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의 이야기를 들었다. 사건의 개요는 신문의 사설을 옮겨본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0192115275&code=990100

반헌법행위자 열전을 준비중이었다. 그가 단단히 걸려들었다.

그리고 얼마 후 "아비 그리울 때 보라"라는 김탁환님의 산문집과 제목을 같이하는 글을 하나 읽는다.

한홍구 교수의 아버지 한만년씨가 그 아들을 탐탁치 않아한다는 조선일보의 보도 내용-역시 조잡한 짜깁기지만-을 반박하는 이 긴 글을 읽게 된다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35

그저 한 집안의 이야기를 그저 읽어내리는 것만으로도 울컥이는 것이 있다.

끈끈한 부자의 정, 형제애, 무던한 내리사랑과 믿음이 보여짐에도 불구하고 파렴치하게도 왜곡을 해대는 것인지 ..

 

한만년의 일업일생이 궁금해졌다.

아비의 이야기가 궁금해진것이다.

   오래전 출간된 책을 이제사 알게되어 주문하고 기다린다.

 

  아비 그리울 때 보라..올 해 간행된 책들 중 가장 맘에 박히는 제목이다.

 

  우리 아버지는..어린 나를 무릎에 앉히시고 "꿈을 찍는 사진관"을 같이 읽어주셨다. 번갈아 한문단씩 읽는 그 시간을 고스란히 찍어둘껄 그랬다.

 살아가며 읽게되는 책들에 한두어가지씩 걸치게 되는 이야기들..그 이야기들을 공유할 대상이 아버지라면..뻐근하지 않겠나.

 

 

 

 

 

 

 

 

 

주문한 책은 내일 도착한다고 한다.

11월 3일.

학생의 날.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선포한 날.

 

  이 책을 사길 잘 했다. 중요한 책들을 어서 사두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래저래 말 같지 않은 구실로 국정화교과서에 배치되는 내용을 담은 책들은 수거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설마 그럴라구?

그 설마의 연속을 살아내고 있지 않은가?

 

 

 

 

 

 

 

 

 

아들을 아끼는 아버지의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 책을 읽게 되겠다.

아버지를 아끼는 딸의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 재앙을 맞이한 날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