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 인간의 문제인가 신의 문제인가
바트 어만 지음, 이화인 옮김 / 갈라파고스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원제 <God’s Problem : How the Bible Fails to Answer Our Most Important Question Why We Suffer >, 나는 이 제목이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제목에서부터 고통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회피하고 고통에 맞서고자 하는 의지를 버리고 있기에 그렇다. 제목만 보면 고통의 시작과 극복하지 못하는 이유와 책임을 신에게 돌려 놓고 시작한다. 그리스도교를 떠난 사람답게 강건너에서 말하는 듯하다. 저자는 고통을 설명할 수 없고 이유와 원인을 모른다고 하는 코헬렛, 전도서 기자의 의견 외에는 성서의 모든 설명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바트 어만은 성경이 고통의 문제에 대답하는데(문제에 대한 해답과 해결에) 실패했다고 보고 있는데, 이것이 다이다. 그 다음 어떻게 하겠다는 이야기가 보이지 않는다. 바트 어만은 하나님에게 불만이 크다. 자기에게 손해를 입힌 누군가를 공격하듯이 몰아 부친다. 이런 식으로 전개하기보다 대신 성경의 저자들이 고통 속에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루는 방식이 미숙하고 지금 시대에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했어야 하지 않을까?


‘Why We Suffer?’, 이 물음은 ‘고통은 없어야 한다’, 혹은 ‘고통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전제로 하는 물음처럼 보인다. 고통의 원인과 이유, 책임 소재를 확인하려고만 한다. ‘어떻게’에 대한 추구는 보이지 않는다. 인류의 진화는 이 고통을 극복해 가는 과정이었다. Why We Suffer? 인간이 어째서 고통을 당하냐고? 神이 아니고 유한한 인간이니까. 그렇다고 체념이나 방관할 수는 없다. 그때 그때 부딪히면서 쓰러졌다가 다시 일어서고 해야 할 것이다. 神을 찾는 이유가 무엇일까? 인간의 지식과 지혜로는 이해할 수 없고 닥친 현안을 감당할 수 없을 때 신을 찾는다. 알고 깨달으면 더 이상 神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성경은 고통을 겪으면서 각 시대 상황에서 나름대로 이해하고 설명하려고 애썼을 뿐이다. ‘맞다 틀리다’로만 말할 것 이 아니라 그것은 그들의 최선이자 한계임을 인정해 주어야 할 것이다. 


* 1장에서 저자는 책의 목적이 사람들이 고통에 대해 생각하도록 돕기 위함이라고 했다(p37). 성서에서 고통을 어떻게 말하는지 살피고 그 안에서 고통의 해답을 찾겠다고 하고, 모순이 되는 것들, 문제가 되는 점을 살피겠다고 했다(p38).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은 모호하기만 하다. 제목에 ‘해답 answer’이라고 했는데, 적절한 단어 선택이 아니다. Problem이라고 했으니 Answer가 나올 수 밖에 없다. 이런 식으로 전개한다면 열린 이야기가 불가능하고 닫힌 이야기를 할 수 밖에 없다. 문제를 풀 수조차 없거나 구한 듯해도 다시 엉켜버릴 수 있고, 해답이라고 해도 그것은 불안한 것이 될 것이다. 그보다는 해답을 구하고자 하는 대신 ‘왜?’와 ‘어떻게?’로 접근하고 고통의 의미를 살피고 성서가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극복하려고 했는지를 다루었어야 한다고 본다. 아니면 저자가 그쪽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어야 한다고 본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자전적 이야기 <한나의 아이>에서 자신의 고통을 헤쳐 나가면서 ‘정답 없는 삶’을 얘기했다. 그렇다고 정답 없는 삶이니 자포자기 하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고통의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나는 여기에 표를 던지고 싶다. 인생의 시작과 과정과 끝, 그리고, 수많은 인생들이 얽혀 있는 삶을 어떻게 다 설명할 수 있을까? 


* 바트 어만은 ‘고통은 진노한 신의 징벌’로 보는 성서의 이해를 단호하게 거부한다(2장). 대표적인 표현은 예언자들의 말이다. 그는 ‘불신하고 불순종하는 백성들에게 징벌을 내리는 하나님’을 부정하고 그들의 관점을 일반화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 이어 3장에서는 앞서 지적한 예언서의 관점을 기초로 성서의 다른 부분을 비판하고 있다. 고통은 인간의 죄에 대한 벌로써 하느님이 내린다?(p93) 창세기를 비롯해 모세5경에 나타난 이러한 관점이 못마땅하다. 바트 어만의 논지는 아주 단순하다. 이어지는 장들마다 그는 줄곧 이런 식으로 고통에 대한 성서의 이해와 대응을 나열하고 부정하기를 반복한다. 말이 되냐 납득할 수 없다는 식이다. 죄는 인간의 본질적인 것으로 건너 뛸 수 없지 않은가. 저자는 죄의 문제에 대하여 관심이 없다. 죄를 다루지 않고 고통에 대한 성서의 표현만을 갖고 말하고 있다. 만일 ‘고통은 죄의 결과’를 받아들이지 못하겠다면 성서의 저자와 그 시대 사람들이 왜 그런 식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는지를 다뤄주어야 한다. 또한, 예언서는 주로 사회적, 민족적, 종교적 접근하는 이해 방식인데 이것을 일반화하여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고통을 어떻게 대하여야 할까? 生卽苦, 삶은 苦海다. 고통은 피할 수 없는 요소이지만 할 수만 있다면 최소한이 되기를 기대한다. 알렉산드로스가 고르디오스의 매듭 을 칼로 잘라냄으로 해결했다고 하는데 고통이란 매듭도 그렇게 잘라내 버릴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고통의 매듭을 잘라낼 칼은 어디에도 없을 것이다. 우리의 고통은 나무의 옹이처럼 생의 나이테에 남을 것이고 훗날 잘려지고 나서야 고통의 무늬로 드러날 것이다.


* 고통을 대하는 가장 솔깃한 방법은 잊어버리는 것이다. 세상과 자신에게서 고통을 숨기는 것이다. 그래서 고통에 대해 잘 말하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성장하는 길이 아니다. 성서 본문의 본래 의도와는 거리가 있지만 프레드릭 비크너는 <어둠속의 비밀>에서 달란트 비유를 갖고 고통을 설명했다.  비크너는 고통을 회피하고 숨기려는 태도를 달란트를 땅 속에 묻어 둔 청지기와 같다는 것이다. 그렇게 묻혀버린 삶은 그 자체가 어둠이고 울음이고 이를 가는 일이며, 우리를 그리로 내쫓는 장본인은 다름 아닌 우리 자신이라고. 그 대신 고통의 청지기가 되어서 자신의 삶에 대해 깨어 있고, 벌어지는 일의 기쁨뿐 아니라 고통에도 자신을 열고 그것을 향해 손을 내밀어 접촉하는 모험을 감수해야 한다고. 그렇게 하면 고통이 값진 진주가 된다고. 그리고, 고통에 짓눌려 무너지지만 않는다면 우리는 고통을 통해 인간미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허먼 멜빌의 『모비딕』에 나오는 매플 목사의 설교 한대목이다. 


“… 하지만, 오, 선원 동료 여러분! 모든 고통의 우현에는 확실한 기쁨이 있고, 고통의 밑바닥이 아무리 깊다 한들 기쁨의 꼭대기는 더 높습니다.” 


바트 어만의 <고통~>은 성서가 고통을 대하는 것이 오늘날에는 더 이상 어울리지 않다고 솔직하게 말해 주었다. 아쉬운 점은 저자가 고통의 현장에서 고민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운동장으로 나가 보지 않고 관중석에서만 성서라는 오래된 고통 안내문을 들고 투덜대고 있는 것만 같다. 바트 어만은 고통의 뒷부분을 의식하고 고통의 좌현만 보고 말한 게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가 고통의 배에 올랐을 때는 어떨까? 고통의 밑바닥에서 기쁨의 꼭대기를 오를 수 있을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탈자 2021-02-25 1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세상의 고통은 어찌보면 필연이지요. 인간의 고통을 배가하는 큰 원인의 하나는 인간이 신을 만든 것이며 특히 분노하고 심판하는 신 이지요. 2500년전에 누가 그러하다 합디다. 많은 현자들의 가르침을 종교라는 이름의 덧씌움으로 인간은 자유의 대부분을 또한 잃였지요.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 위화, 열 개의 단어로 중국을 말하다
위화 지음, 김태성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을의 서점 문이 열리는 모습에 뭔가 신성한 느낌이 솟아났다고, 그 문의 삐거덕 대는 소리가 오히려 화려한 무대의 막이 오르는 황홀한 기분이었다고, 그리고, 새 책 잉크 냄새가 신성한 향기처럼 느껴졌다고... 이 중 하나만 공감한다면 그 사람은 정말 책읽기에 열정을 가진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둠 속의 비밀 프레드릭 비크너 선집 1
프레드릭 비크너 지음, 홍종락 옮김 / 포이에마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앙의 삶은 그리스도의 이야기와 우리(나)의 이야기가 겹치고 맞물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두 이야기>에서 그와 동일한 이야기가 나오네요... 읽다 보면 바로 앞에서 비크너의 음성으로 듣는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소서, 성령이여 - 내면의 불, 생명의 수여자, 가난한 이들을 위로하는 이
레오나르도 보프 지음, 이정배 옮김 / 한국기독교연구소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성령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이가 있을까? 의식을 가지고 기껏 백 년도 안 되는 시간을 지나면서 시공 안팎을 움직이는 영을 감히 설명할 수 없으리라. 설명할 수는 없고 우리는 다만 이해할 수 있기만을 기대할 뿐이다. 

평화 노래꾼 홍순관의 <쌀 한 톨의 무게>라는 노래가 있다. “쌀 한 톨의 무게는 농부의 무게 … 세월의 무게 … 별빛의 무게 … 생명의 무게 … 온 우주의 무게”  이런 내용이다. 다른 곳에서 이 ‘무게’가 어떤 의미냐는 물음에 홍순관은 “손을 펴면 세상을 다 가질 수 있지. 내 손 안으로 바람이 들어오니까. 이 바람은 어디에나 있거든, 이 무게를 이야기하는 거지. 내가 손을 펴면 온 우주가 다 들어온다는 의미입니다. … 하나의 무게가 모든 무게인 겁니다.”  고 했다. 바람(영)이 시간과 별빛과 생명을 있게 하고 온 우주의 무게라는 얘기다. 하나의 생명이 전체와 연결되어 있다는 통찰이다. 이것을 보프는 3장에서 도덕경 4장의 ‘道沖而用之 或不盈 淵兮 似萬物之宗’(도충이용지 혹불영 연혜 사만물지종)으로 설명했다. “도는 비어 있음으로 작용하여 언제나 차지 않는다. 그 깊음이여, 만물의 근원같구나.”는 뜻이다. 

서문에서 보프는 서구 전통 신학 담론으로는 성령에 대한 사유에 한계가 있음을 토로하고 현대 우주론과 맥을 같이 하는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화석화되어 가는 종교들과 근대 이성의 비합리성, 여성성의 배제됨, 그리고, 성직 위계질서와 권력 구조에서는 성령의 작동이 불가능함을 지적한다. 그럴 수 밖에 없다. 그것은 흐르지 않은 강물이고 모든 문이 닫혀 있는 집과 같기에 그렇다.


1. 

영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그 영역과 깊이가 방대하지만 나름 적절한 정리라고 본다. 여기서 영은 이성과 반대되지 않고 영이 이성을 넘어서 명상과 생명과 역사에 대한 더욱 고차원적 인식으로 이끌어 준다는 점이다. 자연의 힘과 생명은 영을 담지한 실재들이며 그 중 인간은 영을 담은 존재로 언어를 통해 표현한다.(p70) 그리고, 하느님을 “항상 관계 속에서 생명, 사랑, 무조건적인 자기수요의 존재”이며, “항상 계시되어지고 있다”(p77)고 하는데 이 부분은 과정신학의 이해와 유사해 보인다. 

루아흐, 프뉴마, 스피리투스Spriritus(바람, 숨, 생명, 운동), 악쎄Axe(보편적 우주 에너지)로 표현된 영은 ‘모든 것은 에너지’라는 현대 우주론과 연결하여 이해하고 있다. “우주는 사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더욱 심오하고 미묘한 어떤 것으로부터 출현하는 진동에너지의 네트워크로 만들어졌다”는 하이젠베르크의 설명과 현대 과학자들이 선호하는 “가득찬 공허 혹은 모든 존재의 시원적 근원”이란 표현은 주목할 만하다. 그래서일까 다석 류영모는 하나님을 "없이 계시는 하느님"이라고 했다. 

보프에 의하면 신약성서의 영은 유일신론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방식으로 하느님을 부르는 방식으로, 정적 실체적 개념들이 아니라 과정의 관점, 삶의 방식의 관점으로 발전시켰다고 한다. 하느님은 단일한 본성의 고독 속에서가 아니라 사랑의 교제로서 사유하는 것을 배우기 시작했다고 한다.(p123) 이 부분의 이해에 동의한다. 이것은 디지털 방식이 아니라 아날로그 방식이어서 좋다.

: 사회학에서는 우리 사회를 파편화시대로 보는데, 이와 같은 성령에 대한 이해를 사회 문제에도 적용해 가야 하지 않을까? 


2. 

우주생성의 원리, 복잡성(분화)와 내면성(주체성)과 내적 관계(교제) 라는 세 가지 특성(p191)은 매우 유익한 이해다. 그래서 창조는 지금도 진행중이고 살아 있는 지구(가이아)는 영의 힘으로 움직이고 있다. 양자 물리학은 “모든 것은 모든 것과, 모든 곳에서 그리고 모든 순간에 관계하고 있다.”고 하는데 여기서 하느님이 관계적 실재라고 보고 만물은 하느님-삼위일체-관계성-교제의 이미지로 창조되었다고 본다.(p195). 아메리카 인디언 다코타족은 인사할 때 “모타쿠예 이야신”라고 한다. “당신과 나는 연결되어 있다”는 뜻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우분트Ubuntu’라는 말이 있는데, “당신이 있어 내가 있다”는 뜻이다. 모두 ‘연결’의 의미다. 놀랍다. 두 표현은 우주적 의미를 담고 있다. 

몰트만의 설명을 소개하는데 “하늘과 땅의 창조주인 하느님은 모든 피조물 속에, 우주적 영을 통해 일체 피조물과 교제하는 가운데 현존한다. 하느님의 현존은 전 우주를 관통하고 있다. 하느님은 단순히 세상의 창조주일 뿐만 아니라 우주의 영인 것이다. …”(p197) 만물이 단절된 상태가 아니라 영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우주생성 과정의 한 특징이 모든 복잡성, 다양성 그리고 모든 존재들 간의 상호 의존성인 것을 기억하라”고 한다.(p198) 이렇게 보프는 우주가 영이 머무는 성전으로서의 영역으로 이해한다. 

: 당연 그래야만 하는데 실제로는 인간이 타자를 인식하고 이해하며 자신과 다르지 않은 존재로 이해하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모른다. 이렇게 거창한 방식으로 말하지 않고 타자를 인정하며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교회는 너무 위만 바라보게 한 듯하다. 아래와 옆도 바라보고 자기 안도 들여다 보면서 타자를 인식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김흥호는 성령을 ‘발효醱酵’로 설명했다. 발효는 공기 어디에나 있는 누룩으로 가능하다. 포도 알에 이미 그 누룩이 묻어 있듯이 성령은 어디나 있어 누구에게나 작용한다는 것이다.  보프는 영을 ‘모든 것에 영감을 일으키며 쏟아 붓는 에너지’로 말하면서 영의 세 측면을 설명한다. 단일하고 거대한 진화과정의 복잡성, 영의 활동을 분별하도록 돕는 상호연결성, 그리고, 팽창을 지속하게 하는 능력인 아우토포에시스autopoesis다.(p227-8) 이 영은 생명의 영이고 자유와 해방의 영이며 사랑의 영이다. 

생명, 자유, 해방, 사랑…, 익숙한 용어들이다. 하지만, 우리 시대는 이 익숙한 용어들을 아주 낯설게 만들어 놓았다. 이 용어들의 개념, 이 개념을 이해하고 품고 지내야 하는 존재들이 그것을 낯설어 하면 성령이 어떻게 움직일지 모르겠다. 물론, 영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멈춤 없이 모든 곳에 스며들 것이다. 보프는 ‘사랑은 우주적이며 생물학적 현상’이라고 했다(p241). 사랑은 언어로서 소통의 수단이다. 성령은 설명이 불가능하지만 이해는 할 수 있다고 본다. 어디서부터 가능할까? 그 이해와 앎의 시작은 여기 사랑에서부터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 여기서부터 시작해야 해방과 자유, 생명으로 이어지는 게 아닐까. 너무 상투적이고 일반적 결론은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나무 책꽂이

평점 :
절판


어디선가 들었던 말이 생각납니다. "사람은 비스듬히 기댄 존재"라고요. 몸으로는 직립하지만 다른 어떤 면에서는 어딘가에 혹은 누군가에 기대야 서 있을 수 있지요. 이 '삼나무 책꽂이'를 처음 보았을 때, 그리고 그 후에도 이 책꽂이를 볼 때마다  '사람은 비스듬히 기댄 존재'를 생각합니다. 그리고 잘난척하는 자신을 겸손하게 감춥니다. 제작자 분께 감사드립니다. ^__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