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당신 편 - 마음의 힘을 기르는 ‘외상 후 성장’의 심리학
한창수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랫동안 연락이 뜸했던 친구들을 최근에 만났다.

반가움에 지치지도 않고 다들 몇시간을 떠들며 이야기를 했다.

그러다 한 친구가 나에게 "너 안본 사이에 말이 굉장히 과격해졌다" 하며 웃었다.

그러고 보니 이 친구들하고는 프리랜서 직업을 그만두고 회사에 입사하여 

직장생활을 시작하기 즈음부터 못만났다. 나의 이 걸쭉한 입담을 가지게 된건 직장생활을

하고 나서부터였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꼈다. 그동안 직장에서 뭔일이 있었지..

'나는 무조건 네 편이야' 누군가에게서 이런 말을 듣는다면 얼마나 든든할까.

사탕발림이라도 좋으니까 내가 많이 힘들고 오롯이 혼자인것 같이 외로울때

이 말을 듣는다면 세상 무서울게 없을것 같다.


[무조건 당신편]은 그 달달한 제목 때문인지 어느 작가의 이쁜 글 가득한 에세이일거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인 한창수 교수는 고려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분으로

우리나라 정신의학계에서 선도적인 연구자로 손꼽힌다.

따라서 이 책은 단순히 위로와 격려의 메세지를 담은 에세이라기 보다는 의학적인 방법으로

울분, 우울증, 공황장애에 대한 적절한 조언과 치료법까지 적시에 제시하고 있다.

에세이를 닮은 전문 의학서라고 하는게 맞지 않을까 싶다.

그것도 상당히 부드러운 문체로 쓰여진 전문서적!


 

그 동안 그를 찾았던 내담자들의 사례를 예시로 적고 있다.

그런데 놀아운 것은 내담자들과 나의 경우가 많이 닮았거나, 아예 내 얘기다 싶을 만큼

비슷한 예시들이 많았다. 비단 나 뿐만이 아니라 이 책을 읽은 많은 독자들도 충분히

공감할만한 사례들이 많을거라 생각한다.

고객의 갑질, 직장 상사의 괴롭힘, 직장내 따돌림, 왠쑤같은 가족들..

매일 얼굴을 마주해야 하거나 피할수 없는 상태에서 우리는 참 많은 스트레스를 고스란히 받고 산다.

이런 스트레스를 풀지 못하면 우울과 분노로 바뀌게 되면 마음의 병을 얻게 되는 것이다.


나 또한 직장 생활을 하다보니 인간관계의 어려움이 없다고는 할 수는 없다.

다만 직종상 다른 회사보다는 좀 덜할 수는 있고 내 성격이 좀 더럽다보니

(성격 더러운게 장점이 될수도 있다고 강력히 주장하는 바이다)

다른 직장인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고 빨리 털어낼 수 있다.

하지만 그 경중의 무게는 100% 주관적인 것이라 사람마다 편차가 심해서

나에게는 별일 아닌 일이 다른 이들에게는 죽을만큼 괴로운 일로 느껴지기도 할 것이다.


직장 생활로 힘겨워하는 이들에게 저자는 아래와 같은 처방전을 내려준다.

아주 냉정하게 말하자면, 직장 생활이라는 건 소위 '영혼을 팔아 먹고 사는 것'이라고도

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받는 임금에는 실제 노동에 대한 대가뿐 아니라 감정노동에

대한 대가까지 포함되어 있으니까요.

이 감정 노동에는 '고객을 상전처럼 대하는것' '고객에게 상처를 받아도 꾹 참는 것'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중략)

일터에서 만나는 진상들은 그저 자신의 복잡한 인생사 속에서

비뚤어진 마음을 가지게 된, 내 인생의 엑스트라일 뿐입니다.

그런 인간들을 만났을 때에는 이렇게 되뇌어보세요.


"그런 인간한테 상처를 입고 안 입고는 내가 결정한다,"

 ​

나는 이 말이 어찌나 맘에 들었는지 소리내에 3번을 읽었다.

내 인생은 주인공은 나이고, 진상들은 엑스트라 밖엔 안된다.

그러한 덜 떨어진 인간들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말을

참 맛깔스럽고 속 시원하게 한다.


가려운데 긁어주는 듯한 속 시원한 글들이 책 곳곳에 있다.

한창수 교수님이 얼마나 많은 내담자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왔는지 짐작이 된다.

그들을 상담하고 아픈 마음의 상처에 잘 낫는 연고를 발라주듯 조심스러운 조언과 처방을

책에 고스란히 옮겨놓았다고나 할까..



 

 

내 마음에 들어왔다 나간 사람마냥 내 마음을 어찌 그리 잘 아는지..

혹시나 만나서 얘길 하게 된다면 아차하는 사이에 내 묵은 비밀까지 탈탈 다 털어놓고 말것같다.

나는 책을 읽으며 사례자들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저자의 처방에 통쾌해했다.


처방전은 격려의 말과 병원치료, 심리치료, 상담방법등등 환부의 경중에 따라 적절히

내려진다. 사방이 막힌것 같이 마음이 답답하고 주위를 둘러봐도 도무지 내 속 얘기를

꺼내놓은 사람이 없다고 느낄때, 이유없이 불쑥불쑥 화가 치밀고, 다른이들과의 관계가

숨막히도록 힘들다 싶을때, 죽고 싶을만큼 힘들어 자신을 자책하고 자해를 하는 못난짓을

하기 전에 적절한 곳을 찾아 상담을 하고 약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백번 현명하다고 말한다.



 

혼자 참고 이겨낼 수 있으면 그렇게 해보셔도 됩니다.

그러나 도저히 안 될것 같으면 용기 내어 이 한마디를 꺼내보세요.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에게 힘들다고 이야기해보세요.

옆에 마땅한 사람이 없다면 상담 받을 수 있는 곳을 찾아 전화번로를 눌러보는 것도 좋습니다.


다시 이 책의 리뷰를 쓰기 맨 앞으로 되돌아가면 말투가 과격해진 나에 대한 친구들의

지적이 있었다. 거기에 대한 해명과 동시에 같은 경우로 분노조절이 힘든 사람들에게

나의 좀 저질스럽지만 오지게 잘 듣는 분노 조절 비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회사에 입사하여 소위말하는 조직의 쓴맛을 보기 전, 프리렌서로 일했던 나의 직업도 한몫했겠지만  

조곤조곤 말을 곱게 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직장 생활을 하면서 가끔 진상을 만나기도 하고,업무상 피할수 없는 마찰이 생겨

에이전시와 껄끄러운 상태가 되기도 한다.

마음같아서는 대놓고 한소리 하고 싶지만 목소리 내어 싸워봤자

좋은 꼴을 못봤기 때문에 좋은 말로 대충 마무리 하고 전화를 끊는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 내가 아는 육두문자를 총 동원하여 분이 풀릴때까지 욕을 해준다.

속이 한결 편안해진다. 돌아서면 잊어버린다.

남들 앞에서 쓴소리 못하는 사람들이 써보면 효과가 분명 있을 것이다.

물론 입담이 과격해졌다는 말을 들을 수도 있지만 마음이 병드는 것보다 백배 낫다.


어떤 일이든 어떤 상황이든 자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뿐이다.

마음이 다치지 않도록 해야한다.

그게 욕이 되었던, 취미생활이 되었던, 가슴에 응어리지지 않도록 풀어내야 한다.

풀어내는 방법을 모를때는 이 책을 권해주고 싶다.

꽤 큰 도움이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