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일간의 교양 미술 - 그림 보는 의사가 들려주는
박광혁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그림은 인간의 고뇌를 그대로 보여주었고, 어떤 그림은 정지된 이미지만으로도 배를 잡고 웃게 하는 해학을 전해주었습니다. 또한 어떤 그림은 신체적 완전성을 그려냈고, 어떤 그림은 병고에 시달리는 인간의 나약한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림 한 장 한 장이 이 세상을 담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60일간의 교양 미술> 속에 있는 명화를 통해 저의 이런 느낌을 많은 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었습니다. 서양 미술사에 족적을 남긴 유명한 회화, 또는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가치가 있는 명화를 소개시켜 드리고 싶었습니다.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_향락과 욕망을 그린 로코코 회화의 대가

책 읽는 소녀

-워싱턴 국립미술관에 있는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의 <책 읽는 소녀>입니다. 소파에 앉아 독서에 푹 빠져 있는 한 소녀가 있습니다.

-이 그림을 그린 장 오노레 프라나르는 프랑스 남부 해안 도시 그라스에서 장갑 제조업을 하던 상인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이후 서서히 가세가 기울자 그의 가족은 파리로 이주했고, 프라노나르는 당시 파리 화단을 대표했던 공방에 들어가 그림을 배우게 됩니다.

-사실 프라노라으의 활동 기간의 대부분이 신고전주의 시기에 속하지만 그는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바로 전까지 계속 로코코 양식으로 갑벼고 로맨틱하며 세속적인 주제의 친근한 그림을 그렸던 것이죠. <책 읽는 소녀>는 프라고나르의 대표작입니다.

-프라고나르의 세속적이고 향락적인 그림과는 달리 <책 읽는 소녀>는 나름 독서라는 주제를 통해 귀족들의 향락과 사치를 꼬집으며 풍자하고 도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가 보입니다. 이 소녀가 읽고 있는 책 역시 당시 엘리트 사회에서 유행하고 있던 볼테르의 <캉디드>라는 풍자 소설로 보고 있기 때문이죠.

알프레드 시슬레_순수하고 아름다운 자연에 매료되다

모레의 다리

-오르세 미술관에 있는 시슬레의 <모레의 다리>라는 그림입니다. 시슬레가 생애 후반기에 거주한 지역에 지금도 존재하는 다리로 시슬레 특유의 잔잔한 채색으로 편안함이 느껴지는 풍경화입니다. 처음에는 경제적 이유로 왔지만 시슬레는 아름다운 풍경을 발견한 후 이곳에서 생동하는 색채와 생생한 붓질로 스냅사진 같은 수많은 풍경화를 남겼습니다.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_상업 포스터를 예술의 차원으로 끌어올리다

아리스티드 브뤼앙

-툴루즈 로트레크는 미술사에서 특히 포스터를 예술의 경지에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포스터 제작에 있어서는 독보적 위치에 있습니다. 투루즈 로트레크의 포스터 작품은 파격적인 구성이 돋보이는데, 이는 서양미술의 고전 원칙이었던 원근법과 안정적인 삼각 구도를 과감하게 무시하고 파괴했다는 데 있지요.

빈센트 반 고흐_아를의 시간을 담은 풍경

아를의 눈 덮인 풍경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이 소장 중인 빈센트 반 고흐의 <아를의 눈 덮인 풍경>입니다. 한 남자가 눈 내린 들판을 산책하고 있습니다. 강아지도 따라가고 있네요.

-반 고흐가 1882년 2월 파리에서 아를에 막 도착해 처음으로 그린 그림 중 하나로 파리에서 인상파의 영향을 받아 색상이 밝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 출신의 반 고흐에게 아를은 도시의 찌든 분위기를 벗어나 새로운 희망과 설렘으로 가득 찬 풍경이었을 것입니다.


요즘 30일, 60일, 100일.. 시리즈로 된 책이 많이 출간되고 있는데, 그중에 나는 특히 마로니에북스 책을 좋아한다.

역시 나오자마자 베스트셀러를 찍은 이번 <60일간의 교양 미술>도 후딱 읽어서 60일이 되진 않았지만 그림과 함께 시간을 잊어버린 건 확실하다.

그런데, 그림과 의사라니? 어딘지 모르게 색다른 시선으로, 새로운 관점으로 그림을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싶은 게 바로 내과 전문의 작가라서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그림을 단순히 그림으로 받아들이게 해주기도 하고, 어떤 그림은 해부학적 시각에서 화가와 그림을 설명해주는 도슨트가 되기도 하고, 어떨 떄는 미학에 대해 푹 빠져 우리에게 화가 한 사람의 삶과 그 시대의 환경, 분위기를 눈에 그리게 만들어준다.

60일 동안 책과 함께 많은 나라를 다녔다.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독일, 네덜란드, 그리고 유럽 8개구과 함께 러시아, 미국까지.

진짜로 가서 그림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만큼, 그리고 실제로 봤던 그림들을 다시 떠올리는 귀한 시간이 될 만큼 <60일간의 교양 미술>은 교양 뿐만 아니라 시간과 그림을 여행하게 해주었다,

보통 그림과 관련된 책에는 유명한 그림이 대부분이라 알고 있던 지식과 책에 새로운 지식을 접목하면서 읽었다면, <60일간의 교양 미술> 다르다.

내가 알고 있는 화가인 모네, 툴루즈 로트렉, 레오나르도 다빈치, 카라바조, 고흐... 등등이 있었지만 그림만 알고 화가는 몰랐던 이름들, 그리고 화가도 그림도 새로운 내용도 <60일간의 교양 미술>에서 알 수 있었다.

아마 나의 그림에 대한 지식이 짧아서 그렇겠지만, 적지 않은 책과 그림을 봤다고 생각한 나에게는 꽤나 겸손하고 유익하고, 또 책의 설명과 함께 친절한 시간이었다.

그림을 보면 볼수록 정말 직접 보고 싶다는 생각이 강렬하다. 하루 빨리 위드 코로나가 잠잠해지길 바라며 <60일간의 교양 미술>과 함께 해본다.

요즘은 디지털 '구글 아트&컬쳐'에서 명화를 검색하면 그림과 화가의 스토리와 함께 엄청난 비율로 확대까지 할 수 있어서 그림의 질감까지 볼 수 있다.

구글 꿀팁이니,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들어가볼 것! 그림을 검색하고 하단에 돋보기를 눌러서 계속 확대하면 그림을 정말 눈 앞에서 볼 수 있다.

'구글 명화' Google Arts & Culture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

자연을 사랑하는 작가들도 있었고, 말년이 좋지 않은 작가도 있었으며, 이정도면 부와 명성으로 행복한 삶을 마감한 화가도 있었다.

그리고 그림 하나 하나가 각자의 스토리를 가지고 이 시대까지 살아남았다는 것에 큰 감동을 느낀다.

모든 좋아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그냥 좋은 것도 내가 모르는 이유가 있을 뿐.

<60일간의 교양 미술> 덕분에 내가 좋아하는 취향에 대해 가까워질 수 있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