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이나 사상에 비해 실제 우리가 사는 세상은 설명하기 힘든 기괴한 일이 꽤 있고 미신 좋아하는 이들이 수근댈 만한 괴담도 있지요.유신 체제의 성립과 몰락에 대해서도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뭔가 불길하다는 낌새를 느낄 수 있는 일들.결과론 적인 이야기지만 온갖 반대를 무릅쓰고 3선 개헌을 무리하게 추진하고 유신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을 보면 박정희 장군은 부하에게 죽음을 당하기 위해서 온갖 수고를 다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유신의 단초는 3선 개헌에 있고 이것을 추진하기 위해서 7대 총선에서 개헌선을 확보하기 위해 온갖 부정선거를 저지릅니다만 유신체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한 때는 1972년 이후락이 평양을 방문한지 10여일이 지난 1972년 5월 중순이라는 게 정설입니다(남북간 비밀접촉이 한창이던 때에 유신작업이 본격화 되기 시작했지요)작업본부는 청와대 옆 궁정동의 정보부 별관 사무실인데 얄궂게도 이 곳은 김재규가 박정희에게 총탄을 퍼부어 유신의 막을 내린 장소이기도 합니다.이른바 궁정동 안가.이 곳은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군사독재의 상징이라며 허물어 버리지요.

  유신 선포에서 대통령 취임식까지의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972년 10월 17일 대통령 비상사태 선포.계엄령 실시.10월 17일 유신헌법안 공고.11월 16일 4,19에 참여했던 인사 45명이 유신 적극 지지를 결의.이들은 결의문에서 "유신 개혁이 조국의 평화적 통일작업과 내실 있는 자강체제의 확립을 위한 일대 영단이며 새 역사 창조의 장엄한 대열에 붙퇴진의 결의로 흔쾌히 참여하자"라고 썼습니다.11월 21일 국민투표---투표율 91.5% 찬셩률 91.5% .12월 15일 통일 주체 대의원 선거 실시.2359명의 대의원 선출. 12월 23일 통일 주체 대의원 회의에서 단독 출마한 박정희 후보가 99.9%의 득표로 대통령에 당선. 

  유신 개헌이 마무리 되고 제 8대 대통령 취임일인 1972년 12월 27일.역대 대통령 취임식은 중앙청 앞 광장에서 하던 관례가 있었으나 이때에는 경호상 문제가 있다며,장충 체육관에서 했습니다.통일주체 대의원과 극히 제한된 인사들만 초청을 받았고,밖에는 삼엄한 경비가 전개되었지요.박정희가 취임선서를 마치고 취임사를 낭독하기 시작할 때 난 데 없이 단상 옆의 거대한 국기 게양대가 흔들거리며 중간에서 탁 꺾이더니 태극기가 바닥에 떨어졌습니다.취임사를 낭독하던 박정희가 깜짝 놀라 몸을 피했고 장내는 잠시동안 수라장이 되었습니다.취임식에 웬 불길한 일이냐며 수군수군... 

  박정희가 암살된 1979년 10월 26일.그로부터 딱 70년 전인 1909년 10월 26일엔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의 총에 쓰러진 날.김재규가 쏜 총은 리벌버 6연발.안중근이 쏜 총은 부라우닝 6연발.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9-03-20 0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국기 게양대가 꺾인건 진짜인가요? 박정희와 이토의 암살일과 사용된 총의 유사성은 우연치곤 놀랍네요.

노이에자이트 2009-03-20 23:14   좋아요 0 | URL
국기 게양대 사건은 유명합니다.
일제 땐 6연발 권총을 육혈포라고 했습니다.총알 들어가는 구멍이 여섯개라는 뜻이죠.

쟈니 2009-03-20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놀랍네요. 제국주의자의 말로는 비슷하다고 할까요..

노이에자이트 2009-03-20 23:15   좋아요 0 | URL
좀 우연의 일치가 이상하죠...

MB셔스 2009-03-22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얼마전 남대문 전소사건이 떠오르는군요....

노이에자이트 2009-03-22 15:03   좋아요 0 | URL
그때도 이런 저런 말이 많았지요.

건조기후 2009-03-22 1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헛 신기해요.. 역시 우리도 숭례문 화재가 예사롭지 않았다는 게 현실로 나타나고 있군요.
링컨과 레이건..이 아니라 케네디;가 100년 차이로 놀랍게 유사했던 것도 생각납니다. 어찌 부통령이며 비서며 암살자까지 그렇게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지.

노이에자이트 2009-03-22 15:04   좋아요 0 | URL
특히 미국 대통령의 암살사건에 관해 이런 저런 일화가 많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