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디 러브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1부 / 2006년 4월~9월
2부 /2012년 4월, 5월
3부 / 미시간 주 앤아버 2012년 9월
#1. 스토리
보통의 다섯살짜리 아이를 둔 엄마들 처럼, 아이들에게 뭔가를 가르치기에 골몰하는 다이너와 그의 아들 로비.
사건의 시작은 그렇다. 다이너와 로비가 쇼핑몰에서 여느 모자들처럼 쇼핑을 하고, 그들의 익숙한 과제 -어디에 차를 세워두었는지를 아이가 찾아내는-를
하고 있던 중, 아이를 유괴당하게 된다. 다이너는 온몸으로 그를 막아서지만 역부족, 결국 치명적인 상처를 입고 아이를 잃는다.
아이는 '대디러브'라고 자신을 칭하는 유괴범에게 몸도 마음도 상처를 입게 된다. 유괴범이자, 사기꾼이며, 소아성애자인 체스터 캐시. 그는 로비에게 '기드온 캐시'
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6년의 시간 동안 아이를 파괴한다. 아이가 자라 떠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터미널에 홀로 두어도 아이는 떠나지 못한다.
새로 데려온 아이에게 자신의 자리가 넘겨지고, 죽임을 당할 차례라는 것을 알아채기까지, 대디러브의 곁을 떠나지 못한다.
결국 돌아온 로비.
엄마인 다이너와 아빠 위트, 그리고 로비. 그들은 다시 만나게 되지만,과연 그들이 그렇게 되찾고 싶었더 가족일까?
#2. 대디 러브
책을 읽는 동안 체스터 캐시의 사이코패스적 행동들에 경악하지 않을 이는 없지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아이를 관에 넣어 체벌을 한다. 아이가 느낄 공포란 가늠할 수 없다. 옴짝달싹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아이는 자신이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을 인지하게 된다.
자유의지라 칭해지는 의지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결국 자신을 관에 넣은 사람이 자신을 꺼내 줄 사람이며, 자신을 죽일 수도 있는 사람이 자신을 살릴 사람
이라는 것에 이르르게 된다. 명분을 확보한 복종은 강력한 힘을 갖으며 자신의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더더욱 그의 마음에 들기 위한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대디 러브는, 매우 영리한 사람이겠구나 싶었다.
사람은 자신을 죽이려는 사람에게는 공포를 갖게 되지만, 자신을 살릴 수 있는 사람에게 복종하게 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게다.
복종이 익숙해진다는 건, 상대의 몸과 영혼까지 틀어쥘 수 있다는 것 또한 알고 있었던게다.
대디러브의 무서움은, 그의 폭력성이나 가학성이 아닌 바로 이런 점이 아닐까?
되돌릴 수 없는 상태로 만들어 놓는 것, 마치 파블로프의 개처럼 자신에게 무의식적으로, 아니 거의 본능적으로 반응하게 만들어버리는 것.
우습게도, 나는 요술램프의 지니가 생각났다.
오랜 시간을 램프에 갇혀있던 요정은, 누구든 이 램프에서 나를 꺼내 주면 죽여버리겠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그 곳에 있을 이유가 없으며, 그렇게 오래도록
방치되었다는 것에 대한 분노로..그 후로도 오랫동안 램프 속에 남겨졌던 요정은 생각한다 누구라도 여기서 꺼내주면 그에게 복종하겠노라고..
로비는 작은 관 속에 갖혀 그런 느낌이었을까?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체스터 캐시가 궁금했다.
다이너의 반응이나, 로비의, 아니 아직까지는 기드온의 행적이나 심리상태를 따라가기 보다, 체스터 캐시의 생각과 그의 역사, 혹은 그에 대한 서사가 궁금했다.
그러나, 단편적인 내용 말고는..미루어 짐작할만한 내용 말고는 이야기를 끌어가는 데 필요한 악함의 '축' 이상의 서사가 없었던 것이 아쉽다.
이런 반응을 보이는 자신이 우습기도 했지만, 솔직하게 말하면 우리가 '권선징악'을 이야기하고, 선하고 유한 이야기에 눈물 짓는 이면에는 악한 상대에 대한
경멸과 그만큼의 "경외"를 갖는 것은 사실이지 않을까? 다만 드러내어 말하지 않을 뿐이지..
쉽게 말해서 악당이 나오지 않는 이야기는 재미가 없다. "갈등"의 축이 필요하다. 그가 무자비할 수록, 악의 강도가 세질수록 우리가 느끼는 소위 '카타르시스'는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악당이 갑자기 개과천선 하는 영화가 재미없는 이유가 거기에 있을게다. 악당답지 않아..
# 3. 로비 또는 기드온
돌아온 아이는 로비였을까? 기드온이었을까?
로비였다면, 6년의 공백을 채울 수 있을까?
기드온이였다면, 그들은 가족일 수 있을까?
이 잔혹한 이야기가 들려주려고 하는 이야기는 무엇일까?
다만 인간이 얼마나 가혹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그런 것이었다면 조금 더 신랄하고 첨예할 수도 있었을게다.(미드에서 보여지는 연쇄
살인마들의 행적은 비할 바 없이 처참하지 않은가)
루시퍼 이펙트에서 다루고 있는 폭력성에 길들여지는 인간의 모습과 유사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어진 상황에서 주어진 역할을 해내다 보면, 그들 속에서 그 역할에 맞는 자아가 발현되고, 그것이 옳다고 믿으며, 인지하지 못했던 폭력성이 발현된다는 것.
기드온은, 캐시는 자신의 역할에 충실했다. 사랑스런 아들로서의 역할, 지배자로서의 아버지의 역할.
왜곡된 관계를 충실히 수행한 것이다. 그것으로 그들의 관계는 성립되고, 그것으로 그들의 정체성은 확고해져 간다.
물론 대디러브에게 다 자란 아이는 소모품이 되어 죽임을 당하겠지만, 그에겐 그가 아비 노릇을, 주인 노릇을 해야 하는 또 다른 불특정 다수의 아이들이 준비되어
져 있다.
그 둘 밖에서 일어나고 있는 엄마의 역할 다이너, 아빠의 역할 위트콤, ..그것이 기드온과 대디러브에게 끼칠 영향은 없었다. 독립된 상황, 엄마가 아파하고, 아빠가 괴로워 하는 건, 어쩌면 그 역할을 맡고 있는 이들의 과제였을지도 모른다.
돌아온 기드온, 아니 로비는 채식을 한다. 엄마인 다이너 처럼..
책의 마지막 장면이 소름끼쳤던 건, 바로 이런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다이너는 심장이 멎었다. 그녀는 보았다.
남자는 로비에게 다정하게 말을 걸고 있었다. 친근하게 질문들을 던지는 것 같았다. 그는 위협적으로 굴지 않았다.
로비는 그를 쳐다보지 않았지만, 그의 말을 귀담아듣고 있는 것 같았다. 로비느 어깨를 잔뜩 움츠린 채, 음식이 담긴
종이점시를 무릎에 놓고 허기진 듯 먹고 있었다.
...(중략)
로비는 고개를 힐끗 들었다가 그녀를 보았다. 로비는 햄버거 아니면 치즈버거를 먹고 있었다. 입술이 번질거렸다.
로비는 턱에 묻은 케첩을 손등으로 얼른 문질렀다.
야구모자를 쓴 남자는 조용히 의자에서 일어나더니 카페를 빠져나갔다. 그는 뒤도 돌아보지 않았다.
로비는 구깃구깃한 냅킨으로 입을 닦으면서 눈을 가늘게 뜨며 미소지었다. 그리고 작고 덤덤한 목소리로 말했다.
"오셨어요, 엄마."]
$ 4.
이야기의 도입부에서 다이너가 떠올렸던 단어.
Apophasis(否定意的)
나는 이 이야기를 부정의적이야기라고 결론 내리고 싶어졌다.
무엇을 어떻게 정의하든, 파헤쳐진 이야기에서 필요한 것을 얻어내면 그뿐이다.
심장을 원할수도, 간이나 허파를 원할수도 있으니말이다.
중요한건, 그러기 위해서는 이 이야기를 잔인할만큼 세세하게 분해하고 들쳐볼 필요가 있다.
선호부위를 갖기 보다는 필요한 부위를 찾아내기 위해서말이다.
다만,
惡에 매혹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하기 바랄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