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 우리의 삶을 넘어선 본질에 대한 이야기 세스 시리즈
제인 로버츠 지음, 매건 김 옮김 / 터닝페이지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저자인 제인 로버츠의 ‘세스 매트리얼’ 후속작품이다. 저자는 1963년 ‘세스’라는 다른 차원의 존재와의 만남을 통해 세상과 우주를 이루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책으로 전하게 된다. 그 후로 관련된 책만 25권이다. 이 책은 수많은 심리학과 자기계발서에 영향을 주면서 오랬동안 읽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출간된 2번째 책인 ‘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영혼의 가치와 이해에 집중하고 있다. 책의 내용은 쉽지 않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눈에 보이는 물질적인 것만 이해하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한 내용이 25권이나 편찬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구체적이고 무엇을 하면 어떻게 된다는 식의 이해를 구하는 내용은 아니지만 독자를 이해시키기 위해 꼼꼼하게 설명하고 있다. 핵심은 영혼에 대한 이야기 이지만 삶의 철학적 내용과 깊이 연결되오 있다. 삶의 방향성과 살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들을 상기 시킨다. 인생의 6하원칙 중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보다 '누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전에 이해가지 않았던 철학적 내용들이 연결되는 느낌을 받는다.

<여러분의 아버지가 평생 여덟 개의 의자를 좋아했다고 가정해보자. 인식 메커니즘이 시간의 논리보다는 직관적인 연상 작용의 결과로 성립되었다면 모든 의자를 동시에 인식하거나 하나를 보고 다른 모든 의자를 의식할 것이다. 환경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인식 패턴의 결과이며 심리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p.50>
기억에 의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기억이 나는 것과 나지 않는 것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갑자기 생각나는 아이디어와 창의적 상상력은 어떤 이유에서 우리에게 오는 것일까 고민해 보았다. 우리는 가지고 있는 지각에 존재하는 인식의 패턴으로 그런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각에 존재하지 않는 깊은 내면에 더 많은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 패턴을 사용하려면 존재 자체를 의심하면 안된다. 먼저 의식해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 까진 모르지만 믿음 자체가 없다면 그런 아이디어는 생겨나지 않는다. 주변에 좋은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사람들을 보면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과 포기하지 않는 마음이 이런 이유가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가끔 소식이 건강에 좋듯 긴 시간 잡을 자는 것보다는 짧지만 깊은 잠을 나누어 자는 것이 유익하다. 수면 패턴을 보다 자연스럽게 변화시킨다면 주관적인 체험을 훨씬 잘 기억하게 되고 몸도 더욱 건강해질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육체는 다시 휴식을 취하기 위해 16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p.125>
음식을 소식하는 것과 잠을 연결하는 발상이 재미있다. 우리는 잠을 자는 것에 집착할 때가 많다. 피곤함을 느낄수록 더욱 그러하다. 어쩌다 낮잠을 자면 몸이 가벼워지고 활력이 넘쳐난다. 하지만 그 시간을 아깝게 생각하고 밤에도 같은 이유로 잠을 못자는 악순환이 되풀이 된다. 피곤하면 잠을 더 많이 자면 된다는 생각한다. 하지만 몇일 밤 늦게 자고 그래서 많이 자면 힘이 넘치고 개운했던가? 피곤함은 좀처럼 풀리지 않는다. 유명 인사들이 잠을 쪼개어 자주 적게 잔다고 했던 것이 생각났다. 몸의 생체 리듬에 맞는 적당한 수면은 과학적으로도 증명된 내용이다. 한번에 몰아서 잠을 자는 습관은 이제 버려야 한다. 하루에 중간 중간 잠깐의 수면은 많은 도움이 된다. 생각을 줄이고 여기서 말하는 방법을 실천해 보자.

<총명하고 명석하고 활발하고 강력한 의식으로 의식 리듬의 효율성을 유지하며 현실을 똑바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자주 휴식을 해야한다. p.134>
자주 휴식을 취하는 것을 게으르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일하고 쉬고는 반복되어야 한다. 일만 하거나 쉬기만 하는 것은 지치고 귀찮아지며 포기하게 만든다. 학업에 집중하고 있는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길게 공부하고 길게 휴식 하는 것이 얼마나 비 효율적인지 생각해 보자. 긴 휴식에서 다시 공부로 이어지기는 어렵다. 흐름이 끊기고 다시 집중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자주 휴식을 해야한다. 다시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실천해 보자.

<각성의식이 육체적인 일상생활의 줄거리를 기억하고 삶의 지속성을 유지하듯이 꿈꾸는 자아 역시 그간 겪어온 꿈 활동의 주요 구성을 기억한다. 깨어 있는 삶이 지속성을 가지는 것처럼 잠자는 삶에서도 지속성을 갖는 것이다. 모든 꿈속 체험과 만남을 의식하고 있다. p.164>
꿈을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꿈에서 깬 직후 기억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시간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삭제되는 느낌이다. 꿈에서의 삶을 상상해 보면 현실 이상으로 많은 일을 한다. 현실에서 상상하지 못했던 많은 일들이 있다. 단지 꿈이고 환상이라고 생각하고 말지만 그런 꿈을 꾸는데 분명 이유가 있다. 꿈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떨까?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해리포터이야기는 작가의 꿈에서 시작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시점이라면 꿈을 인식하고 꿈에서도 깨어있는 연습을 해보는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