 번역되어 있었습니다.

커밍스가 전남대에서 주는 김대중 학술상을 받아서 그렇지 않아도 전라도 좌빨과 한통속이라는 욕을 하는 이들이 있죠.사실 한국전쟁의 기원은 첫 장에 역사학이나 사회과학 분야의 고전들이 많이 인용되어 있어서 익숙치 않은 이들이 읽기 힘들죠.

제 글이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