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특별잡지 "꿀잠"은10개 언론사 20여명의 기자들이 재능기부를 통하여 만든 잡지다.

 

  SNS를 하며 제일 좋은 건 후원을 하거나 힘을 보탤 곳을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기천만원씩, 수억원씩 기부할 깜냥은 안되니(그게 얼만큼인지 가늠도 안된다) 소소하게 내가 조금 덜 편안해도 될 정도, 불편을 기꺼이 감수할 정도에서 펀딩을 하거나 구독을 하거나 후원을 하게 된다.

 비정규직 특별잡지. 송경동의 꿀잠을 떠올릴 법한 '꿀잠'. 거기에 송경동이 있다.

 백기완 문정현 신부님께서 '두 어른전'이라는 행사도 하셨다. 비정규 노동자의 집 '꿀잠'건립을 위한 행보였다.

 

 날이 더워 깊게 잠들지 못하고, 자고 일어날 때마다 물 먹은 솜처럼 고스란히 남은 어제의 피곤을 느끼게 된다. 달게 잠을 자 본 게 언제였나?

아주 어린 시간, 더위에 뛰던 손주년을 그늘진 평상위에 눕히고 살랑살랑 부채질을 해주던 외할미 곁에서의 낮잠이 달았던가?

 

먹고 사는 일에 치여 밥 줄을 쥔 자들에게 끌려다니며 드는 잠은 여전히 고단한 꿈만 꾸게 한다.

비명이, 울음이, 자꾸만 작아지는 목소리가..

 

한 부씩 보내줄 여력이 안된다고 만든이들이 그랬다.

오십부 백부씩이라면 몰라도..그래서 인터넷 서점에 등록했다고.

 

누군가의 다디단 잠. 그것을 나누다보면 내 잠도 달아지지 않을까?

꿀잠을 예약했다.

 

꿀잠을 예약했다..라고 쓰고나니 살짝 설렌다. 텍스트가 아닌 참 꿀잠이 멀지 않은 곳에서 내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 까닭이다. 내 몫의 잠..내 몫의 꿈.

꿀 권리가 있고 꾸어 마땅한 단꿈.

 

문학잡지 하나를 잠시 내려두는 한이 있어도..이 잡지는 봐야겠다.

 

낯익은 이름 몇개가 반갑다.

 

 

 

 

 

 

 

 

 

 

 

 

 

 

 

 

 

 

 

 

 

 

 

 

 

 

 

 

 

 

 

 

맺히고 엉킨 아픈 속을 슥슥 문질러 줄 수 있는 따순 손이 되면 좋겠다.

꿀잠을 위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