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고사 대비 기간이 시작되었다. 수학강사지만 일부러 시간을 내 역사과목을 가끔 짚어주곤 한다.
지난 중간고사 기간..중3 아이들은 열강의 침략부터 독립운동까지..임시정부수립까지 시험을 봤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설명하고 간도지방을 이야기하다 윤동주 이야기를 했고, 문익환선생 이야기를 하다 문성근씨 이야기를 했고, 그것이 알고 싶다를 끼워넣고 그 때 뜨거운 감자였던 세월호를 이야기했다.
시험을 망하게 하려고 한 건 아닌데..늘 그런식이었다.
아이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어떻게든 삼천포로 빠지고 그렇게 들려주는 이야기를 아이들은 집중해서 듣곤한다.
기말고사는..해방부터 현대사다.
내가 가장 정확하게 이야기해 줄 수 있는 6.10 민주화항쟁의 이야기까지 시험범위이다.
대장정이 될것이지만 읽어내야겠다. 좀 더 정확하게 이야기해주기 위해서..아이들과 함께 빠진 삼천포에서도 우리가 알아야 할 이야기를 공유하는 비밀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교과서의 빈 행간을 채워줄 사실들을 이야기해주는 것. 그것은 선생이라서가 아니라 한 걸음 먼저 걸은 어른으로서의 의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다.
한사코 비밀스럽게 역사를 만들고 손대려는 자들이 그렇게까지 하려는 이유를 알려주어야할거다.
국정교과서 따위가 더럽힐 역사가 아니란걸 말해주어야 할게다.
역사는 오독되어서는 안되며 오기되어서는 더더욱 안되는 것임을 말해주어야 할게다.
이렇게 할미가 옛날이야기 해주듯 중얼거리는 이야기를 듣고 100점을 받아오는 녀석들이 신기하긴 하다.
-쌤, 이번에도 정리 해 주실거죠?
라고 당연한듯 묻는 녀석들과 역사를 공부하려한다.

덧붙여 읽을 책들이 더 많을것 같지만..일단 시작하자.
역사는 권력에게 귀속되는 것이 아님을 기억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