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 - 어린이를 위한 회의 철학 안내서
댄 바커 지음, 이윤 옮김, 송광용 감수 / 지식공간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주인공 안드레아는 낯설고 이상한 이야기를 들으면

덮어 놓고 믿기 전에 먼저 의문을 품어요.

"이게 사실일까?"하고..

안드레아는 남의 이야기나 소문 또는 어떤 일에 대해 들었을 때 그 이야기가

사실인지 아닌지, 참인지 거짓인지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질문하고 사실을 밝혀 내고 자기 눈으로 확인하고

생각을 더해서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고 하지요.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를 읽으면서

아이들은 안드레아와 함께 하면서  '생각을 키우기'와

'올바른 판단력'에 대해 느끼게 됩니다.

 

 

 

아이들이 크면서 이해하지 못할 일들이나

어른들 조차도 확인 되지 않은 소문들을 믿고 두려움을 느끼거나 괜히 움츠러들기 부터

하고 진상확인 보다 소문을 믿고 거기데 더해 소문에 소문이 나면서

사람들을 거쳐 가면서 소문에  살이 눈덩이처럼 붙어 늘어나서 커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어느 땐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어 있을 정도 일 때도 있습니다만^^;

 

아이들이 어릴 때 부터 사고력을 키워주고 합리적 판단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을 수 있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슨 일이 있을 때 무엇이 옳고 그른 것인지,

좀 더 현명하고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려면 어떤 방법들이 있고

어떻게 해야하는 지 생각하면서 모두에게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려고 하고 따라야 할 때도 있다는 것을 깨닫고

좀 더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 책은 진리를 찾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그건 바로 어떤 사실을 믿기 전에 이것 저것 의심해 보는 '합리적 회의'와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증명하는 '사고의 원칙들'입니다.

합리적 회의는 무엇이 맞는 지 의문을 갖고

생각을 일으키는 의문을 원동력이 되는 의심을 하는 것이고

사고의 원칙들은 과학적 사고를 위한 원칙 6가지를 꼭 지켜야 하는 데

첫 번째로 검증의 원칙은 확인하는 것으로 실험이나 관찰로 확인하는 것을 말하고

두 번째로 반복의 원칙은 다시 한 번 더 확인하라는 것이며

세 번째로 틀렸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는 귀납법으로 다시 확인하고

네 번째로 일관성의 법칙으로 이치에 맞아야 하며

다섯 번째로 단순성의 원칙으로 단순하게 설명해 주고

여섯 번째로 정직성의 원칙으로 정직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류가 발견되면 틀렸다고 말하는 용기와 정직성이 필요하답니다.

 

정말 매력적이면서 멋진 책을 만났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