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플러스 원 - 가족이라는 기적
조조 모예스 지음, 오정아 옮김 / 살림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조 모예스의 신 장편소설 -원 플러스 원

조조 모예스의 전 작에 대한 명성은 듣고 있었지만 정작 전 작인 "미 비포 유"을 읽어보지 못한 나로써는 그녀의 이름도 그녀의 차기작인 원플러스원도 낯선 작가의 낯선 작품이였다.

꽤나 두툼한 책을 받아 들었을 때는.. 이걸 언제 다 읽지..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처음 몇 페이지는 다짜고짜 돌입부로 들어간 느낌이라 조금 당황스러웠다.

내부자 거래로 궁지에 몰린 에드의 이야기로 자신의 회사에 쫓겨나게 생긴 지독히 난감하고 억세게 운이 나쁜 남자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그리고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을 외우고 이 사람이 저 사람하고 어떻게 아는 사이이고 저 사람은 이런 일을 하고 이 남자는 이런 성격의 남자이고..

​누가 주인공인지 누가 조연인지를 파악하고 정리하는데 나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했다.

그리고 ​등장인물이 파악되었을때 부터는 소설도 가속도가 붙어 읽기도 훨씬 수월해졌다. 싱글맘으로 두 아이의 엄마닌 제스 ..그녀는 아들인 니카와 딸인 탠지를 보살피고 있다.

넉넉치 않은 그녀의 살림이 그녀를 외소하게 만들어 가고 빠듯한 생활비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녹녹치 않은 생활의 버거움이 나한테도 느껴진다.

투잡을 하면서 침이나 흘리고 잠만 자는 덩치큰 개까지 끌어안고 살아가는 그녀의 팍팍함이 ​왜 그렇게 짠하던지..

가족이라는 것은 그 존재만으로 힘이 되기도 하지만 또 굴레가 된다..라고 한 어느 작가의 말이 떠오르는 순간이다.

하지만 두 아이의 엄마인 그녀는 모든것을 인내하며 씩씩하게 버텨낸다.

수학 천재인 탠지의 수학경연 대회 참가를 위해 스코틀랜드로 떠나는 이들 가족 앞에에드가 나타나고 고맙게도 에드의 도움으로 그들은 스코틀랜드로 함께 떠난다.길고 긴 여정 속에서 그들은 서로의 부족함을 조금씩 채워가며

하나의 완전체를 만들어 가는 이야기​는 중반을 넘어 후반부로 가면서 가슴 저릿하면서도 훈훈한 ​감동은 준다.

못말리는 철부지 같은 이들 때문에 깔깔 웃다가 가슴 뭉클해지도 하며..

독자를 들었다 놨다 하는 조조 모예스의 필력에 감탄을 삼키며 그녀가 만들어 내는 지독히도 따뜻한 이야기에 빠져들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그녀의 전 작인 "미 비포 유"에 대한 궁금증이 폭발하여 내친김에 그녀의 전 작도 읽을 예정이다. 내가 이렇게 원플러스원에 감동 받게 된건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사실 나는 이 글의 주인공이기도 한 싱글맘 제스와 놀랍도록 ​닮은 한 사람을 알고 있다.

그녀도 제스와 다름없는 두 아이들 둔 싱글맘이다. 아이들을 위해 그녀 또한 본 직업 외에 주말이나 짜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다른 일도 병행하고 있었다.

중학생이 된 딸과 초등학생인 아들..그리고 하루종일 온 집안을 뛰어다니며

개털을 흩뿌리고 다니는 재패니스 스피치..숫컷 한마리

그녀의 삶의 무게도 만만찮아서 가끔 늦은 퇴근길에 나에게 전화해서 버거운 그녀의 생활에 대해 넋두리를 하면서 눈물을 짓고 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녀의 넋두리를

묵묵히 들어주고 희망을 버리지 말라는 몇마디의 위로와..

주말에도 일을 하러 나간 엄마의 빈 자리를 대신해서 가끔 그녀의 집으로 가서 산더미처럼 쌓인 설겆이와 빨래를 대신해주고 쇼파에 덕지덕지 묻은 개털을 청소기로 빨아내거나 아이들의

간식을 챙겨주는게 고작이였다.

그러면서 그녀가 어서 빨리 듬직하고 좋은 남자를 만나 사랑받고 사랑하며 안정되기를 기원했는데..몇년 후 기적같이 그녀 앞에 성공한 사업가가 나타났고​ 둘은 재혼을 하였고 지금은 양쪽 집의 아이들 둘씩 ..4명의 아이의 엄마가 되어 행복하게 살고 있다.

그랬다.. 조조 모예스의 작품이 많은 이들을 뭉클하게 하고 전세계적으로 베스트 셀러로 등극 할 수 있었던 것은 어디서 줏어온 허무맹랑한 얘기가 아닌 우리 주변에서 일어 날 수 있고 또 일어나길 바라는 그런 소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리라..

​행복한 미래를 꿈꾸며 희망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노력하는 모든이들에게 마법처럼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에 더욱 독자들로 하여금 찬사를 받는게 아닌가 싶다.

연일 바깥 기온이 영화 10도를 오르락 거리는 칼날 같은 추위속에

가슴 한켠에서 부터 따뜻한 오렌지색 불빛 하나가 켜지는 소설을 만난듯 하여

마음만큼은 춥지 않은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