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CSI - 치밀한 범죄자를 추적하는 한국형 과학수사의 모든 것
표창원.유제설 지음 / 북라이프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적인 수사 기법을 동원해 멋지게 사건을 해결하는 '수사 전문가들".

셜록 홈즈와 형사 콜롬보가 진화된 현대적 모습. 수사망을 피하려는 간교한 범인들의 기발한 술수도 이들 앞에선 항복하고 만다. 미국 드라마 <CSI>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50여 개국의 안방을 휩쓴 이유다. (서두에서)

 

<CSI>가 미드의 대명사로 인기를 얻고 있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럼 드라마와 실제 과학 수사는 얼마나 현실적으로 똑같을까? 한번쯤 고개를 드는 궁금증이다. 실제 미국에서는 수사 현실을 왜곡한다는 거센 비난에 직면하기도 하고, 드라마처럼 멋지고 극적인 법 과학 증거의 제시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CSI 효과'가 신드롬처럼 번지기도 했다고 한다.

 

드라마 제작진은 현실과는 많이 다르다고 인정했지만, 이 책은 한국의 과학수사는 어디까지 도달했을까? 라는 2차적인 궁금증을 각종 사건 사례와 한국 최고의 CSI 전문가들의 인터뷰, 과학수사 기법, 장비 등으로 상세한 설명으로 해소해주고 있어 미래의 CSI 전문가를 꿈꾸는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소중한 지침서 역할을 한다.

 

저자는 이 책이 한걸음 더 발전한 과학수사로 이어져 억울한 누명을 쓰는 사법 피해자가 줄어들고, 치밀하고 교묘하게 법망을 피해 나가려는 범죄자가 한 명이라도 정의의 심판을 받는데 기여하길 희망한다는 소감을 피력하고 있는데, 책에서 보여주고 있는 각종 사건 사례들을 읽으며, 과학수사가 아니었다면 망자들의 원혼을 달래주지 못한 채, 미제로 묻힐 뻔 했던 점이 상기되면서 새삼 과학수사의 위력을 느꼈다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각종 과학수사 기법들 중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점은 컴퓨터의 지문자동식별시스템(AFIS)를 통해 지문일치 여부를 컴퓨터의 판정이 아닌 전문가의 육안 식별로 확인한다는 점이었다. 스릴러 소설에서도 단골로 등장하는 AFIS'지문일치'라고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은 첨단과학 시대에 인간의 오감이 아직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또한 시체얼룩이라고 불리는 시반은 형성된 후 자세를 바꾸면 다시 시반이 형성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어 몇 시간이 지나 시체의 자세를 바꾼 지 추측할 수 있어 시체의 이동 여부 등을 판단하는 좋은 근거가 된다고 한다. 그러면서 <다크니스 모어 댄 나잇>에서 해리 보슈가 법정에 출두하여 피고 데이비드 스토리를 범인으로 지목하는 근거로 제시하는 장면이 문득 떠올랐다. 오호~~~

 

그리고 책에서 예시를 들고 있는 사례들은 그 유명한 오 제이 심슨 사건, 김성재 변사사건, 치과의사 모녀 살인사건 등 세간의 화제를 모은 사건들을 들고 있는데 과학수사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이전에 허술한 초동 조치로 인한 수사의 난관들을 얘기함으로서 과학수사의 중요성이 다시금 강조된다.

 

그런 점을 감안하면 한국은 짧은 기간 동안 과학수사 기법, 장비 등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인력, 비체계적인 법 제도와 교육훈련시스템, 처우 등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걸 알 수 있었고, 멋지고 대단해 보이기는 하지만 과학수사 전문가가 되고 싶지는 않다는 젊은이들의 말에 전폭적인 지원과 관심 및 인식전환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