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이형의 '루카'가 자꾸 머릿속에서 떠나질 않는다.

요즘 SNS를 통해 자주 만나고 읽고 보게 되는 '무지개 재단'의 소식들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어째서였을까? 성소수자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건..

 

크라잉게임 때문이었을것도 같다. 눈물을 잘 흘리지 않는 사람인데도 몇번인가 찔끔거렸던 기억이 있다.

너무 많은 이야기들이 들어있던 영화였지만 말이다.

 

소외와 외면. 다름을 인정하지 못하는 사람들 속에서 다름을 감추거나 다름을 드러내어 밀려나는 사람들은 얼마나 고통스러울것인가를 생각한다. 자신도 어찌할 수 없는..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며 '사랑하지만 어쩔 수 없어..'라는 말이 얼마나 무책임하며 비참한 말인지 잘 알고 있지만, 그것이 동성일때는 아무렇지도 않게 강요되는 것. 안타깝다.

 

 

 

 

 

 

 

 

 

 

 

 

 

 

 

사실 뭔가 근사한 말로 성소수자들을 이야기하고 싶지만 그만한 능력도 뭣도 안되는 것이 속상할 뿐이다.

종교적으로 사회적으로 끝없이 배척받는 것이 얼마나 아픈일이겠는가.  최후의 아군인 가족에게서조차 외면당한다면 말이다.

 

다른 나라의 경우는 많이 공론화되어지고 있지만(물론 문화권에 따라, 종교적으로라도 더 엄격한 나라도 있지만) 말이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전보다는 더 밖으로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응원할 수 있게 말이다.

비가 오는 날엔, 문자 메세지를 보낸다. 순전히 나 혼자 자족적인 의미지만,..그 메세지 하나에 3000원인가 기부된다고 들어서 말이다.

충분히 공론화시키자. 그들도 내 가족이고 내 이웃이지 않은가.

동성애라는 것이 공격되는 몇가지 이유중 에이즈문제도 있고, 그들의 성생활에 대한 것들도 있다.

에이즈의 문제는 비단 그들만의 문제는 아닐거고, 어떤 이들의 성생활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간섭할 이유도 권리도 없다.

 

제대로 된 성교육을 받지 못했던 탓일까?

어른이 되서도 한참이나 지나서 만나게 된 다양한 성소수자들, 그들을 이해하기까지 오랜시간 듣고 보고 했어야했던 시간들..

아이들에게 잘 설명이 되어져야할 일이다.

 

 참 구하기 힘든 책이 되어버렸지만, 아이를 키우거나 혹은 아이들과 부대끼는 직업을 갖고 있다면 한번 읽어볼만하다.

 성교육의 최고봉을 "구성애"씨로 알고 있을만큼..우리는 아직도 모른다.

 

 다시 읽고 손 닿기 쉬운 곳에 던져놓아야 겠다.

아무라도 집어가서 읽고 오도록..

 "한번 하자" 로 시작되던 소설이 생각난다.

 아들 녀석이 문을 잠그고 들어가게 만들었던 그 책..

 

 

 

 

 

 

 

 

 

 

 

 

성이란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 아닌 상처투성이가 되어가고 있다는 게 가슴아프다.

이것이 자본의 논리와 맞물려 있는 것이라고 이해되어지면서 슬프기까지 하다.

청춘과 성. 그 사이에 풋풋하게 자라나던 씨앗들은 도대체 어디로 간건지..

어쨌든 보호받지 못하는 성과 이해받지 못하는 성과차별당하는 성..이 모든 性들은..사실 聖스럽게 부여받은 고유권한이지 않을까? 누구도 참견할 수 없으니 더더욱 침범해서는 안되는...

 

날이 덥다..그냥 주절거리는거다.

아..포스터!

 

 

이런 행사가 있댄다. 가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