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좌전 - 상 - 전면개정판 춘추좌전
좌구명 지음, 신동준 옮김 / 인간사랑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춘추좌전>은 본디 <춘추>와는 별개의 텍스트입니다. 이 책에도 저자 서문에서 잘 밝혀져 있듯, 5경(五經) 중 하나인 <춘추>는 공자의 저술 명의로 알려졌고, 그 <춘추>에 좌구명이란 사관이 주석을 단(정확하게는, "전[傳]을 썼다고 해야겠습니다만) 것이 바로 <춘추좌전>입니다. <춘추>가 너무도 소략한 기술이기 때문에, 학식 높고 사정에 정통한 전문가의 설명이 없이는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가 힘듭니다(신동준 선생님의 표현에 따르면, 거의 "메모"와도 같습니다). 꼭 <춘추>뿐 아니라, 모든 경전은 대개 간명한 기술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경"에 "전"이 따라붙는 건 거의 필수이기도 하므로, 이를 함께 일러 "경전"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경"과 "전"은 본디 별개의 존재 단위입니다.

역자 학오 신동준 선생께서는, 중국 유학의 역사를 놓고, 이 <춘추>에 "전(傳)"을 따로 부가하여 저술한 책들 중, 현재까지 남아 있는 좌전, 곡량전, 공양전 세 권 중, 어느 책이 당대 지식인, 관료, 지배층의 너른 지지를 입어 으뜸가는 위상을 확보했는지에 따라, 시대 정신을 규정할 수 있다고까지 규정하십니다. 한대에는 동중서의 영향 때문에 공양전과 곡량전이 널리 존숭되고 애독되었으나, 삼국시대와 남북조를 거치고, 이후 송대를 지나면서 성리학(도학)의 태두인 주희가 좌전의 우월성을 고고히 선언함에 따라, 좌전이 거의 독보적인 권위를 획득했습니다. 현재 우리가 춘추 하면 바로 좌전(만)을 떠올리고, "춘추"와 "좌전"을 아예 단일개념어로 인식하는 건 바로 이 영향이 근 1,800년 동안 면면히 이어진 까닭입니다.

이후 청나라가 말기적 부패 무능상을 노정하자 개신 유학자들이 "변법 자강"을 들고 나왔는데, 이들의 대표격인 캉유웨이 등이 특히 "공양전"에 표현된 자유로운 금문 기반의 개혁주의를 표방했습니다. 확실히 중국다운 것이, 그저 구체제를 개혁한다고 내세워도 될 것을, 구태여 고전에서 전거를 찾아 "공양전식 혁신"을 표방하는 그 태도입니다. 시원시원하고 역동적인 공양전, 곡량전에 비해, 좌전은 꼬장꼬장하고 보수적입니다. 이런 좌전인 만큼, 고전의 해독에 통달하고 심지어 현대 중국의 추세와 사정에까지 밝은 역자분이 나서서, 이 복잡다단한 격변기, G2의 분립 웅거기를 사는 우리 현대인에게 그 참뜻을 밝혀 줄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한길그레이트북스에서 상중하 3권 체제로 초판을 내었을 때 처음 신동준 박사님의 <좌전> 번역을 접했습니다. 그때는 G2라는 용어도 고안되거나 유행하지 않았고, 아시아의 허브 국가라든가 "퍼스트 무버"라는 개념도 낯설 무렵이었습니다. 그간 역자께서도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 독자들과의 소통 폭을 넓히셨고, 동아시아의 정세를 보시는 시야도 훨씬 원대해진 면이 있습니다. 이런 저간의 사정이 다 이 10년만의 전면 개정판에 반영되었고, 저자의 견문도 폭 넓게 투영되어, 이를테면, 祭라는 글자가 일상으로 발음될 때에는 제사라는 "제"이지만, 인명 지명으로 쓰일 때는 반드시 "채"라는 발음이라는 점도, 극최근의 현지 답사를 통해 성조까지 분석하며 정확한 분별을 전개하십니다. 과연 전면개정판이란 명목에 값하는 알찬 장족의 진보입니다.


책의 편제나 편집, 장정도 이전판에 비해 더 마음에 듭니다. 일단 판형이 크고, 성격이 전혀 다른 시리즈와 한묶음으로 같은 디자인이었던 구판과 달리, "중국 3대 사서"라는 <국어>와 <전국책>, 이 두 권과 같은 장정을 취합니다. 세 권(이 <좌전>이 두 권이므로 총 네 권입니다)을 나란히 꽂으면 서재의 품격부터가 달라 보입니다. 여태 <좌전>만 타 출판사 간행이었는데, <국어>의 완역 출간 후 불과 몇 달만에 이렇게 <좌전>의 개역으로 시리즈가 완결을 보니 너무 좋습니다.

p84에 보면 역주(각주 35)를 통해, "조근(朝謹)은 알현을 뜻한다"고 명확히 서술합니다. 알현은 신하가 군주를 뵙는 것도 알현이지만, 역자는 "'조(朝)'는 봄에 제후가 천자를 찾음이요, '근(謹)'은 가을의 행사"라며 이 명사가 융합 관계의 합성어임도 친절히 가르쳐 주십니다. 책 서문에 자세히 나오듯, 고전이란 어떤 편자, 역자가 주를 달고 해설을 베푸느냐에 따라 그 이해도와 깊이가 독자에게 천차만별로 다가오기 마련입니다. 고전에서, 상세한 역주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한 내비게이션과도 같습니다.

이 시기 다른 나라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았겠으나, 노 왕실(상대가 된 제 왕실 역시)과 공경 가문에서 백성의 모범이 되어 질서와 예를 지키기는커녕, 입에 차마 담지도 못할 패륜을 자주 자행했습니다. 여튼 이 과정을 기술하며 여러 인명이 나오는데, "강(姜)"이 두 음절 후반부(전반부가 아닌)에 돌림자처럼 붙은 여러 사례를 두고 "여성에게 그 출신 성을 표시한다" 같은 친절한 설명을 해 주시네요.

<동주열국지> 같은 연의류를 읽은 독자들이라면 이 사서에 실린 여러 이야기들이 그리 낯설지 않겠습니다. 연의류는 많은 각색과 상상이 첨가되었고, 문체가 나긋나긋 이해가 쉽습니다. 반면 <춘추> 같은 고전은 문장이 엄격하고, 숨은 뜻이 깊죠. 역자 서문에도 잘 나와 있듯, "숨기는 듯 분명히 드러내며, 소상하되 비루하지 않고, 감싸는 듯하면서 추상같이 비평하니, 성인(공자를 가리킵니다)이 아니고서야 이런 책을 쓸 수 없다"는 평가가, 어떤 반론을 불허할 만큼 설득력을 지니는 게 이런 정사서, 혹은 경전입니다.

<춘추>는 경전인가 역사서인가? 청대 장학성은 놀랄 만한 사고의 변증법적 도약으로, 이른바 "육경개사(六經皆史)"설을 통해, 경과 사의 구분이 무의미함을 논증했습니다. 춘추 같은 양성적 성격의 텍스트뿐 아니라, 아예 시경, 서경, 주역 등의 시원적 경서도 모두 "역사"로 볼 수 있다는 탁견이지요. 학오께서도 이런 너른 시야와 통합적 관점에서 경전을 새기는 스탠스이기에, 어쩌면 이 책은 우리 현대 독자들에게, 유교 경전 수용과 학습에 있어 가장 표준적인 지침으로 기능할 수 있겠습니다.

끝으로 이 책은, 무엇보다 "한국적인 춘추좌전"을 표방합니다. 저본은 북경대 1999년판, 양백준(역시 북경대 교수였고, 대륙에서 고전 주석의 대가였지만 문혁 때 크게 고생한 분이죠)의 1983년판 주석서 등이지만, 조선 정조 때 출간된 <춘추좌씨전>을 수시로 참조하여, 불명확한 대목의 해석이나 한국적 관점을 반영하는 데에 크게 활용했다고 밝힙니다. 하권을 마저 읽고 나서, 그 정조시대판의 특장인 성씨 세계(世系)의 도표가 얼마나 매력적으로 이 책에서 잘 구현되었는지 리뷰에 그 소감을 표현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