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의 주얼리 상인 - 맨해튼의 벨보이에서 파리의 비즈니스맨이 되기까지
장영배 지음 / 푸른향기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파리의 주얼리 상인] 저자 장영배님 , 역경을 딛고 글로벌 리더로 성장한 그에게 우선 박수를 보내고 싶다.  책의 말미에 써 있는 청년들을 위한 10가지 제언을 우선 적어 본다.

 

1)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자

2) 머슴형 리더쉽을 발휘 하자

3) 급할 수록 돌아가자

4) 작은 것을 탐 하면 큰것을 잃는다.

5) 사업가는 오케스트라 지휘자와 같다.

6) 먼저 가까운 사람에게 인정받자

7) 성공 하기 전에 먼저 인간이 되자

8) 가정 ,직장, 사회 3 박자의 춤을 추자

9) 마음속 성공의 자석을 갖자

10) 그림을 그리며 살자

 

한국의 한 가난한 도시 청년이 이역 만리 미국으로 건너가 천신 만고 끝에 성공 하여 결혼도 하고 사업도 궤도에 오른 스토리는 언제나 보듯이 누구에게는 멋진 일이다.. 세상 뒤짚어 보기는 아닐 지라도 그만의 성공 방정식이 있었다라는 것이고 기존 관습을 거슬러서도 무역을 해낼 수 있는 배짱이 버팀목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이책에서 두가지 관점을 배울수 있었다, 하나는 risk taking 처리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불관용의 관용 즉 똘레랑스이다.

 

쥬얼리 사업 하면 바이어가 있고 중간 도매상이 있는데 서로의 주문서에 의해 일정 약정을 하고 물건을 받고 대금 지급을 언제 까지해주는 무언의 비지니스 약속이라면 약속과 신뢰를 바탕으로 형성된 관계 들이다. 저자는 한발 더 나아가 일정 부분 재고와 리턴을 감수 하고라고 우선 디자인이 좋거나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선별적으로 선 발송을 하고 팔리지 않을 물건은 100% 자신의 담보로 리턴을 약속 받으니 중간 도매상이나 소매상은 하등 불리할 이유가 없으므로 거래를 확장 시키려고 한다. 좋은 전략이다.

 

그의 두번째 도전기는 결혼과 함께 실업자가 되어 버리고 9.11로  이민국에서 더이상 체류 허가가 떨어 지지 않았을때의 한국행과

다시 힘을 모아 프랑스 아내의 도시로 돌아가게 된 스토리이다.  전통적 유럽 상인들의 관습에 맞추어 비지니스를 하나 하나 일궈 내는 모습에서 과연 귾임없는 노력으론 이루지 못할것이 없다라는 것을 느끼고 , 기회라는 것은 오직 그동안 충분히 준비 해온 사람만의 전유물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껴 본다.

 

프랑스 하면 , 다민족 구성원의 국가이기도 하고 , 혼 / 융합 문화의 본산지 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패션의 일번지와 유럽의 내노라 하는 글로벌 기업들도 프랑스를 기반 으론 한 회사들도 많다.  불관용의 나라  서로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 하며 끝까지 논쟁에서 평행선을 그을 지라도 상대방의 주장을 존중 할수 있는 문화 .  아이들을 위한 급식에서도 부모들의 여건에 따라 차등 지급을 구청으로 해서 학교에서는 그러한 사실 조차 알수 없는 개인 프라이버시가 지켜질 수 있는 나라 . 마냥 좋은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 우리나라가 배우고 습득 해야할 선진 복지 패러다임은 한번쯤 이러한 에세이를 통해서도 하나 하나 짚어 보았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소도 비빌 언덕이 있어야 한다라는 말처럼 , 맨땅에 파리 에펠탑 밑에서 좌판을 깔고 무슨 사업이든 시작할 만큼 무모한 사람은 없기에  그도 일시적으로는 프랑스 처가 살이를 한 덕택에 오히려 더욱 성공의 길을 빨리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는지 모르 겠다.

 

매년 10월 인가 , 가을 이면 한국에서는 매경에서 주최 하는 글로벌 한인대회가 열리곤한다. 전세계 한상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자리  이젠 저자도 몇몇 지인들이나 독자들로 부터  사인 세레는 받을 준비를 하여야 하는 지도 모르 겠군요 ....

 

언제가 한번은 비상을 꿈꾸는 젊은이 들이여 ,환경을 탓하기 보다 자신의 끈질김이 동아줄보다 질기지 못함을 한탄 하고,  거부 할수 없는 유혹의 사물들을 뒤로 하고 , 매일 혹은 매시간 자신만의 성공 습관을 키워가는 사람들 앞에는 고난은 있을 지언정 싶패는 없을것이다 라는 그 누구의 말을 다시 한번 전하고 싶은 < 책력거99 > 였습니다... 

 

Note : 과연 성공이라 함은 어떤 기준의 보여짐 일까요 ...... 글로벌 다문화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는 무엇을 희망하며 꿈 꾸는가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