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
아브람 알퍼트 지음, 조민호 옮김 / 안타레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마다 유행하는 베스트셀러 책들을 보면 요즘 사람들이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트렌드인지 한 눈에 들어온다.

한참 '미쳐라' 라는 책들이 유행을 했고, 이후에는 '힐링'에 빠졌으며, 어떤 때는 '떠나라'는 키워드가 보이게 되었다.

아마 너무 많은 사람들이 노력과 열정으로 도전했으나 삶이 녹녹치 않아서, 기회가 오지 않아서, 해도 안된다는 무기력함에 빠져서 지치는 때가 왔으니 말이다. 그러다보니 이제는 미래가 아닌 지금 이 순간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자는 풍조가 유행인 것 같다.

누구보다 부지런하고 치열하게 살고 있는 사람들. 우리는 왜 항상 부족함을 느낄까?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을 읽고 나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우선 제목을 다시 들여다보자. 이 책의 저자가 서두에 말하지만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의 방점은 상대적인 충분함이 아니다. 내가 이정도면 괜찮지, 충분하겠지, 그러니 충분히 괜찮은 삶이니까 하루 하루 만족하며 살자는 내용이 아니라는 것이다.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에서 말하는 충분함이란 '충분한 삶' (특히 '모두가 충분한 삶')이다.

과연 우리가 열망하는 삶이 정말 우리가 원해서, 필요해서 그렇게 느끼는 것일까? 혹시 사회가 주입한 욕망은 아니었을까?

내 인생의 기준과 잣대를 남이 아닌 내가 정하고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는 것. 바쁘다는 핑계로 너무 중요한 삶의 가치를 잊고 살았던 것 같다.

더 많이 노력하고 더 많이 열망하고 더 좋은 삶을 살아가고 싶어하는 욕망을 꼬집는 것이 아니다.

다만, '너무 많으나 부족한' 이 세상에서 서로에게 충분할 것. 그리고 더 좋은 세상은 개인과 사회 모두가 바뀌고 노력해야한다는 것을 충분함의 철학에서 '소수의 위대함'을 꼬집으며 얘기한다.

이 채을 읽고 나면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 (The Good-Enough Life)의 책 제목을 다시 들여보고 한참 생각하게 된다.

너의 삶, 나의 삶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모든 삶이 충분해야 한다는 것.

왜 누구는 너무 많이 가지고, 누구는 너무 적게 가지는 불평등이 생기는 것일까? 어떤 위대한 성공이 과연 노력과 열정과 재능으로만 이뤄진 것일까? 불평등의 역설을 '모두가 충분한 삶'이라는 관점에서 돌아보게 만든다.

위대해지는 것보다 충분해야지기를 바라는 삶.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는 저자의 메세지가 더 많이 들려왔으면 좋겠다.

"우리의 충분한 삶을 위하여. 모두의 충분한 삶을 위하여"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