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미안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고전을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 요즘 출간되는 책과는 다르게 쉽게 읽히지 않는다. 책 출간 당시 사회적 현상과 그것의 설명이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는다. 이런 다양한 이유들로 고전에 손이 쉽게 가지 않는다. 데미안은 그런 의미로 책장에 오랜시간 있었지만 나중에 읽을 책으로 남아있었다.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고전의 힘을 느꼈다. 왜 고전을 여러번 읽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한마디로 다양성이다. 고전은 어느 한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수많은 고전들이 각각의 시대를 표현하면서 그 책만이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에 많은 작품들이 같은 결로 쓰여져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 그래서 다양성은 고전에서 찾아야 한다. 주기적인 고전읽기를 멈추지 말아야 겠다.
<우리 집 가정부 리나는 저녁 기도 때 거실 문가에 앉아 깨끗이 씻은 두 손을 단정하게 매만진 앞치마 위에 올려놓고 맑은 목소리로 우리와 함께 찬송가를 불렀는데, 그럴 때 리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세계, 밝고 진실한 세계에 속했다. 하지만 부엌이나 헛간에서 내게 머리 없는 난쟁이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푸줏간에서 이웃 여자들과 싸울 때면, 다른 세계의 사람이었고 비밀에 싸여 있었다.>
두 세계에 존재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주인공은 이미 그리고 있는 모습일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환경과 모습을 투영하면서 대비되는 현실을 말한다.
<나는 이런 생각을 끝없이 했다. 돌 하나가 우물 안에 던져졌고, 그 우물은 나의 젊은 영혼이었다. 그리고 긴, 몹시 긴 시간 동안 카인, 쳐 죽임, 표적은 바로 인식, 회의, 비판에 이르려는 내 시도들의 출발점이었다.>
변화를 인정하고 부정과 비판을 이해하는 모습을 그린듯 하다. 비판적 사고는 요즘 학교에서 강조하는 점이다. 그 출발점을 일깨워주는 데미안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인물이다.
<돌이킬 수 없는 지나간 것에, 잃어버린 낙원의 꿈에, 모든 꿈 중에서 가장 나쁘고 가장 살인적인 그 꿈에 한평생 고통스럽게 들러붙는다.>
트라우마는 누구에게나 고통스럽다. 각자의 비밀은 다른이에겐 말하지 못하는 일들이며 평생 남는다. 치유를 위한 손길 보다 공감과 같은 처지의 사람에게서 유일하게 힘을 얻는다.
<나는 이야기하고 싶고 뭔가를 전하고 싶은 고이고 고인 욕구를 실컷 쏟아 내는 기쁨에, 인정받는다는 기쁨에, 연장자에게 다소 인정받는다는 기쁨에 가슴이 부풀어 올랐다. 그가나를 천재적인 멋들어진 녀석이라고 불렀을 때는 그 말이 감미로운 독주처럼 영혼 속으로 번졌다.>
누구나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다. 칭찬은 아무리 들어도 싫지 않은 것은 그 욕구 때문이다. 서로가 힘이되어주는 관계는 찾기 힘들다. 친구라고 누구나 그런 관계는 아니다. 찾기 이전에 내가 그런 사람이 되어주길 바래본다.
<하지만 자네 자신이 도덕주의자가 아니기도 해야지! 자신을 남들과 비교해서는 안 돼, 자연이 자네를 박쥐로 만들어 놓았다면, 자신을 타조로 만들려고 해서는 안 돼. 더러 자신을 특별하다고 생각하고, 대부분의 사람들과는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자신을 나무라지. 그런 나무람을 그만두어야 하네. 불을 들여다보고 구름을 바라보게. 예감들이 떠오르고 자네 영혼속에서 목소리들이 말하기 시작하거든 곧바로 자신을 그 목소리에 맡기고 묻지는 마. 그것이 선생님이나 아버지 혹은 그 어떤 하느님의 마음에 들까 하고 말이야. 그런 물음이 자신을 망치는 거야. 그런 물음들 때문에 인도로 올라서고 화석이 되어 가는 거지.>
마음이 지치고 자신이 혼자서 이겨내기 힘들때가 있다. 남들과 비교하는 것과 나를 내가 아닌 다른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시작이다. 어떤 문제도 자신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
<에바 부인이 말했어. 네가 언젠가 잘 지내지 못하면 나더러 네게 당신의 키스를 해 달라고. 나에게 주어 보낸 키스를... 눈을 같아. 싱클레어!
나는 선선히 눈을 감았다. 내 입술 위에 가벼운 입맞춤이 느껴졌다.>
데미안의 입맞춤은 에바부인의 편지이며 마음일 것이다. 주인공의 상상에서 만들어낸 환상일 수도 있다. 1차 세계 대전 상황에서 그려낸 마지막을 의미하며 진한 여흥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