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스페이스 실록 - 너의 뇌에 별을 넣어줄게 파랑새 영어덜트 4
곽재식 지음, 김듀오 그림 / 파랑새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을 데리고 떠나는 천문학 여행을 갔었는데요

깜깜한 밤하늘에 수놓은 별자리들을 보며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을 찾고 목동자리, 처녀자리, 사자자리를 찾으며

별들은 참 신기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던 기억이 있어요.


사람들은 저처럼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며 신기하다. 이쁘다. 아름답다는 생각들 많이들 할텐데요

오늘은 옛사람들은 나와 똑같은 하늘을 보며 어떤 생각을 했을까라는 궁금증을 풀어줄것 같은

역사서 같으면서 과학석 같은 <슈퍼 스페이스 실록>을 읽어 보았답니다.

이 책은 십여 년간 한국의 괴물 이야기에 대한 글을 쓰시면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신비로운 한국 괴물에 대한 글을 쓰셨던 곽재식 교수님의 책인데요,


별에 관한 전설, 우주에 대한 상상,  한국인들이 하늘 밖의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았을까라는데

초점을 두고 한국의 옛이야기와 역사가 과학 지식과 어우러지면서 만들어진  이야기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우리에게

알려주려고 싶다는 마음으로 <슈퍼 스페이스 실록>을 쓰셨다고 해요.


차   례

* 하늘과 땅, 해와 달

* 여덟 행성

* 더 먼 곳

* 별과 별자리 

* 블랙홀과 초신성, 이상한 별

* 우주와 세상의 끝




아이의 취향에 발맞추기 위해 과학 도서를 찾아 읽는 저로서는 지금까지 접하지 못했던 상식(?)을 쌓으면서

읽을 수 있었던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이 담겨 있어  너무도 신선했답니다.


예를 들면



'그래도 지구는 돈다'로 유명한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목성을 중심으로 목성의 위성들이 도는 것을 보고

지구가 세상의 모든 별들의 중심이 아니라는 지동설을 펼쳤는데, 

조선 숙종 시대 학자 김석문은 지구, 달, 태양등은 모두 커다란 공 모양의 둥근 물체이며 

우주에서 허공에 뜬 채로 이리저리 돌고 있다는 삼대환공부설을 이야기했다고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소개하는 글을 읽으며


중국이 세상의 중심이라 믿었던 조선 시대에 삼대환공부설 같은 학설을 이야기할 수 있었던 김석문이라는 학자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만약 조선 숙종 시대 때 조선이 세계 여러 나라와 활발하게 교류했다면 

조선 사람들이 세상을 보는 눈이 더 빨리 바뀌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도 있었고,



경주 천문대의 정체에 대해 의문을 품은 학자들이 있다는 대목

(긴 통 같은 모양의 건물 속에 기어서 들어가는 과정이 불편하고 

그곳에 올라 별을 보는 것에 대한 장점이 상대적으로 불분명하다는 글)이 유독 눈길을 끄는데

아이와 함께 첨성대를 갔었을 때 저희 또한 이곳에서 정말 별을 관찰하는 게 의미가 있나라는 생각을 했던 터라

더 공감하며 읽게 되었답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별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실려 있는데

그 별은 현대 과학으로 미루어 짐작해 보면 행성 중 금성(태백성)에 해당된다고 해요.


조선 후기 음력 5월 5일 단오날 태백제를 성대히 치렀다는 기록을 있는데

그 시기에  밤하늘에 뜨는 행성 등을 보면 달 다음으로 밝은 행성이 금성(태백성)이라 그러하지는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고


이른 아침 전투를 앞둔 이성계 장군이 다른 장군들과 결의를 다진 것 등에 대한 '고려사절요'기록을 살펴보면

아침 일찍 일어나 하늘을 바라보는 습관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 등.......


중국의 음양오행과 맞물려 금성 (태백성)이 태조 이성계의 별로 인지되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에 

그럴 수 있겠다고 생각했답니다.



밤하늘에 보이는 수없이 많은 별들

대략 2000개에서 4000개 이상이 뜨는데 대부분이 항성이라 비슷한 위치에서 뜨고 비슷한 위치에서 지지요.

올해에 본 별을 내년에도 보고 다음 해에도 보니 사람들은 비교적 눈에 잘 띄는 별들 몇 개를 연결해서 어떤 모양을 이루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가장 눈에 잘 띄는 별.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이 가장 대표적이에요.


중국에선 28개의 별자리를 기록하고 다시 네 부류로 나눠 청룡, 백호, 주작, 현무라는 상상의 동물 모습을 떠 올렸답니다.


조선에서도 어떤 별이 보이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  별의 지도를 그렸는데

그 수가 무려 1467개.


큰 동그라미 두 개를 그려 놓고 

왼쪽 원은 태양의 위치를 나타내는 황도.

오른쪽 원은 당의 각도를 나타내는 적도.

두 원이 겹치는 곳은 계절에 상관없이 보이는 별자리


현대의 천문학은 유럽에서 사용해온 별자리를 공통으로 쓰고 있는데 이 별자리들의 이름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유래된 별자리 이름을 쓰고 있답니다.

그리고 또 하나 별의 밝기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는데  1등성에서 6등성으로 분류하는데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떠 있는 별도 밝기의 정도에 따라 굵고 크게 그려 놓았답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사실을 감안해서 볼 때

정확한 해석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시대를 거슬러 옛사람들의 과학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나 신화. 설화로 접목해서 생각해 본다는 게

너무 흥미로웠어요.



과학이 발전한 지금 우리가 받아들이고 있는 과학적 사실을

시대를 거슬러 올라  옛사람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을까라는 

기대로 읽었는데 기대 이상으로 너무 흥미진진했던 <슈퍼 스페이스 실록>


우리가 사는 한국에서 열심히 생각하고 연구하는 하늘 밖 세상의 우주와 별.  그리고 과학

작가가 의도한 한국적 전설. 신화. 옛이야기가 너무도 잘 어우러져 

마치 한 편 한 편 아껴 듣는 할머니의 옛이야기를 밤마다 듣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들었답니다.



신비한 우주.

궁금한 옛이야기.

믿고 싶은 전설이 어우러진 <슈퍼 스페이스 실록>




과학자가 들려주는 멋들어진 이야기의 세상은 여러분에게 신나고 즐거운 시간을 선물해 줄 거예요.




본 서평은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