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한다는 착각 - 나는 왜 어떤 것은 기억하고 어떤 것은 잊어버릴까
차란 란가나스 지음, 김승욱 옮김 / 김영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리뷰는 해당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한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기억에 대한 것은 나에게 대수롭지 않은 것이었다.
기억 그까짓 거 못할게 뭐람? 소싯적 미주알고주알 나누었던 대화는 물론이고 그날의 날씨와 분위기, 냄새, 어떤 이의 아주 미묘한 분위기까지 싹 다 기억하는 나로서는 기억력이라는 것이 잠시 멈추어 생각을 짚어주는 나만의 도구이기도 했다.

그랬던 도구가.. 망각의 샘에 빠져 제 기능을 못한다는 상실감이 성큼 다가왔을 때, '기억한다는 착각'이라는 타이틀은 지금의 건망증이 대수롭지 않게 붉어지는 상황보다도 이전의 나를 뒤집는 말로 받아들여 졌다.

그렇게 흥미롭게 읽어가면서 장소를 바꾸어 읽기를 여러번. 쉽사리 연결되지 않는, 집중력 저하를 느낄 때 즈음 책에서 명쾌한 답을 내려주었다.

해마가 기억을 계속 갱신하다 못해 나중에는 이렇다 할 맥락이 사라지는 지경에 이르게 되고, 그러면 언제 어디서든 그 정보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며 기억이 거듭 갱신되어 경계선과 단차가 줄어들다 사라질 것이란 것.

-

이 책은 기억이라는 주제로
뇌의 많은 역할과 삶의 연관성을 여러 측면으로 담아냈다.

초반에는 기억과 관련한 뇌의 다양한 역할과 사례를 담아내었고
기억을 위한 도식, 재편, 작화 등의 현상들을 탐구하도록 하였다.

또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뇌의 감각이
의사결정, 트라우마, 심리요법 등과 같은 분야에
기억과 반응에 어떤 연관이 있는지 살필 수 있었으며

긍정/부정편향, 집단 기억과 사회적 확증,
학습적 효과와 암시, 수면의 효과 등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었다.

-

기억한다는 착각을 읽으면서
용어들이 명확하고 설명이 간결해서 이해하기 쉬운 점도
완독의 추진력이 되어 주었다.

맥락, 일화기억, 의미기억, 덩어리짓기, 도식
해마, 전전두엽피질, 편도체, 주변후피질, 신피질, 측두엽
노르아드레날린, 코르티솔, 도파민
기억 재구축, 기억 작화, 기억 왜곡, 기억 갱신 등등

용어들을 대충 떠올려보면서
실수 기반 학습 효과를 직접 적용해 봐야겠단 생각이 든다.

초반에는 건망증과 관련한
내 기억의 문제점들을 살펴볼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읽게 되어
그 답이 전전두엽피질 때문이라는 것을 금방 찾을 수 있었는데

이후 과거-현재-미래를 구성하는 기억의 존재와
주변인들의 기억과 학습, 기억 강화를 돕는 역할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끝까지 흥미롭게 살펴볼 수 있었다.

기존에 알고 있는 것들과 연결되면서 시너지가 나서 좋았고
이 것들을 실천으로 강화해야겠다는 다짐도 들었다.

인간의 진화와 생존에 꼭 필요했던 기억에 대한 뇌과학 인사이트!
별 다섯개로 마무리를 해본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