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이 품은 한국사 두 번째 이야기 지명이 품은 한국사 2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2010 올해의 청소년 도서에 선정된 
<지명이 품은 한국사> 두 번째 이야기 
서울, 경기도 편에 이은 전국의 지명 유래 

           지명이 품은 
             한국사
    
                     두 번째 이야기                       
                                                         이은식 지음
                                                          
                                                           -   타오름

우리가 살고 있는 지명에는 지명의 이름이 붙여지기까지
어떤 원인이나 어떤 까닭으로 인한 것으로
그 지역의 향취와 멋으로 
한 고장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지명에 얽힌 전설이나 풍수지리에 관한 내용도 무척 흥미로웠답니다..

이 <지명이 품은 한국사>를 본 뒤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요즘 ’발전이다’, ’개발이다’ 하여 
고유의 지명과 뜻이 한 순간 사라지는 것에 대해 
마음이 아프더라구요..

지명은 문자가 존재하던 이전 시대부터 불리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순수한 고유어로 명명되었다가 한자가 들어오면서
고유어와 한자어 지명이 병존하였다가
한자어 지명이 우의성을 정하여 고유어 지명을 압도하기에 이르렀고
그래서 현재 고유어 지명은 속명으로 전락해 버렸는 데 
그래도 다행으로 향토민의 애착을 받으며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는 곳이 있다 합니다..

토착 원주민의 생활 반영이자 철학 사상까지 담고 있으며
역사적 풍토를 후세에 전해주는 사회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었어요..

왕십리에 대한 지명이 품은 뜻은 정말 재밌기까지 하였답니다..
이처럼 지명 선택의 바탕이 되는 소재로 산소, 물, 지형, 자연자원, 신앙
풍수지리, 교통.. 그리고 그외 다양한 지명들이 있었는 데
정조시대와 관련있던 은평구 구파발 역 부근의 흥창사를 비롯하여
종로구 서울지방경찰청 담 모퉁이의 종칭교,  
’두 창이 한스런 죽임을 당한 곳’으로 강화군 살창리,  ’떠나지 못하고 
혼령 손돌을 알리는 차가운 바람’의 강화군 좁은 바닷가 골인 손돌목, 
’하음봉씨의 뿌리’ 강화군 봉천대, ’쫒겨난 폭군 연산군이 머물다 죽음을 
맞이 한 곳’ 강화군 고구리, ’고구려 장수 연개소문이 태어난 ’ 강화,
’이고가 정착한 무한히 아름다운 산’인 수원시 팔달산, ’퉁소로 
이별의 그리움을 달랜 부부’ 수원시 장안구 퉁수 바위, ’복스러운 우물이 있다’는 
성남 수정구 복정동, ’온조왕의 궁이 자리잡은 마을’ 하남시 춘궁동,
’7인 고려 충신과 정선아리랑’ 정선군 남면 낙동리,
천안 명물 호두과자에 들어가는 천안에 있는 호두나무의 원조에 얽힌 이야기등
  

귀가 솔깃해지는 역사와 지명이 함께 만나는 흥미로운 여행이었습니다.. 

꼭 읽어보시라고 권해드리고 싶어요^^ 

적극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