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리더 내인생의책 세더잘 시리즈 29
질리 헌트 지음, 이현정 옮김, 최진 감수 / 내인생의책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9

 
    리더   
누가 되어야 할까?
                                                                     - 내인생의 책
  
집단을 이끄는 사람을 말하는 리더..
즉,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 지
어떤 역량이 필요한 지 알 수 있었습니다.
무리를 이끌고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은 무엇일까
생각 해 보았던 시간이었어요.
 
 
히틀러, 윈스턴 처칠 영국 수상, 루스벨트 미국대통령, 소련 스탈린,
존 F 케네디, 피델 카스트로, 흐루시초프, 레이건, 소련 최초의  대통령 고르바초프,
마하트마 간디, 넬슨 만델라, 마틴 루서 킹 2세등등
 
 
제2차 세계대전의 리더들과 냉전시대의 리더들..
식민 지배와 인종 차별에 맞선 리더들과  타락한 리더들까지들을 만나보면서
옛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끼까지 어떤 리더들이 있었고 그들이 추구하고 했던 행동들은
과연 어땠는 지 보고 정리가 되면서  좋은 리더와 나쁜 리더의 차이가 무엇이며
누가 리더가 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시각이 생깁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9편 리더 누가 되어야 할까?>를 읽어 보면
장차 좋은 지도자가 되는 길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미래의 리더는 누가 될 지 우리가 어떤 지도자를 뽑아야 하는 지에 대한
답을 알 수 있어요. 중대한 결정에는 희생과 포기해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득만이 아니라 그 희생과 포기해야 하는 부분까지도 그 중대한 결정의 부분이 되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희생이 따르더라도 다수의 이익을 또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과감한 결정을 해야할까요
아니면 자국의 이익을 위한 결정이라 하더라도 초래할 수 있는 희생까지도 생각해야 할까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에서
 
만델라 효과가 보장된다면 간디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을 따르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만델라는 이를 따르지 않았지요.
만델라는 전략을 상황에 맞게 변경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아프리카민족회의의 다른 리더들은 만델라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폭력적인 대응은 아프리카민족회의의 방침에 반하는 행위이며
폭력을 빌미로 당국이 아프리카민족회의에게
더 심한 폭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면 만델라가 폭력을 사용하자고 제안한 것은 바람직한 결정이었을까?
 
196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흑인 마을에서
경찰들이 비무장 흑인 시위대에 총을 쐈고 비상사태가 선포되었지요.
그 후 불법 단체로 규정되어 만델라는 지명 수배를 받고
감옥살이를 합니다. 무려 27년의 세월을 감옥에서 보내게 됩니다.
199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역사 최초로
1인 1표 투표를 행사하는 자유 총선거가 실시되고
만델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대통령으로 선출된 만델라는 흑인들의 주거 및 교육환경개선과
생활 수준 향상을 위한 계획을 도입하고
'진실화해위원회'를 설치하여 인권침해사건을 조사하지요.
만델라는 복수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래와 같이
"아프리카 공화국이 진정 아름다운 나라를 꿈꾼다면
그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길도 제시되어야 합니다.
그 길은 바로 '선'과 '용서'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진정한 리더는 합의를 찾는 사람이 아니라 합의를 만드는 사람이다.
- 마틴 루터 킹 2세 미국의 인권운동가 
 
본 받을 점이 많고 그 정신을 기릴 수 있는 훌륭한 리더들의 삶을 보면서
그 정신을 이어받아 열심히 노력한다면
리더를 향한 발걸음을 좀 더 앞길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훌륭한 리더는 자신의 이익이 아닌 모두의 이익을 위해 힘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