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낙타샹즈 ㅣ 황소자리 중국 현대소설선
라오서 지음, 심규호 옮김 / 황소자리 / 2008년 2월
평점 :
소설의 장면들이 마치 연극이나 드라마를 보듯 고스란히 그려지는 글은 흔치 않다. 독자의 상상력을 감금하는 것이 아닌 독자의 상상력이 보태어져서 싱싱하게 살아 널뛰는 글. 그런 글이 있다는 건 매우 흥미롭다. 라오서의 글이 그렇다. 극작가로서의 그의 능력이 소설에서도 발휘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라오서의 대표작이라고 분류되는, 한때는 금서였던 낙타샹즈를 다시 꺼내 읽는다. 글이 잘 안읽히고 심드렁해지면 한번씩 후르륵 읽어내곤 하는 책들 중 하나다 글이 안읽힌다고 해서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니지만 늘 걷던 산책길이 어느날부턴가 재미없고 잘 걸어지지 않는다면 어쩐지 속상한 것과 비슷한 것일지도 모른다.
평생의 소원이 자신의 인력거를 갖는것인 인력거꾼 샹즈의 이야기다. 어째서 그가 낙타 샹즈라 불리우게 되었는지, 그것이 글의 제목이 되었는지, 그는 어쩌다 인력거꾼이 되었고 그의 삶은 어째서 늘 고달프기만 한지..한 사람의 삶과 시대가 엮어내는 직조가 성긴 코 하나 없이 반듯하다. 한 때 '소설을 쓰려는 사람들은 라오서를 읽어야 해. 특히나 낙타샹즈를 읽어야 해'라고 떠들고 다녔다. 모든 문장들이 군더더기 없이 짜여있는 소설이라니. 적절한 간이 배인 원재료의 맛이 살아있는 깔끔한 나물 한 접시 같은 느낌이다. 과하게 치장하지도 양념을 보태지도 않은 본연의 이야기를 생소하지 않게 거부감 들지 않게 딱딱하지 않게 풀어내는 솜씨가 일품이다.
처음 인력거꾼의 이야기라고 했을 때, 거의 반사적으로 운수 좋은 날을 떠올렸다. 학습된 것이리라. 시험을 보자고 난도질하며 외워댄 탓일지도..
어쨌든, 샹즈의 이야기는 구구절절 아득하기만 하다.
그 시기의 인민들의 삶이 그러했듯이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내야만 했던 사람들, 별스럽지 않은, 영웅도 뭣도 아닌 그저 목구명에 풀칠하는 것이 소원인 사람의 이야기일 뿐인데 맛이 다르다.
논란의 여지가 많은 작품이기도 하지만 나는 샹즈의 눈물겨운 삶이 낯설지 않다.
' 이곳에는 열한두 살 때부터 이 일을 하기 시작한 이들도 있는데, 그들이 스물 이후에 멋진 인력거꾼으로 탈바꿈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어린 몸으로 무리를 하면 여간해서 건장하게 성장하기 힘들다.설사 그들이 평생 인력거를 끈다고 해도 죽을 때까지 인력거꾼으로서 내세울 것이 없었다. ( p7)'
도입부에서부터 밑줄을 그었던 부분이다.
이 글이 낙타샹즈 전체를 관통하는 복선일지도 모른다.
라오서를 읽고, 왕멍을 읽고, 바진과 마오둔을 읽었다.
내가 소개하고 싶은 것은, 작가들이 아닌 중국의 인민들인지도 모른다. 우리와 많이도 닮아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