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호, 세상을 논하다 - 성호 이익의 비망록, <성호사설>을 다시 읽다 ㅣ 뉴아카이브 총서 3
강명관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6월
평점 :
나는 보통 책을 읽을 때 저자의 약력을 먼저 읽고 책머리를 꼼꼼히 챙겨 읽는 편이다. 그래야 책을 읽으면서 무슨 내용이 전개될 것인지 짐작할 수 있고 지은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공교롭게 책을 한참 읽은 후에 저자의 약력을 읽었다. 한문학과 교수님이지만 책 내용에서 고리타분한 냄새가 나지 않을 뿐더러 여타 역사학자보다 휠씬 진보적이고 비판적이다. 아울러 어려운 성호사설(星湖僿說)을 "잘게 부술 사(僿)" 자(字)처럼 먹기좋기 부셔서 자신의 생각을 가지런히 곁들여 놓아 한편 한편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다.
"성호사설이란 책은 읽어내기가 결코 쉽지 않다. 한문으로 쓰인데다가 모두 3007편이란 거창한 분량 때문이다. 이 3007편의 글은 천지문, 만물문, 인사문, 경사문, 시문문 다섯 부문으로 나뉜다. 글이 다루고 있는 제재와 주제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분류만 이루어졌을 뿐 각 편이 일정한 체계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11 pape-"
성호사설을 쓴 성호(星湖) 이익(李瀷1681-1763)은 영조 때 사람이다. 저자의 말처럼 성호를 실학자로 생각해 왔으나 기본적으로 유학자였다는 말은 다산 정약용의 경우를 빛추어 보아 백배 동감했다. 그의 부친 이하진은 대사헌(현 검찰총장)을 지냈으나, 그는 남인이라 평생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저술과 후진양성에 힘썼다. 그는 백성과 나라를 진정으로 걱정하는 유학자였으며 서얼제과 노비제를 비판하는 검소한 지식인이었다.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제2장 사회를 논하다"일 것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가슴 한구석이 답답해지며 멍울진 기분을 떨쳐 버릴 수 없었다. 백성의 거죽을 벗기고 뼈를 바르는 탐욕한 관료들과 토악질에 살던 곳을 떠나 길거리의 시체로 삶을 마감해야 했던 유민들의 삶이 교차되는 부분에 조선왕조 오백년이 풍악을 울리고 있었던 것이다. 저자는 "조선이란 국가의 관료조직은 본질적으로 거대한 착취기관이다"라는 한마디로 모든 폐악들을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란 존재 자체가 본질적으로 의(義)보다 리(利)에 가까운 존재가 아닌가. 그래서 맹가(孟軻)는 맹자 첫장에서 하필왈리(何必曰利)라 물었고, 공자님 또한 견리사의(見利思義)라 하지 않았던가.
마지막 장의 주전(主戰)과 주화(主和) 그리고 고려의 사대(事大)에 대한 성호의 의견이 상당히 흥미롭다. 성호는 주전을 하던 주화를 하던 닭보다 못한 정쟁을 일삼는 벼슬아치들의 명분론에는 관심이 없다. "한 장수가 공을 이루면 만 사람의 뼈가 마른다"는 말을 인용하며 "나라는 스스로 막는 것이 아니라 백성의 힘에 의지해야 하는 법인데 평소 백성을 후한 정치로 길러놓지 않으면 난리가 났을 때 어떻게 백성의 힘을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한다. 그래서 저자는 "성호를 주전파도 주화파도 아닌 개인과 백성의 생명을 위했던 생명파" 라고 했다. 평상시에는 백성의 고혈을 빨아먹으며 호위호식하고 전쟁시에는 백성을 방패삼아 도망다니는 지배 구조에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희망이 없다.
아울러 우리가 생각하는 사대(事大)에 대하여 성호는 달리 해석하고 있다. 고려란 국가가 거대 제국의 틈바구니에서 소멸하지 않고 국가를 유지하면서 강대국들(송나라, 원나라)이 세계사에서 사라지는 것을 목도할 수 있었던 것이 사대(외교)의 덕분이며,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강경주의로 나갔다면 힘없는 백성들만 도륙하고 국가조차 사라졌을 것이란 애기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성호사설을 통해 곳곳에서 강조한다. 당쟁으로 인해 전쟁을 초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왜란이 끝난 뒤에 반성하지 않고 다시 당쟁을 일삼은 것을 보면서 "역사에서 도대체 무엇을 배웠는가" 라며 통탄한다. 그러나 역사는 반복한다고 지금도 여전히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