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1 - 4月-6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하루키의 작품은 대략 6편 정도를 읽어본 듯 싶다. 누구나 알고 있는 그의 대표작 상실의 시대, 해변의 카프카,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어둠의 저편, 양을 쫓는 모험 그리고 이번 1Q84까지.. 물론 이번 신작은 아직 완결이 나지 않은 상태이긴 하지만 말이다. 그래서 리뷰 쓰는게 꺼려지긴 했지만.

언제나 느끼는 건지만 하루키의 책을 읽을 때의 흡인력은 대단하다. 이 작품은 아오마메와 덴고 라는 두 주인공을 각각 1인칭으로 해서 각 장마다 번갈아 이야기를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하루키 책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스토리 전개 방식으로 하루키 책만의 엄청난 흡인력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은 정말 좋아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겠지만, 보통사람의 경우 한 스토리만을 계속 읽고 있지면 집중력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스토리 전개에 지루할 만 하면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버리기 때문에 나 같이 책벌레가 아닌 보통 사람도 지속적인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물론 소설이 가지는 이런 기술적 구조 외에도 이 소설에는 엄청난 흡인력을 갖게하는 많은 장점이 있다. 독특하고 전혀 평범하지 않은 다양한 캐릭터, 일상에서 전혀 듣도 보도 못했던 흥미있는 신선한 소재 등이 바로 그 것들이다.  

하루키의 소설의 주인공 캐릭터들은 항상 그렇듯이 상당히 냉소적이며 반 사회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평범하지 못했던 어린시절의 기억들 때문인지는 몰라도, 범인(凡人)들이 추구하는 생활양식은 그들에게는 전혀 관심이 없는 사안들이다. 단지 기초적인 욕구와 생활만 충족될 수 있다면, 그 외에 어떠한 사회적 욕심과 욕구도 없다. 단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뿐이다.  

이런 다소 비일상적 캐릭터들은 바쁜 일상 속에 "단지 살아가기 위해 살아가는" 보통 현대인들에게 일상탈출 욕구에 대한 어떤 감정이입 대상으로서 엄청난 매력들을 발휘 한다. 악랄한 성적 범죄를 저지르는 자들을 "다른 세상"으로 보내버리는 일을 하던지, 자폐증이 의심되는 아름다운 여자아이가 쓴 소설을 각색해 희대의 베스트셀러로 만들어버리는 일을 하는 일들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  나는 매번 하루키의 소설 속 주인공들에게 번번히 매료되고 그들에 동화된다.  

"리틀피플"의 존재는 이 소설에 기저에 흐르는 큰 줄기다. 그들은 선구에 있다. 그 것들을 처음으로 불러낸 건 어떤 작은 소녀다. 그들은 악랄하다. 그들은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주인공들을 괴롭히진 못한다. 다만 주변의 인간들을 괴롭힐 순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존재를 일반 대중들에게 알린 것에 무척 화가 나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도 난 리틀피플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형상화 시키기가 쉽지 않았다. 말그대로 어떤 작은 악마들일까? 스머프크기 만한? 아니면 어떤 신과 비슷한 악령 같은 것들인가? 좀더 비약해서 표현하자면.. 인간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이기적의 욕망의 집합체? 인류가 저질러온 파멸적 악행들의 결과물의 물리적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 무한히 많은 생각을 해봤지만 그 것을 또렷히 정의하기에는 불가능했다. 완결이 되지 않은 지금 이 시점에서는. 3권이 나와봐야지,, 완결이 나봐야지 정의를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내 나름대로의. 

어쨋건 이 세계는 공기번데기라는 소설이 등장한 이후 부터는 더이상 정상의 세계가 아니게 된다. 달이 두개인 "1Q84"의 세계다. 그 세계와 리틀피플을 이어주던 '리더'를 없앤 아오마메는 죽었다. 하지만 덴고는 이제부터 아오마메를 찾는다고 한다. 이제는 이 세계에 없는 아오마메를. 그리고 리틀피플은 다른 채널를 통해서 또 이 세계로 등장할 것이다. 연결고리가 없어졌다고 1Q84가 끝난 것은 아닌 것 같다. 아무래도.

먼가 명료하게 리뷰를 마무리 짓고 싶지만, 지금은 그럴 수 없다. 그저 손 가락 빨며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다. 1Q84 3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