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소설
한강 지음, 차미혜 사진 / 난다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채식주의자의 수상 이후 한강은 일약 스타가 되었다. 묵묵히 쓰는 것을 이어온, 아니 견뎌온 작가에게 정당한 상이 주어지는건 당연한 일이다.

한강의 수상소식과 더불어 가난과 손을 잡고 있는 또 다른 작가들의 이야기가 회자되었다.

하얀 거짓말이었으면 했다. 글쟁이가 가난한거야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고, 출판노동자들은 열악한 조건 속에서 열정과 나름의 사명으로 견디고 있다는 이야기도 듣는다.

책과 관련된 사람들은 모두 가난하다. 손가락으로 꼽을만큼의 인원을 제외하면..

글로 생활이 유지되는 이들이 그나마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과, 그들이 명성과 생활을 보장받기까지 넘겨주어야 했을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또한 이 와중에 여전히 쓰고 있을 사람들에게 기본소득을 보장해주어야 하지 않을까..생각을 하게 된다. 기본만이라도..최소한 배고픈 글쟁이를 면하게만이라도..


한강의 수상 이후 가장 빨리 나온 책일거다. 그 전에 기획이 되어 예판이 시작되었으니..

채식주의자가 큰 그림 세개를 나란히 세운 병풍이라면, 흰은 작은 조각들을 이어붙인 조각이불 같은 느낌이다.

시처럼 짧게 쓰여진 이야기들이 서로의 끝과 머리를 붙들고 이어지는 이야기.
어떤 이는 아프다고도 하고, 슬프다고도 하고, 눈부시다고도 하고 시리다고도 했다.


나는 투명한 멍울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귀밑과 턱 사이에 생긴 작은 멍울.
턱을 괼때 손끝에 닿는 자리에 생긴 생경한 멍울 같은 글이다.
혹부리 할아버지의 노래주머니.
정말 거기서 노래가 나오는지 믿을 수 없지만 믿지 않을 도리가 없는..그래서 자꾸 만지작거리게되는 의심과 확신 사이의 묘연한 흰 이었다.
아프진 않지만 아플까봐 걱정이 되서 온 신경이 집중된다.

멍울같은 책을 읽었다.
짖지 않는 개처럼 읽었다.


한강의 글은 시에 가깝다. 시의 파동으로 움직인다. 하나의 이미지를 따라 나서 저만치 달려가야 실체가 보이는..

황정은의 '야만적인 앨리스씨'가 출간 되었을 때, 짧다. 하는 생각을 했다. 앨리시어의 이야기를 따라가며 온전히 헤집어놓는 작가의 힘에 흔들렸었다.

흔들리며 쏟아지고 깨진 것들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앉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짧지 않았다.

흰은 그보다 더 얇다.

작가는 안간힘을 쓰며 썼을거라는 생각을 했다. 한 페이지의 절반쯤이거나 간혹 한 페이지를 넘기기도 하는 이야기..짧다.

짧을 수 밖에 없었겠구나 싶었다. 길어지며 변색되고 오염될 것이 뻔한 '흰'을 써내기란 이렇게 단촐한 삶의 사유여야겠구나 싶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에 기대지 않고 살아내는. 하나씩 확인하고 디뎌내는 힘을 본다.

처연한 표정으로 하얗게 사위어가는 것이 아닌, 하얗게 딛고 일어서는 빛을 보는 것도 같다.


어쩌면, 글을 쓰는 것 이외에 더는 하고픈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없을 한강의 삶 속에 하얗게 찍힌 흰 쉼표 같은 작품일지도 모르겠다.

또 다시 삶 속으로..

흰 벌판에 떨어지는 눈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