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석기 시대부터 부동산 버블까지, 신경인류학이 말하는 우리의 집
존 S. 앨런 지음, 이계순 옮김 / 반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주제가 어느정도 인류 학적인 부분으로 넘어갈 수도 있고,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이전 제너레이션 , 호모에렉투스 , 네안델 타인등이 등장 하고 유인원의 종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 가는 여정을 시작해 본다.


집이란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 일까,  사실 현세인들은 늘상 주거를 하고 생활 하는 공간을 살고 있는만큼 특별히 집에 대한 의미를 부여 하지 않은채 생활을 해나가고 있지만 불과 수세기 전 혹은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문제의 양상이 매우 달라질 것이다. 일단 인류가 불을 발견 하기 전까지는 다른류의 동물들과 별 차이 없이 날이 어두워지면 , 자기보다 우위에 잇는 포식자를 피해서 동굴이나 음집에서 거쳐를 하엿을 것이고 불의 발견 이후로는 저녁이 되어도 주위를 밝히거나 맹수로부터의 안전 거리를 확보 해서 자신들을 지켜 왔을 것이다.


차츰 이동이 쥬류를 이뤘던 이동 문화에서 쌀이나 기타 밀을 경작 하면서부터 , 정착지를 필요로 했고 , 이를 바탕으로 부락과 촌락이 이뤄진 것으로 우리는 문명의 진화 과정 역사를 통해 알고 있다. 그러면 과면 같이 모여 살게 되면서 부터 인간은 어떤 육체적 심리적은 변화를 겪어 왔을까 하는 부분에 대한 일부 답변이 책의 주제의 일부이며 내용적으로 신경 생물학적인 논쟁 부터 , 인류 문화사적인 인지 성장 과정까지를 아우르며 집 의 거주 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 그리고 자신과 친밀한 관계를 지니고 잇는 혈족과 친족 혹은 동류의식을 지닐 수 있는 하나의 방편 이기도 하였다라는 점이 시사 되는 바이다 .


오늘날이도 거주 지역및 도시 , 나라에 따라 제각기 다른 문화적 특성과 차별성을 지니고 있고,,  부와 빈곤의 문제점 또한 지역적 도시적으로도 다르게 나타 나고 잇다.


집 또는 울타리혹은 거주 반경으로 불리워지는 명칭 또한 동물의 세계 혹은 곤충의 세게로 들러가면 적자 생존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러울 만치 최적화된 구조로 지어지기도 하고 , 은페 , 엄폐도 용이 하게 건축이 된다.


원시시대 혹은 그 이전의 지구가 종 분화가 다양하지 않았던 시절 부터 서서히 붕괴와 대폭발 , 그리고 침식 , 자연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수많은 종 들이 사라져 갔고 , 지금도 인간들로 인해 사라져 가는 중이라고 한다면 , 인류를 포함한 동물들의 최상위 포식자는 이제는 인간들일 것이다.


그러한 인간들이 또한 나뉘어져 집이 있는자와 없는 노숙자 집단으로 나위고 , 세분화 되어 신경인류학적인 테마를 건드리면서 , 자신들의 시간 거의 1/3을 수면으로 보내는 이러한 종의 아주 중요한 정주역할을 하는 집 또는 거주지는 지금을 거쳐 미래에도 어떤 방식으로도 꾸며지거나 변화된 모습으로 우리들에게 나타날 것이다.


아주 자연스럽게 , 어느 학자의 논리 첨럼 , 개개인의 프라이버시 적인 거리가 존재 하고 밀접하던 그러하지 않던 간의 관계 망에서의 거리과 공간에 대한 인지는 또한 다르다,  백악관을 보라 , 청와대를 보라 , 군중과의 사이거리가 꽤 떨어져 있지 않는가 , 예전의 왕국 또한 영주들을 줄세우기 위해 어느 정도의 이격 거리에 자신들의 성을 쌓고 유지 하게 하였다는 스토리는 또한 유효 하다.


편안함과 타인과의 구분되는 공간성을 확보 하는 거주 장소 집,  우리는 평상시 생각지 못했던 집의 중요성을 오늘 다시 한번 이러한 주제를 통해 일깨 우게 되었다.  집 한칸 이라도 있는 사람들은 행복 할지어다 ,,, 책력거99 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