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16가지 꽃 이야기 - 계절마다 피는 평범한 꽃들로 엮어낸 찬란한 인간의 역사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4
캐시어 바디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를 바꾼 OOO 라는 제목의 책들이 눈에 자주 띄인다.

인문지식 서적을 꽤 좋아하는 편이라 이런 제목의 책들이 주는 지식의 보물창고같은

책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이 책은 꽃을 주제로 이야기하고 있다.

보기만 해도 절로 행복해지는 꽃들에 관한 이야기라면 마냥 아름답고 향기가 날듯 하지만

사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꽃들은 단순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피사체로서뿐 아니라

전쟁, 외교, 혁명 투쟁과 같은 딱딱하고 어마무시한 이미지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책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16가지 꽃들을 계절별로 4가지씩 

총 16가지의 꽃이야기를 싣고 있다. 


봄에는 데이지 수선화 백합 카네이션

여름에는 장미, 연꽃, 목화, 해바라기

가을에는 샤프란, 국화, 메리골드, 양귀비

겨울에는 제비꽃, 제라늄, 스노드롭, 아몬드 꽃에 대한 이야기가 실렸다.


우리는 태어난 순간부터 기쁠때나 슬플때 축하할때 꽃과 함께 했다.

사랑스러운 아이가 태어나면 축하의 꽃바구니를 받고, 생일때도 졸업때도

결혼식에도 그리고 장례식에도 꽃은 그 날의 주연을 더욱 눈에 띄게 해주는

화려한 조력자의 역활을 충분히 해내었다.


싸우고 화해를 할때, 프로포즈할때, 부모님, 스승님에게 감사를 전할때에도 꽃은

아주 유용하고 중요한 역활을 담당한다.

말로 미처 전하지 못하는 것도 은근슬쩍 꽃을 내밀면서 화해의 제스처를 전하고 

고마움을 전하고, 자신의 사랑을 전한다. 

그리고 그만큼 의사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은 없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화무십일홍이라고 아무리 아름다운 꽃도 여흘을 가지 못한다.

꽃다발은 더더구나 오래가지 않아서 꽃다발을 받을때의 기쁨도 물론 크지만

시들어 버릴것을 생각하면 동시에 안타깝기도 하다. 

꽃은 이런 유한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고, 꽃의 꽃말은 여기에 더해서 한층 

꽃을 신비롭게 만든다.


연애소설과 에로소설의 주인공을 설명할 때 항상 인용되는 꽃은 무엇일까.

체르노빌 주위 연못에서는 해바라기로 오염물질의 95%을 제거할 수 있다.

독성이 너무 강해 FDA에서 판매금지한 꽃 열매가 있다.



흥미를 유발할 만한 소재들이 많아 차근히 읽어보면 꽃에 대한 색다른 정보를 

접하게 될것이다.

해바라기의 경우를 살펴보면 해바라기하면 떠오르는 것은 화가는

아무 많은 사람들이 고흐가 떠올릴 것이다.

더 넓은 초원에 피어나있던 영화 해바라기를 떠올리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체르노빌과 같이 방사는에 오염된 곳에서는 정화를 위해 심어지기 했다.

중국에서는 마오쩌둥을 상징하기도 하며 해바라기는 미술, 영화와 같은 문화뿐만 아니라

환경, 혁명, 개혁등의 다양한 이미지에 쓰이고있다.


사람과 식물의 관계에 관한 책을 쓰다 보면 축하 카드, 휘장, 속담, 램프,노래, 

사진, 의학, 영화, 정치, 종교와 음식에 관해 두루 이야기하게 된다.

꽃에 담긴 수많은 의미를 탐구하면서 문제를 제기한 회화와 연극, 

시와 소설에 관해서도 할 이야기가 있다. 

그래서 책을 꽃에 비유하기도 하고, 꽃을 책에 비유하기도 한다.



한가지의 주제로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폭 넓은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으며

읽다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지식도 습득할 수 있으므로 꽃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인문학으로 접근을 해봐도 좋을것 같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