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액스맨의 재즈 ㅣ 밀리언셀러 클럽 144
레이 셀레스틴 지음, 김은정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1. 엑스맨의 저주.
오독의 습관은 읽고 싶은대로 읽는데서부터 시작하는가 보다. 액스맨의 재즈라는 제목을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입으로는 엑스맨의 저주라고 발음하고 있었다.
사라마구를 자꾸 사마라구라고 읽고, 시인 임경섭을 임경업이라고 읽어대는 사람이다보니 새로울 것도 없다.
엑스맨. 어느 한 편에 속해있지만 결국 그 편을 몰락하게 만드는 사람을 엑스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부의 재앙이라고 할 만한 존재.
사람들이 죽어갔다. 도끼로 사정없이 찍힌 채 잔혹하게 말이다. 도끼 날에 남겨져 있는 두개골의 조각. 흥건한 혈흔. 범죄 스릴러라고 구분되는 장르의 소설이 가져야할 디테일한 잔혹함이 형형하게 살아있다. 혼자 책을 읽으며 자꾸 현관을 보게 될만큼 말이다. 대범하게 편지를 보내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범인. 그를 찾아나서는 다양한 사람들과 그들의 삶.
각양각색의 사연을 품은 사람들이 단서를 찾아나선다. 뉴올리언스에서 말이다.
#2. 1919년 뉴올리언스
태평양 이쪽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만세 소리가 요란할 즈음. 태평양 저쪽에선 도끼를 든 살인마가 돌아다니고 있었다.
세계대전의 혼란 속에서 사람들은 피폐해졌고 빈곤과 차별 속에 살아가고 있었다. 그 와중에 연쇄살인마가 그것도 도끼를 들고 잔혹하게 살인을 저지르는 사람이 활보하고 있다.
사람들은 더더욱 고립되어간다. 아무도 믿을 수 없고 극도의 공포가 가난과 피폐한 삶을 파고든다.
이민자와 흑인들과 백인들이, 기독교와 부두교와 민간신앙들이 뒤섞인 혼돈의 사회. 혼란과 빈곤과 공포가 가득하지만 그 곳에서도 사람들은 살아냈다.
재즈가 연주되었고 고단한 삶, 불안한 현실 속에서 조금씩 위로를 나누게 된다.
도끼 살인마는 편지에서 재즈를 연주하지 않는 집에 찾아가겠다고 한다. 어째서 재즈일까.
짧은 소견으로 재즈는 흑인들의 영가, 노동요등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들었다. 그것이 틀을 갖추고 밴드가 결성되고 1900년대 뉴올리언스에서 전성기를 이루게 된다고..
거기에 사람들의 삶의 애환과 어디에도 하소연하지 못하는 두려움과 절규가 배어있기 때문이 아닐까.
루이 암스트롱이라 알려진 사람의 이름이 반가웠다. 트럼펫을 불던 ..빵빵하게 부풀어오른 볼과 커다란 눈 리듬을 끌고가던 연주, 끊어질듯 이어지며 끈적하지만 단호한 선율들이 떠올랐다.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라고 노래하던 걸죽한 음성도..
살인 사건을 추적하는 사람들 역시 정형화된 조직 속의 사람들이 아니라 저마다의 이유로 서로 다른 시작점을 갖고 단서를 찾아 나선다. 다양한 싯점은 다양한 삶의 흔적들과 맞물려있다.
입체적이라고 밖에.
범죄 스릴러에서 스포트 라이트를 받게 되는 사건과 범인 추적자. 그것으로 버무려가는 이야기가 아니라 당시의 사회상과 뉴올리언스 특유의 분위기 사람들의 복잡하고 고단한 일상들이 고스란히 들어난다. 책의 두께감에 잠시 당황할 필요가 없었다. 그 많은 이야기들을 이렇게 잘 엮을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까지 했다.
어쩌면 공포는 사회를 조각내는 촉매만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범인을 찾는 것보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 그들이 찾은 단서들이 보여주는 범인의 윤곽이 아닌 자신이 살아온 삶의 윤곽이 흥미로웠다.
커다란 태풍이 몰고간 자리에 무엇이 남았을까?
사람들은 여전히 미워하거나 경계하고 때로 싸우고 때로 노래하며 살아내고 있다. 트럼펫은 재즈를 연주하고 살인마는 사라졌다. 뉴올리언스 사람들은 크게 일렁이다 다시 흐르기 시작했다. 공포와 재즈가 흐르는 뉴올리언스. 어딘가에서 또 다시 도끼 날을 세우고 있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재즈는 연주되고 사람들은 자신의 삶의 한 구석에서부터 단서를 모으기 시작할거다. 살아간다는 건 조금 묵직한 공포를 견디며 살아내는 건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