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통째로 칼이 되기도 한다

한이 쌓이면 증오가 엉키면

퍼렇게 날 선 칼이 된다

나중에는 날이다 뭐다 할 것도 없이

아무것도 아닌 것같이 된다


살은 거멓게 타고 마르고

눈에는 핏발이 오른 뒤

그것도 지나면 차라리 누레지는 것이다

악물고 악물어 어금니가 주저앉고

밥도 잊고 잠도 잊고 나면

칼이 된다

입은 웃는 것처럼 잇바디가 드러나고

한기가 피식피식 웃음처럼 새는 것이다

무딘 듯 누더기인 듯 온몸이 서는 것이다


한두십년에 오지 않는다

진펄에 멍석말이로 뒹굴며

피떡이 되어 이백년 삼백년

비로소 칼이 서는 것이다

꺼먼 칼이 되는 것이다


김남주가 그랬다.



-------------------------------------------------------------------

 

4월 16일을 기억해야 하기 전, 가슴 속에 해마다 돌아오는 메아리처럼 울리는 통곡소리를 담고 살았다.

그 해 5월을 말이다.

수없이 많은 시인들이 노래했던 통곡의 곡조는 너무나 많아 어디쯤에서 눈물을 닦고 숨을 골라야할지도 알 수 없었다.

5월의 시는 그랬다. 처절했고 결연했고 혁명적이었으며 애통했다. 아무 상관도 없을 시에도 광주는 긴 그림자를 드리웠고 5.18 이후 모든 것에는 버즘처럼 광주가 피어있었다. 어떻게 읽어도 느껴지는 참담함은 어떤 트라우마 같은건지도 몰랐다.

님을 위한 행진곡을 두고도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때, 65%의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노래라고..기사가 쓰이는 때, 독립군가 하나도 제대로 모르는 사람은 독립을 이야기해서는 안되는 것인가. 행태, 혹은 작태라 불러도 좋을 일들이 자꾸만 벌어진다.

광주민주화투쟁을 진압했던 이는 아직도 살아남았고, 사죄하지 않으며 급기야 발포명령을 하지 않았다는 망언을 하기도 한다.


어쩌면 우리는 아직도 칼을 잘 벼리지 못했나보다.

일격에 숨통을 베어낼 칼이 되지 못했나보다. 아직 남아있는 유약함과 비겁함이 어금니를 주저앉히지 못했나보다.

5.18이 일어나기 전에 나온 고은 선생의 시에서는


우리 모두 화살이 되어

온몸으로 가자

허공 뚫고

온몸으로 가자

가서는 돌아오지 말자

박혀서

박힌 아픔과 함께 썩어서 돌아오지 말자


(중략)


허공이 소리친다

허공 뚫고

온몸으로 가자

저 캄캄한 대낮 과녁이 달려온다

이윽고 과녁이 피 뿜으며 쓰러질 때

단 한번

우리모두 화살로 피를 흘리자


돌아오지 말자

돌아오지 말자


오 화살 정의의 병사여 영령이여

 (화살-고은. 중에서)


고 했다.

화살도 되지 못했다. 칼도 덜 벼려졌다. 주저앉을텐가.

기꺼이 날아가 박힌 화살들이 있었다. 금남로에 충장로에 수북히 쌓였던 화살들을 기억해야 한다.

잘 벼리기는 커녕 자꾸만 녹이 스는, 피떡이 되어 뒹구는 것이 아직도 두려운 비겁을 떨쳐내어 꺼먼 칼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에 쓰여진 이름 '김남주'

이름 석자만으로도 서늘해지는 건, 아직 칼이 되지 못한 자책때문일지도 모른다.

오늘 광주에선 수없이 많은 칼들이 님들 위한 행진곡을 부를게다. 자식을 가슴에 묻은 어미들은 오랫동안 시퍼런 칼이었다.

칼들의 노래가 들린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닌 통째로 칼이 된 사람들의 노래가 들린다.
오늘이 그 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