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피용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동안 우주를 주제로한 SF소설은 많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고, 개인적으로 그런 류의 SF소설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 소설을 처음에 접했을때 많이 반가웠었다. 더구나, "개미"라는 걸출한 작품을 쓴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아닌가?!

기대 반, 또 기대 반으로 소설을 읽어내려 가기 시작했다. 시작은 나쁘지 않았던 것 같다. 주인공들의 개략적 줄거리와 일상들을 보여주면서 그들이 어째서 파피용 프로젝트의 주역으로 되어가는 지를 설명해주는 모습이 무리가 없어보였다.

하지만, 파피용호를 제조하는 과정을 그린 대목에서 부터는 급격하게 현실성을 잃어갔다.  길이가 수십킬로에다가,  14만명이라는 사람을 탑승시킬 수 있는 다세대 우주선. 또한, 우주선이 추진하는 방식은 수백만 킬로의 거대한 돛을 이용하여 우주상의 광자에너지를 흡수하고 축적하여 추진력을 얻는다는 것이다. 물론 작가도 과학적인 단서들을 토대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쓴 내용이겠지만, 일단 현대과학으로는 허무맹랑한 내용임에 분명했고, 기존에 제시되어 오던 항성간 우주선의 개념과도 크게 다른 면이 있었다. 읽는 내내, 과연 이런 방식으로 우주여행이 가능한 거야? 하고 끝없는 의문이 생기면서, 소설에 집중하기 힘들었다.

내가 이 소설에 요구한 것은 철저한 과학적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어떤 현실적인 SF요소를 원했던 것 같다. SF에서 뭔 현실성을 바래?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과학적 내용이 뒷받침된 SF가 훨씬더 독자의 흥미를 끈다는 사실은 익히 잘 알려진 바이다. 그렇지만, 이 소설은 그런 철저한 현실적 SF소설이 아니라, 좀더 인간성의 발견에 중점을 둔 소설이었던 것 같다. 소설 후반부를 보면 알겠지만, 다세대 우주선이라는 거창한 계획이 결국 인간들의 이기심과 비열함에 애초의 큰 목적을 잃어가고 프로젝트는 실패로 돌아가는 듯 하지만, 나름대로의 반전을 준비시켜 놓음으로써 독자들에게 인간에 대한 어떤 희망의 메세지를 전달하려고 한다. 뭐, 실체는 휴머니즘 소설에 더 가깝지 않았냐 하는 것이다.

내가 원하는 내용의 철저한 SF물은 아니여서 소설 중반에는 흥미가 급격히 떨어져 읽어내려가기가 힘들었지만, 마무리가 나름대로 교훈적이고 그럴 듯해서 크게 실망하지는 않았다. SF적으로도 다소 공감하기 힘든 점이 많지만 다세대 우주선이라는 개념을 소설에 적용시킨 첫 장편소설이 아닌가?(아닐지도 모르지만)하는 생각에 그 시도는 높이 살만하다는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