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을 못한다는 착각 - 우리 스스로 수학 지능을 구축하는 놀라운 생각의 기술
다비드 베시 지음, 고유경 옮김 / 두시의나무 / 2025년 9월
평점 :
나는 수학은 하나의 재능의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잘하고 싶다고 모든 것들을 다 잘 할 수는 없다. 글쓰기 같은 것도 마찬가지다. 노력으로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는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다다름의 끝을 넘어서는 일은 재능의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음악이나 스포츠처럼 재능이 일찍부터 발현되어 눈에 띄는 분야도 있을 것이다. 수학이나 글쓰기 같은 분야는 좀 다를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전히 나는 이 분야에도 재능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수학을 잘 하고 싶다. 이 책은 제목만 보면, 사람들이 모두 수학적 재능을 갖고 있음에도 본인 스스로 그 재능의 수준을 높게 설정하여, 수학적 자존감을 낮추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내가 그랬다. 실제로 자신의 수학적 재능을 스스로 낮추고 있는 것은 아닐까. 책을 보다 보면(특히 1장) 그런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아인슈타인이 평범하게 내뱉은 한마디에 저자처럼, 아닌 평범한 나는 반감을 갖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닐까. 하지만 읽다 보면, 내가 말한 그 재능의 다른 면들만 더 부각이 될 뿐이었다.
어느 정도 인정이 필요하다. 스스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노력을 할 필요도 있다. 수학을 잘 하기 위해서는 말이다. 이 책은 그렇다고 수학문제를 어떻게 하면 빠르게 잘 풀 수 있을지를 말하는 책은 아니다. 그저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방식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뿐이다. 그렇다. 방식을 바꿔 사고를 수학적으로 하게 된다면, 우리 스스로가 수학을 못한다는 사고에서는 벗어날 수 있을 것 같다. 데카르트가 그랬고, 서스턴과 그로텐디크가 그랬다. 물론 그들과 같아질 수는 없을 것이다. 최근에 읽고 있는 <책을 쓰는 과학자들>에도 데카르트가 잠깐 등장한다. 철학자이면서 과학자이고, 수학자이기도 한 그처럼 사고하기에는, 노력으로, 끈질긴 연습으로 가능할 것 같지는 않지는 말이다.
수학을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지 생각해 본다. 이제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가는 아들의 수학 문제집을 본 적이 있다. 이 나이에 맞는 문제를 풀고 있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같은 나이 때 배운 내용보다 훨씬 앞서 있어 놀랐고, 문제조차 해석이 안되는 문제들을 보면서 당황했고, 수학을 잘 한다는 것이 과연 이런 문제들을 척척 풀어내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수학을 한다는 것, 그것도 잘 하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은 아니다. 아니, 매우 어려운 일이다.
비단 문제를 빠르게 풀어 맞고 틀리고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이 책의 저자가 이야기 하는 방식이 내가 가진 의문에 대한 해결책도 아닐 것이다. 비록 내가 수학자는 아니지만, 지금처럼 수학에 관심을 갖고, 요령없이 노력을 해보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말이다. 그러다보면 수학적 깨달음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그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