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대리의 한식탐험 - 내가 궁금해서 찾아 본 생활 속 우리 음식 이야기
솜대리 지음 / 올라(HOLA)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식이라고 하면 탕평채, 산적, 구절판, 신선로등 아무래도 뭔가 좀 거창한걸 생각하게 된다.
고급 한정식 집에서 나올만한 것들이 떠오르는건 맞는걸까.

하지만 우리가 먹는 모든 음식이 사실은 한식의 범주에 들어가니 굳이 거창하지 않아도 
한식이라 불릴만한것은 많다. 

예를 들면 일주일에 한번쯤은 먹어줘야하지 속이 개운해지는 떡볶이는 어떨까?
정작 외국인들은 쓰레기 취급하는 스팸같은 햄을 넣고 끓인 부대찌개는?
한류 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치맥이라는 단어가 새로 생겼다고 하지 ..치맥은?

이런것들을 다 한식으로 생각할 수 있을까.
저자인 솜대리는 당근.. 한식이라고 짤라 말한다.

저자인 솜대리는 누구인가? 솔직히 저자 프로필을 봐도 자세히 나와있지 않아서 
성별조차 가늠하기 힘들지만 음식 탐험가로 보통 사람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를 쓰겠다며 글짓기에 돌입하여 펴낸 책이 솜대리의 한식 탐험이라는 책이다.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 알쏭달쏭한 음식의 유래에 대해서 무겁지 않고 가볍게 
툭툭 던지듯이 이야기한다.
그래서 내가 알고 있는 지식들을 교환하며 가볍게 읽어내려갈 수 있다. 



3부로 나뉘어져 있고 36개의 음식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1부 한식인 듯 한식 아닌 한식 같은 
떡볶 , 짜장면, 엄국, 라면, 핫도그 같은 알쏭달쏭한 국적의 음식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노점에서 분식점에서 흔히 즐겨 먹는 음식들 이야기라서 즐겁게 읽고 나중에 해당 음식을 
먹을때 슬며서 음식 얘기를 꺼내보면 식사 자리가 더욱 재미있지 않을까 싶다.

2부 아는 한식도 다시 보자
2부에서는 전, 나물, 잡채, 된장찌개, 칼국수, 갈비찜같은 누가봐도 한식이라고 
동그라미 칠 것 같은 음식이야기가 나온다. 한식의 발전과 앞으로의 변천사등을 다루고 있다.


3부 한식으로 하는 세계 음식 탐험
순대 혹은 블러드 소시지(Blood Sausage), 두부와 또우푸와 도후
어떻게 다를까, 떡갈비와 미트볼, 세계를 사로잡은 감칠맛, 젓갈 패밀리등 
한식과 꼭 닮은 다른 나라의 음식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면서 보다 폭 넓게 음식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다.

굳이 순서대로 읽어야할 필요는 없고 팔랑팔랑 넘기다가 마음에 드는 곳부터 
읽어면 될것이다. 


사실 그동안 한식을 먹으며 이게 언제부터 어떻게 유래가 되었고, 하고 많은 이름중에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지 궁금하게 생각지 않았다면 그건 나의 무심함임에 틀림없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몰랐던 새로운 많은 이야기들에 공감도 하고, 
고개도 끄덕이며 읽어내려갔다.

치킨과 맥주를 합친 치맥을 외국인들은 한국에 와서 꼭 먹어봐야 하는 
음식 순위 랭킹에 올려놓고 열광하는지..
비록 음식은 한국 고유의 그것이 아닐지라도 치킨과 맥주가 화합하여 치맥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지기까지 한국이라서 가능했던 여러 문화들이 큰 일조를 하였다는 
사실을 읽으며.. 크게 공감하였다.

결국 새로운 음식의 원래 기원은 다를지라도 한국에 들어와 
새로운 맛과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환골탈퇴했다면 그건 한국 국적을 취득하여 귀화한
한식이라도 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

깊이 있는 한식으로의 탐험이라기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는 한식 탐험을
읽게되면 밥상머리 인문학 지식이 꽤나 상승할 것 같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