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묵시록적 소설 '로드'입니다.

사실 '로드'는 다들 재미있다고 추천 해줄때 종말론적 소설 두권을 비교하며 읽고 싶다는 생각에

'나는 전설이다'와 같이 구입 했습니다만, 우연히도 두 소설이 극명히 다른 성격을 띄고 있군요.

'나는 전설이다'는 직설적이고 단숨에 읽어 내리게 하는 빠른 템포의 재미를 지니고 있다면,

'로드'는 비유와 상징으로 종말의 버거움과 죽음의 유혹으로 한발 한발 힘겹게 그러나 꾸준히

내딛게 하는 힘이 있는 소설 입니다.

무언가 거대한 폭발후 멸망해 가는 지구...혹은 어떤 국가 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두발만이 장전된 총을 들고 길을 따라 끊임없이 이동하는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 입니다.

아버지는 폭발 이전의 구세계를 상징하고 ,

아이는 폭발후 태어난 신세계를 상징하죠.

두 사람의 긴 여정은 고난과 역겨움, 살기위한...그러면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기 위한 

삶과 죽음 사이에서 위태위태하게 버티는 고행과도 같습니다.

폭발이후 짐승과 벌레들마저 사라져 먹을게 없어진 세상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태아조차 꼬챙이에 꿰어 구워먹을 정도로 타락한 상태.

남자는 처음엔 아이에게 희망만을 가르치고, 나쁜것은 못보도록 가려주죠.

하지만 아이는 가르쳐 주지 않은 말들을 이미 알고 모든것을 보고 있습니다
.

 

네가 머릿속에 집어넣은 것들은 거기 영원히 남는다는 걸

잊지마. 한번 생각해보렴. 남자가 말했다.

어떤 건 잊어먹지 않나요?

그래,기억하고 싶은 건 잊고 잊고 싶은건 기억하지.

 

소설에서 두사람은 자신들을 '불을 운반하는 자'라고 말하죠.

옛날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불을 전해주며 인간이 어둠을 씻어내고,빛을 얻은 대신

분쟁을 얻게되듯.

아이는 신세계에 전해질 유일한 순수와 인간을 뜻하지만, 악으로 가득찬 세상에서

살아가기에는 걸림돌이 되는 양심을 뜻합니다.

두사람이 길에서 만난 90세의 노인.

아무것도 없이 정처없이 가는 노인에게 아이가 간청해 남자는 먹을것을 나눠주죠.

그러자 노인은 먹을것을 먹고 나서

'자신이 누구인지는 가르쳐 줄 수 없다. 당신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말해 자신에게 위해가

올 수도 있으니...'라고 합니다.

아이를 데리고 다니는 남자쪽이 (어린아이는 강간과 식사로 쓰이기에...)더 위험함에도

다 죽어가는 목숨임에도 자신만을 챙기죠.

그리고 '나라면 저아이가 시키는 대로 음식을 나누어 주지 않았을것'이라고 합니다.

인류의 종말에 사라져가는 양심을 아이와 대비해 나타냅니다.

두사람은 왜 가야하는 지도 모른 채

바다를 향해 길을 재촉합니다.

점점 스러지는 병든 구세계인 남자와 아직은 나약한 신세계인 아이가

생명의 모태인 바다를 향해서....

 

로드는 99%의 절망과 1%의 희망을

보여 줍니다.

물론 작가의 상상력에서 나온 회색빛 세계일 뿐이지만

공감이 가는것은 절망의 끝에서 만나게 될

추악함이 사실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렇습니다.

'로드'는 한번 읽고 끝내기에는 작가가 숨겨놓은 것들이 많네요.

'로드'를 영화화 한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만...

보신분 말씀에 의하면 책과는 다르다더군요.

그러리라 봅니다.

당분간 이 어둠을 마주할 용기가 없을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전설이다 밀리언셀러 클럽 18
리처드 매드슨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작품을 읽고 소설가가 되었다~라고

스티브 킹이 말한 것으로 유명한 작품 나는 전설이다.

입니다....

이 작품은 1954년에 쓰였는데 지금 읽어도 왜 이작품이

다른 공포소설의 모태가 되었는지 느낄 수 있을만큼

속도감과 철학을 담고 있네요.

이 작품은 그동안 세번의 영화화 되기도 했습니다만... 

1964년에

이탈리아에서촬영된

빈센트 프라이스 주연으로

촬영되었던

「지구 최후의 사나이」죠.


 

 

 



두번째로 영화화 된

「오메가 맨」

1971년

찰톤 헤스튼 주연으로

이 영화에선

원작과 달리 감염자 들이

좀비로 나와서

원작을 마구 무시한 삼류 좀비 영화로

만들어 버렸다는 평을 받습니다.

한마디로

재미를 위한 영화가

되버린 것입니다.
2007년

많은 흥행 감독과

배우들이 거론되다가

윌 스미스 주연으로

영화화가 되어

많은 사람들이 설렘과

기대속에 영화의

개봉을 기대 했습니다만...

흥행성적은 블랙버스터답게

좋았습니다만....

원작을 읽은 사람들이라면

실망했으리라 봅니다....

 

지루한 스토리....

원작과 달리

흡혈귀도 좀비도 아닌

괴물들....

왜 주인공이 전설이 되는지도

(그저 자기가 영웅이라

전설이라 외치는 듯한...)

애매한채....

그만큼 원작이 방대하고

철학적 의미를 띄고 있는지도 모르지요.

영화를 보고 실망 하셨다면 원작은 재미있다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저 두꺼운 책을 언제 읽지...했던 제가

단숨에 읽어 내렸으니....

주인공이 왜 전설로 남게 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후를 기다리며
하라다 마하 지음, 오근영 옮김 / 스튜디오본프리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한테 시집오지 않을래요?

행복하게 해줄게요    -도모요세 아키오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편지를 드립니다. 그리고 첫편지에서

이런 당돌한 부탁을 하는 것을 모쪼록 용서하세요.

도쿠시마에 있는 히호 신사에서 당신의 에마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망설이면서도 한줄기 희망을 갖고 이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그 에마에 쓰여 있는 당신의 기원문이 진심이라면 저를 당신의 아내로 받아주시겠어요?

-사치 

 

나한테 시집오지 않을래요?

행복하게 해줄게요    -도모요세 아키오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편지를 드립니다. 그리고 첫편지에서

이런 당돌한 부탁을 하는 것을 모쪼록 용서하세요.

도쿠시마에 있는 히호 신사에서 당신의 에마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망설이면서도 한줄기 희망을 갖고 이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그 에마에 쓰여 있는 당신의 기원문이 진심이라면 저를 당신의 아내로 받아주시겠어요?

-사치 

 

어떤 분이 저한테 말하길 책속 연애는 다 가짜인데

왜 읽냐..고 하시더군요.

현실에서 꿈꿔보지 못한걸 책에서 볼 수 있기에 읽습니다.

가짜란걸 알기에 더 아름답게 쓰여있고,

더 애달프게 느껴지니까요. 


  이 책을 읽는 내내

오키나와 해변에서 산호를 던지고 노는

아키오와 사치가 떠올라 다가오는 여름이 기대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창인 지음 / 밝은세상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내가 가는 이 길이 어디로 가는지, 어디로 날

데려가는지, 그곳은 어딘지 알 수 없지만...

오늘도 난 걸어가고 있네.

사람들은 길이 다 정해져 있는지, 아니면 자기가

자신의 길을 만들어 가는지 알 수 없지만....

이렇게 또 걸어가고 있네.

나는 왜 이 길에 서있나.

이게 정말 나의 길인가.

이 길의 끝에서 내 꿈은 이뤄질까...

 

조창인씨 눈물 삼부작중(제 지인이 붙인 이름입니다-가시고기,등대지기에 이어)

마지막 '길' 입니다.

우리는 인생이라는 길 위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앞세워 보내고

같이 손잡고 걷고 있는지....뒤로 쳐저 걷는 사람은 누군지...

조창인씨도 소설 속에서 삶의 구석으로 몰린

절름발이 소년 승우를 통해

인간은 혼자서도 살 수 있는지 묻습니다.

뇌종양으로 죽어가는 동생을 떠나 보내면 혼자

살 수 있는지.....

인생은 마라톤과 같다고 하죠.

혼자 감내해내고 혼자 고독과 싸우며

달리지 않으면 안된다고 해서...

하지만 등수없는 마라톤이라면 천천히

걸으며 절룩거리는 승우에게 잠시 손을 내밀어 줄 사람도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사람이란 온기 속에 있다보면 잠시의 추위를 견딜 수 없지만

추위 속에 있는 사람에겐 잠시

손을 녹여주는 것만으로도 한참 버티어

나아 갈 힘이 되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항해뉴스
E.애니 프루 / 한겨레 / 1994년 12월
평점 :
절판



원제는 '해운소식'이나 옮긴이가

쿼일이라는 인물의 삶을 들여다보면서

인생이란 항해와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목을

'항해뉴스'로 하게 되었다고 써있다.

그 말처럼 이 책은 인생을 항해에 비유해 폭풍속의 바다처럼

잔혹한 절망감과 온갖 재난에도 굳건한 모습

온갖 물고기를 제공하는 풍요의 바다같은

많은 개성의 사람들과 잔잔한 바다같은

고요함과 평화로운 모습까지 전부 보여주고 있다.

온갖 절망과 밑바닥 까지 내려간 삶을 풀어 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묶인것을  잡아당기면 더 심하게 꼬일뿐....

여유를 두고 살살~밀고 잡아당기고 하며

풀어가야 하는것이다.

 

어떻게 보면 이책은 심심하게 느껴질 수 있다.

격한 상황조차 작가는 담담히 써내려갔기 때문이다.

인생이란 격한 상황조차 때론 조용히 흘려버려야 한다는 듯이...

하지만 그밑에 격렬히 흐르는 흐름을 느낀다면

이 소설의 참재미를 느낄 수 있을것이다.

바다란 표면은 잔잔해도 그밑엔

해류가 모든것을 휩슬고 지나가기도 하고,

폭풍 속에서도 바다밑은 잠잠하듯

깊은 곳에 숨은 재미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