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치도록 가렵다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44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도 하루가 간다. 내일은 또 올 것이다.

그 내일은 또 오늘이 될 것이고 그 오늘이 지나면 또 내일이 올 것이다.

그렇게 하루하루 가면 된다. 사고치지 않고.

…있는 듯 없는 평범함 속에 녹아들어야 한다.

  죽어라 말 안 듣는 아이들과 아직도 갈 길이 한참 먼 선생님의 사투가 눈물겨운 이야기다. 아이들은 여기저기 신나게 튀어버리고 그들을 잡아야하는 선생님의 하루는 지겹도록 길다. 아이들을 위한 프로젝트로 도서관에서 독서활동을 진행하려고 하지만 예상 밖의 난관에 부딪히고, 자신의 이별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힘든 상황에서 아이들과 작은 일로 피곤한 밀당을 하고, 그러면서 아이들과 함께 성장하는 수인의 성장담이라고 해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양희순과 같은 교사가 곁에 있어 다행이고, 말썽만 부리는 아이들이 그녀의 성장을 함께 했다는 것에 다시 생각해보면 웃음이 난다.

  책을 읽는 내내 들었던 생각은 등장하는 이름들이 참 예쁘다는 것이다. 수인이 전에 있던 학교의 이름인 수산나라는 말도 참 예쁜데 아이들이 꿈과 현실사이의 고리삼아 만들었던 독서동아리의 이름, ‘호접몽도 묘하고 신비로운 이름이다. 수인이 자주 들렀던 헌책방, ‘자작나무 사이로도 그렇고 도범이의 새 이름 은탁또한 그렇다. 아이들 하나하나의 이름과 모습들이 예쁘고 오래된 책들의 이야기가 살아 숨 쉬는 고성같은 도서관이 그러하다.

주체할 수 없는 흥이 자신을 여기까지 데려 왔다는 것을 안다.

그 흥이 사라지기 전에 그 자리를 메울 또 다른 흥을 좇아 여기까지 왔다.

그 흥 때문에 자신의 발등을 깰 때도 많았다.

고만한 용기와 고만한 소심함, 고만한 머뭇거림,

고만한 두려움과 고만한 후회로 밤잠을 설치며 잠을 이루지 못한 다음 날,

뒷걸음질 치며 도망가려 하거나 포기하려 한 날이 수도 없었다.

그러면서도 갔다.

늘 불안했고 그보다 더 큰 불안이 잠재우거나 잊게 만들었으며

겪은 불안만큼 용기도 가질 수 있었다.

 

 

  망치를 가방에 넣고 다니고, 선생님에게 따박따박 말대꾸를 하며 쉴새 없이 떠들고, 때로는 절도와 폭력도 서슴치 않는 아이들. 책 내내 이어지는 긴긴 싸움에 수인도 지치고, 아이들도 지치고 이미 오래전에 지친 선생님들은 아이들을 놓아버리기도 한다. 사실 그들의 가려운 부분들이 시원하게 긁어지지 않아 답답하기도 하다. 그들의 프로젝트를 제대로 지켜보고 싶은 독자로서는 아쉬운 일이다. 그러나 수인은 또다시 달릴 것이고, 아이들은 조금 느리더라도 그녀의 손을 쉽게 놓지 않을 것이고 더 느리더라도 어쩌면 다른 교사들도 아이들을 다시 안아줄 수 있을 것이다.

  수인의 프로젝트가 꼭 성공하길.

아이들이 각자의 삶을 즐길 줄 알고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되길.

그들의 도서관이 그들이 이름들 만큼이나 어여쁘고 좀 더 따뜻한 곳이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