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 그레이슨, 윌 그레이슨
존 그린.데이비드 리바이선 지음, 김미나 옮김 / 자음과모음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그중에서도 추파는 두가지 모두에 거리는 최악에 속한다.

그래도 그 '추파'에 몸을 맡기고 한 키스가 결국 심장을 도려내는 종말로 끝나는,

그런 다시는 기억하고 싶지 않을 끔찍한 순간에는 비할 바가 못 될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세 번째 규칙이 필요하다.

첫째, 입 닥치고 있을 것. 둘째, 지나치게 관심을 쏟지 말 것.

그리고 셋째, 좋아하는 여자에게 절대 키스하지 말 것.

나로서는 '정신 차리고 나도 내 인생 찾아야지'라는 말을 듣고도

'바보가 아니고서야 그런 말을 믿을 리가 없잖아'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 도리가 없다.

'내 인생'이라는 것은 가게에 가면 살 수 있는 물건이 아니다.

 

 우리의 10대는 늘 멋지지 않다. 누구나 빛날 수 없고 누구나 인정받을 수 없다. 의대 캠프에 가라는 아빠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는 윌에게, 상황에 떠밀려버리는 윌에게 그래서 나는 무한공감한다. 나의 하루하루 또한 매일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고 누군가가 말하는 것처럼 내 청춘은 반짝반짝 빛나지는 않는다. 윌 그레이슨과 윌 그레이슨의 상황 또한 그닥 좋아보이지는 않는다. 그래서 함께 답답해하고 함께 슬퍼한다.

 

 책 도입부에서 나는 조금 당황했다. 아무런 교차점이 없는 윌 그레이슨과 윌 그레이슨의 이야기가 교대로 그려지고 각자의 스토리가 이어지는 바람에 썩 친절한 책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책이 중간까지는 지나가야 두 사람이 만나기 때문에 그 만남까지만 읽어나가보자고 생각했다. 둘은 내가 예상치도 못했던 장소에서 만났고, 내 예상을 끝내 모두 비웃었다. 이 이야기는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라고 보기는 힘들다. 두 사람이 만나는 순간은 몇 번 되지 않는다.

 

 

 

-넌 도대체 정체가 뭐니?

-타이니 쿠퍼!

-'타이니'란 이름, 너랑은 안 어울리지 않니?

-나도 알아. 아이러니라는 것도 있잖아.

-.

-''라고 할 필요 없어. 난 괜찮으니까. 내가 뼈대가 좀 크긴 하지.

-, 뼈대만 큰 거 아니거든.

-그만큼 사랑할 데가 많다는 거 아니겠어!

-그러려면 장난 아니게 힘이 들 텐데.

-친구, 난 그만한 가치가 있어.

 

 어쩜 이렇게 바로 옆에 있던 친구가 하나같이 골 때리는 사람들인지. 하필 유일하게 있는 친구들의 무대뽀 기질에 막무가내식인지. 주인공들은 거기에 힘도 못 쓰고 끌려가는 꼴이 어찌나 답답하던지. 특히 설마설마 했던 마우라의 뒤통수(!)와 멋대로 자신의 뮤지컬에 이름을 올려버리는 타이니 쿠퍼의 행동들에 욕이 절로 나올 지경이다. 하지만 그 친구들도 결국은 그저 같은 또래의 아이들일 뿐이고 그들과 평생함께 하는 순간도 다시는 보지 않을 순간도 스쳐지나갈 뿐이다.

 

  타이니 쿠퍼는 계속해서 말한다. 자신은 자신이 자랑스럽다고. (그와 친구가 아닌) 그와 며칠 알았을 뿐인 윌 그레이슨은 그가 있었다면 당연히 학교에 게이클럽이 있었을 것이고 자신이 그 회장을 맡았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만큼 타이니 쿠퍼는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이기에 늘 그 사랑과 자신감이 넘치는 것이다. 설사 그가 떨고 있고 그의 어두운 마음들이 나오는 순간에도 그는, 주었던 만큼의 사랑을 다시 받는다. 수많은 윌그레이슨들에게. 이 책의 주인공은 타이니 쿠퍼가 아닌가 싶을만큼 그는 충분히 아름답다.

 

 외국 작가들의 재치에는 좀처럼 익숙해지지 않는다. 농담을 알아듣기도 힘들뿐더러 국내정서에 완전히 세뇌되어있는 나로서는 그들의 생각들에 좀처럼 녹아들지 않는다. 하지만 긴 이야기를 함께 하면서 나도 점점 그들의 재치에 젖어든다. 윌 그레이슨과 윌 그레이슨이 주고 받는 이야기에 함께 담기고 타이니 쿠퍼의 뮤지컬을 함께 신나게 즐긴다. 긴 여정을 함께 그리고 홀로 걸어가며 성장한 두 윌 그레이슨의 사랑과 우정이 찬란하게 빛나길.

 

 

 

-그런 시행착오를 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걸.

그게 그거였잖아. 맞지? 시행착오 말이야.

'시행성공'이라는 말이 없는 데는 다 이유가 있어.

시도를 하면 실수를 하게 되어 있는 거야. 시도하고 실수하고.

...

-, '시행착오'란 말이 지나치게 비관적이라는 데는 동감이야.

아마도 대부분의 경우가 그렇기 때문이겠지.

그런데 내 생각에는 시도하고 실수하고. 그걸로 끝이 아닌 것 같아.

사람들은 시도하고 실수하고 또 시도를 하지.

시도하고 실수하고 시도하고, 시도하고 실수하고 시도하고.

그 과정을 거치고 나서야 비로소 그것을 얻게 되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