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 칼로, 내 영혼의 일기를 선물 받았다. 거의 뺏은거나 다름없지만..내가 읽고 싶은 책이 있다고 징징대면 거의 대부분 기프티북을 쏘는 친구가 있다. 얼마 전에도 울지마 아이야를 사려다 게공선을 사는 바람에 아쉽다고 징징댔더니 이내 보내주었다.
이는 곧 복수로 이어졌고, 친구의 위시리스트를 훔쳐보곤 바로 책 한 권을 보냈다. 그리고 다시 돌아온 책..
이렇게 일면식도 없이 책 하나로 아낌없이 내어주고 보태주지 못해 안달인 친구가 있다는 건..행운이며 신기하기까지 하다.
프리다 칼로의 책..이 책을 옮기고 엮은 안진옥님이 대단히 섬세한 분이구나 싶다. 프리다칼로의 심경까지 읽어낼 만큼 심미안이 대단하다는 생각..응구기 와 시옹오의 책은 두 말하면 입아프다..노벨상 수상 예상 투표같은 걸 하면..나는 늘 시옹오를 뽑는다. 이만큼 문학적이며 뚜렷한 세계를 그려낼 수 있는 이가 있을까?
프리다 칼로의 책을 받고 욕심은 또 이것 저것 책들을 고르게 한다.
발음도 힘든 작가의 우크라이나 이야기. 인성을 만들어준다고 ..??
어쨌든 한동안 신화와 민화에 빠져지낸 탓에 눈이 갔다. 그러다 그림을 그린 이가 박건웅이라는것을 발견한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 어느 물푸레 나무의 기억을 그렸다.
박건웅의 그림은 이야기를 한다. 모든 그림이 '나는 말야..'라고 말을 거는 것 같다.
그린 이를 보는 순간 이 책을 데려와야지 했다. 박노자선생이 추천사를 쓰셨다.
확실히 데려와야겠다.
480개의 이야기가 있다니 두께가 장난 아니다. 거의 벽돌책의 반열에 들 것 같다.
그리고..빅보이. 파랑색을 좋아하는 것을 들켜버린 것 같다.
이 표지를 보고 숨을 잠시 참는다. 하..이쁘다
그림을 잘 볼 줄 모른다. 그냥 좋으면 좋다. 문학적 소양 따위 없듯, 미적 소양도 없다.
그냥 좋은 것.
그냥 좋은 그림.
그냥 좋은 글.
그냥 좋은 사람..
사람을 기억하고 그림을 그리고 책을 읽는 단순 명쾌한 동기가 되지 못할 이유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