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웨하스 의자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1년 1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서점을 들리면 유독 자주 눈에 띄는 일본작가가
있다.
바로 에쿠니 가오리다.
요시모토 바나나와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여류작가 중의 한명으로 꼽힌다.
웨하스 의자는 쓸데없는 미사어구는
생략되어진 매우 객관적인 시선으로
매우 주관적인 '나'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소설이다.
나는 에쿠니 가오리의 소설에서 바싹하지만 왠지 축축한
느낌을 받는다.
객관적인 시선에만 포인트를
맞춘다면 그녀의 소설이 너무 가볍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듯하다.
문체가 주는 간결함 때문에
더욱 그렇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좀 더 깊이 들어가서
주인공인 '나'에게 감정이입을 하게 되면
눈물같은 습기를 가득 담고
있어서 금방이라도 주루루 눈물이 쏟아질듯한
주인공인 '나'의 감정을 읽을 수 있게 된다.
바싹 뽀송한듯하지만 실제는
그가 없는 밤, 애써 아닌척 하지만 입을 쩍벌린
외로움이란 녀석에게 집어삼킨
채 그 안에서 울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나'는 그림을 그리며 독신 생활을 하고 있다.
그녀에게는 애인이 있고 그를
아주 많이 사랑하고있다.
그녀는 애인이 있어야 행복하고, 애인이 오지 않는 날은 내가 그를
기다리고 있는게
아니라는 듯.. 거리로 나가 무심히 산책을 하기도 한다.
외로움과 그리움을 내딛는
발끝마다 흘리면서 말이다.
나는 애인 덕분에 이 세상에
겨우 발을 붙이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그것은 기묘한 감각이다.
애인이 전부라고 느끼는 것이
아니라 애인과 있는 내가 전부라고 느낀다.
나는 그것을, 외롭다고 해야 하는지 충족돼 있다고 해야 하는지 몰라 혼란스럽다.
옳다고 생각해야 하는지 옳지
않다고 생각해야 하는지 몰라,
그만 생각을 포기한다.
그랬다.
그녀가 그토록 사랑하는 애인은
와이프와 딸이 있는 중년의 남자다.
왜 하필 가정이 있는 사람이냐고
묻지 않기로 했다.
그녀 또한 도덕과 이성사이에서
수 많은 밤을 힘들어 했을것이고
머리를 비우고 생각을 포기하는게 그녀가 견딜 수 있는 방법이었으리라.
사랑은 항상 사고처럼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
그녀는 유부남을 사랑한게
아니라 사랑했던 그가 유부남이었던 것이다.
세상에는 너무나 다양한 모양새를
가진 '사랑'들이 있다.
그녀가 택한 사랑은 책 제목인
웨하스 의자처럼
달콤하지만 이쁘지만 무너져버릴
것을 알기에 앉을 수 없는
위험하지만 치명적인 사랑이었다.
나는 애인을 위해 그림을
그리는 것은 아니지만,
애인을 위해 하루하루를 살고
있으니까.
내게 그림을 그리는 것과
살아 있다는 것은 비슷한 일이다.
결국은 애인을 위해서 그림을
그리는 셈이다.
언어는 아무 소용이 없다.
언어로 사고하려 하면, 늘 같은 자리를 맴돌고 만다.
그녀를 지탱하고 살아나가게 하는
것은 애인이고, 그런 그를 사랑할수록
자신은 외로움과 절망에 망가지고
있다는 것을 그녀 또한 알고 있다.
그를 떠나기로 마음먹지만
그건 그녀에겐 죽음을 뜻한다.
그녀의 선택은 무엇이었을까.
이건 책을 읽는 분들이 확인하시도록
남겨놓겠다.
세상의 잣대로 들이대면 질타를
받을게 자명한 사랑을 선택한 그녀.
깨지고 무너지기 쉬운 웨하스
과자로 만든 의자같은 그녀의 사랑을
보태지도 빼지도 못하고 지켜볼뿐이다.
결국 선택을 각자의 몫이고
자신의 선택으로 인해 행복하든 불행하든
그것 또한 자신들이 감내해야
할 몫이므로..
가볍게 읽을 줄 알았지만
의외로 바닥을 훑으며 읽어내려간 듯한 묵직함이 남는
소설이었다.
내친김에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찾아서 읽어볼까 한다.

*본 포스팅은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