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무아무아 - 하버드가 밝혀낸 외계의 첫 번째 신호
아비 로브 지음, 강세중 옮김, 우종학 감수 / 쌤앤파커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지구 생명체가 우주에서 유일한 생명체일까? 이 광대한 시공간에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지성체인가? 이 질문을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팽창하는 공간 전부와 우주의 생애 주기 전체를 통틀어 현재 또는 이전에 우리와 같은 지성적 문명이 별들을 탐험하고 그 노력의 증거를 남겨 놓았을까?

나는 마지막 질문에 대한 답이 '예'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2017년에 우리 태양계를 통과했다고 믿는다.

-우리는, 과학자와 일반인 모두는 준비가 되었는가? 증거로 뒷받침되는 가설을 통해 도출된 타당한 결론, 즉 지구 생명체는 유일하기는커녕 대단하지도 않다는 결론을 우리가 받아들였을 때 뒤따를 여파에 인류 문명은 맞설 준비가 되었는가? 나는 그 답이 '아니오'인 것이 두렵고, 그런 편견이 우세할까 봐 걱정이다.

-우리가 그 존재를 알기 오래전부터, 그 물체는 우리를 향해 오고 있었다.

-그것은 이방인으로 우리 곁에 왔지만 그 이상의 무언가가 되어 떠났다. 우리가 이름을 붙인 그 천체가 우리에게 남기고 간 한 무더기의 답할 수 없는 질문들은 전 세계 사람들의 상상력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의 정밀 조사와도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하와이어 오무아무아를 번역하면 대략 '탐색자'라는 뜻이다. ... 어느 쪽이든 그 이름은 그 천체가 다른 것들보다 먼저 왔다는 사실을 분명히 암시한다.

-오무아무아가 외게에서 설계된 존재인지를 공정하게 고려하는 데 있어 걸림돌은 증거나 그 증거의 수집 방법 또는 가설의 이면에 있는 추론이 아니다. 가장 먼저 우리 앞길을 가로막는 것은 증거와 그에 뒤따르는 추론을 꺼리고 간과하는 태도다. 전달하는 내용이나 전달하는 사람에게 문제가 있을 때도 있다. 하지만 어디에 문제가 있든 듣기를 꺼리는 수신자와 부딪치면 증거와 추론으로도 넘지 못하는 걸림돌이 된다.

-오무아무아와 마찬가지로 금성의 인화수소는 새로운 발견과 여정의 끝이라기보다는 시작이다. 앞으로 과학자들은 이 발견의 진실성을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얻는 한편으로 인화수소가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경로가 살아있는 유기체 말고 또 있는지 확인해 볼 것이다. 생명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를 얻으려면 탐사선이 물리적으로 금성을 방문해서 구름에 있는 물질을 떠낸 다음 그 시료 안에 미생물이 있는지 탐색할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다. 쉽게 말해 탐정 일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이 책은 인간과 어떤 놀라운 만남으로 시작된다.

"겨우 25광년 떨어진 항성인 베가 방향으로부터 온 그 물체는 2017년 9월 6일 우리 태양계 안의 모든 행성이 태양 둘레를 도는 궤도면과 마주쳤다. 그러나 극단적인 쌍곡선 궤적 덕분에 그 물체는 태양계에 머물지 않고 그저 지나치기만 할 것이 확실했다.

2017년 어느 날, 하와이 제도를 지나는 어떤 물체를 만나게 되는데, 이를 '오무아무아'라고 정했다.

하와이어로 오무아무아는 '탐색자'라는 뜻이고, 국제 천문 연맹은 "먼 곳에서 온 첫 번째 전령사"라는 정의를 내렸다.

이 책의 제목이자 저자 '아비 로브'가 그토록 알고 싶어하는 "오무아무아"는 태양계에서 맞딱뜨린 정체불명의 물체인데, 저자는 이를 외계 지성체가 만든 인공물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과연 이 넓은 우주에 인간만이 유일한 지성체일까?

이 질문에 대한 의견과 답은 저마다 다를 것이다. 흔히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보듯 외계인과 우주행성이 지구인과 만나는 그런 날이 올까?

이 책 <오무아무아>에서 저자는 인간 외에 우주에서 존재하는 또 다른 생명에 대한 가능성과 시야를 넓혀준다.

제목 만큼이나 인상깊은 '오무아무아'라는 이름이 가진 의미를 이 책 속에는 깊이 깊이 알 수 있다.

사실 처음 <오무아무아> 책을 폈을 때, 과연 이 저명한 과학자가 자신있게 우주 생명체에 대한 존재를 외치는 이유가 뭘까? 진짜 그런 존재가 있을까? 하는 궁금한 마음이 컸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존재의 여부보다 인간과 삶에 대한 존재에 대한 신비로움과 겸손함이 자꾸 든다.

우주의 삶과 인간의 삶을 비교하면 (비교할 수조차 없지만) 찰나같은 시간인데 우리는 진짜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오무아무아> 책 속에는 '오무아무아'와 외계 생명체에 대한 존재를 부정하고 대립하는 의견을 볼 수 있는데, 존재의 유무를 떠나서 더 중요한 건 과학으로서 인간으로서 아무리 가능성이 희박할지라도 다양한 관점을 볼 수 있는 시야일 것이다.

나는 <오무아무아>를 외계생명체가 그래서 있는지 없는지 알아내려고 읽기 시작했지만, 지금은 우리가 얼마나 많은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태양계의 비밀을 파헤칠 수 있을지 알고 싶다.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새롭게 보는 눈, 그리고 알려지지 않은 것을 발견해내는 눈이 이 책 <오무아무아>가 알려주는 새로운 신비로움이다.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