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열린책들 세계문학 223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윤새라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프니꼴라예비치 똘스또이..

​러시아의 대문호이자 위대한 사상가..그를 지칭하는 수 많은 수식어들이 이해가 되었던 책이였다.

개인적으로 나는 톨스토이의 작품에 대해 약간의 두려움이 ​있었다.

웬지 모르게 어렵고 쉽게 접근 할 수 없는...나하고는 좀 거리감이 느껴지는 작품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그건 그의 작품들이 주는 무게감 때문이였을 것이다.

가벼운 내용에 팔랑팔랑 책장을 넘기며 읽을 수 있는 여타의 작가들의 작품과 달리 톨스토이의 작품들은 한페이지를 넘기는데 많은 시간과 생각을 하게 만들었고..낯선 러시아의 역사와 문화,시대적 배경 또한 한 몫을 했다.

이 책의 첫장을 넘기기 전에 나는 깊은 심호흡을 했다.

이제부터 사람들이 대문호라고 하는 그의 작품의 세계로 들어가는 나의 경건한 의식 같은 것이였다. 그리고 천천히 한장 한장 그의 작품들을 음미하며 읽어 내려갔다. 그리고 내가 느꼈던 가장 큰 교훈 한가지..

그것은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는 나름의 나이가 필요하다는 점이였다.

내가 조금 더 나이가 어렸을때 읽었던 톨스토이의 작품들은 하나같이 어렵다고만 느껴졌고 책을 읽으면서도 뿌였고 희미하게 모자이크 처리된 영화를 보는 듯 선명하게 그의 작품들이 그려지지 않았었다.

하지만 중년이 되서 다시 읽게 된 그의 작품들에게선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애환과 고뇌와 번민과 인간의 욕망들이 느껴졌다.

비교적 선명한 영상들이 머리속에 떠올랐던 것이다.

젊었을때 미처 깨닫지 못했던 삶에 대한 애환을 이 만큼의 나이가 들어서 알게되듯 톨스토이의 작품 또한 젊었을때 몰랐던 깊이와 향기가 느껴졌다.

여전히 책을 넘기는 속도는 더뎠지만 작품 하나하나에서 느껴지는 강렬하고도 뚜렷한 메세지를 온 몸으로 느끼며 작품 속으로 몰입해 들어갈 수 있었다.

1850년대의 전쟁터의 참담한 현장의 모습을 담아낸 [습격][세바스또뽈 이야기] [세죽음] 은 암울한 전쟁터의 모습을 그려내면서도 서럽도록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을 조곤조곤 이야기 해주고 있다.

죽음의 전쟁터로 향하는 그길에서 보는 푸르스름한 달, 한밤의

자연이 깨어있는 소리들..평온하기만 한 그 자연속에 인간의 불안과 죽음의 기운을 그려내는 그 묘한 대비에 가슴이 저릿해진다.

1870년대의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그린 [신은 진실을 알지만 때를 기다린다]는 한때 어느 정치인이 이 말을 해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말이기도 하다.

인간의 심리에 대해서 잘 표현한 그의 수작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1880년대의 작품인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는 인간의 욕심과 욕망을 꼬집는 작품으로 불교의 가르침과도 일맥 상통 하는 부분이 있어서 그런지 재미있게 읽었던 단편이다.

이 책에 수록된 13편의 단편은 어느것 하나 허투루 읽을 수 없는 깊이와 교훈을 담고 있다. 새롭게 알게 된 톨스토이의 작품들을 이렇게 한권으로 읽을 수 있어서 무척 의미 깊었던 책이였다.

내친 김에 그의 작품들을 좀 더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물론 한 권을 다 읽기까지는 비교적 오랜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 만큼 강하게 뇌리에 박힐 수 있는 작품 또한 그리 흔치 않을테니 경건한 마음으로 그의 다른 작품들을 만나고자 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